1 문석윤, "호락논쟁 형서오가 전개" 동과서 2006
2 "한국고전종합 DB"
3 "한국경학자료시스템"
4 최석기, "한국경학의 연구시각" 보고사 2020
5 함영대, "퇴계의 『맹자석의』와 조선 전기의 맹자해석 ― 퇴계의 맹자학의 성격과 지향" 한국국학진흥원 (25) : 203-236, 2014
6 함영대, "청대淸代학자들의 『맹자』해석과 다산 정약용의 『맹자요의孟子要義』"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6) : 141-177, 2010
7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996
8 박상휘, "조선후기 일본에 대한 지식의 축적과 사고의 전환 - 조선사행의 기록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9 정호훈,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경세유표(經世遺表)』 − 『반계수록(磻溪隨錄)』 이래 남인(南人)의 전제론(田制論)과 결부하여 −" 국학연구원 (180) : 1-37, 2017
10 안병걸, "조선후기 경학의 전개와 그 성격"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98
1 문석윤, "호락논쟁 형서오가 전개" 동과서 2006
2 "한국고전종합 DB"
3 "한국경학자료시스템"
4 최석기, "한국경학의 연구시각" 보고사 2020
5 함영대, "퇴계의 『맹자석의』와 조선 전기의 맹자해석 ― 퇴계의 맹자학의 성격과 지향" 한국국학진흥원 (25) : 203-236, 2014
6 함영대, "청대淸代학자들의 『맹자』해석과 다산 정약용의 『맹자요의孟子要義』"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6) : 141-177, 2010
7 한형조,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세계사 1996
8 박상휘, "조선후기 일본에 대한 지식의 축적과 사고의 전환 - 조선사행의 기록류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15
9 정호훈, "조선후기 새로운 국가구상의 전통과『경세유표(經世遺表)』 − 『반계수록(磻溪隨錄)』 이래 남인(南人)의 전제론(田制論)과 결부하여 −" 국학연구원 (180) : 1-37, 2017
10 안병걸, "조선후기 경학의 전개와 그 성격"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98
11 김문식,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일지사 1996
12 문석윤,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맹자(孟子)』 ‘호연장(浩然章)’ 논란과 그 의의 - 송시열(宋時烈)의 「호연장질의(浩然章質疑)」를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7) : 3-21, 2009
13 함영대, "정조의 맹자학: 경연과 경학의 관점에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2) : 33-64, 2018
14 민두기, "일본의 역사" 지식산업사 1976
15 함영대, "성호학파의 맹자학" 태학사 2011
16 함영대, "서계 박세당의 학술정신과 『맹자사변록』" 한국한문학회 (72) : 97-138, 2018
17 최영성, "사상사의 맥락에서 본 19세기 심설논쟁(心說論爭) - 사칠논쟁(四七論爭)에서 심설논쟁(心說論爭)까지 -" 한국철학사연구회 (59) : 9-38, 2018
18 이경근, "문명의 교류와 충돌: 문명사의 열여섯 장면" 한길사 2013
19 함영대, "레귀돈의 『성모현범록聖模賢範錄』에 나타난 맹자 해석"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30) : 151-180, 2017
20 정일균, "다산사서경학연구" 일지사 2000
21 함영대, "김장생의 『經書辨疑-孟子』에 대한 일고" 대동문화연구원 (105) : 229-254, 2019
22 함영대, "경사강의(經史講義)의 안과 밖 -조선학술사에서 군사(君師)라는 지위-" 태동고전연구소 44 : 9-35, 2020
23 함영대, "草廬 李惟泰의 『四書答問-孟子』 연구" 동방한문학회 (88) : 217-242, 2021
24 宮川康子, "自由學問都市 大坂- 懷德堂と日本理性の誕生" 講談社 2002
25 정경주, "眉叟經說批解" 세종출판사 2000
26 李暢然, "淸代 『孟子』學史 大綱" 北京大學出版社 2011
27 劉瑾輝, "淸代 『孟子』學 硏究"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7
28 姜智恩, "朝鮮儒學史の再定位" 東京大學出版會 2017
29 渡辺浩, "日本政治思想史" 東京大學出版會 2010
30 吉川幸次郞, "日本思想大系" 岩波書店 1971
31 中井履軒, "日本名家四書註釋全書" 東洋圖書刊行會 1925
32 伊藤仁齋, "日本名家四書註釋全書" 東洋圖書刊行會 1925
33 오규 소라이, "政談" 서해문집 2016
34 蕫洪利, "孟子硏究" 江蘇古籍 1997
35 이토 진사이, "孟子古義" 그린비 2017
36 子安宣邦, "伊藤仁齋の世界" ぺりかん社 2004
37 元重擧, "乘槎錄" 소명출판 2006
38 윤석호, "丁若鏞의 三代 田賦論: 三代 ‘二元的 田賦論’의 논정 과정을 중심으로" 진단학회 (132) : 167-204, 2019
39 윤석호, "丁若鏞 鄕遂論의 추이와 그 함의" 민족문화연구원 (84) : 363-411, 2019
40 허경진 ; 박순, "『장문계갑문사(長門癸甲問槎)』를 통해 본 한일 문사의 사상적 차이" 대한일어일문학회 (44) : 343-358, 2009
41 함영대, "『반계수록』의 전승과 『잡동산이』" 한국실학학회 (35) : 121-157, 2018
42 임채명, "『長門癸甲問槎』의 筆談을 통해 본 朝日 文士의 交流 -주로 程朱學과 古文辭學 議論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27 : 34-57, 2009
43 윤석호, "『孟子』를 척도로 본 조선후기 公田 담론의 경세학적 층차" 연세사학연구회 48 : 291-342, 2021
44 함영대, "<孟子或問精義通攷>와 尤庵 宋時烈의 學術精神" 한국한문학회 (45) : 157-185,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