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erms of phonology, grammar, and lexicology, the usage of the Chungnam dialect revealed in the novel ≪Go-hyang≫ by Lee Gi- young, a writer from Chungcheongnam-do, was described.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dialect cons...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41322
이홍구 (서울대학교)
2023
Korean
Lee Gi-young ; Chungnam dialect ; ≪Go-hyang≫ ; polyphony ; register ; literature and dialect ; 이기영 ; 충남 방언 ; ≪고향≫ ; 다성성 ; 상황변이어 ; 문학과 방언
KCI등재
학술저널
91-126(3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erms of phonology, grammar, and lexicology, the usage of the Chungnam dialect revealed in the novel ≪Go-hyang≫ by Lee Gi- young, a writer from Chungcheongnam-do, was described.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dialect cons...
In terms of phonology, grammar, and lexicology, the usage of the Chungnam dialect revealed in the novel ≪Go-hyang≫ by Lee Gi- young, a writer from Chungcheongnam-do, was described.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effectiveness of dialect consciousness and dialect use.
Phonological phenomena include the Negative-vowelization, the High- vowelization, the Front-vowelization and umlaut in both text and conversations. In terms of grammar, “Hau type” and “Haeyu type” used in the Chungnam dialect are found, s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usages can be summarized. These final endings were what Lee Ki-young saw as the language of “si-gool.” They are also found in characters living in Seoul and so we can examine the possibility of being related to social variables. In the case of lexicology, those used in Chungcheongnam-do were found in both text and conversation parts. Regarding the personific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one person does not use only one tone, but uses different ton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so there are characters who are from Kyeongsang-do but live in Chungcheong-do, and it can be seen that his speech is a mixtur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yeongsang-dialect and the Chungnam dialec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that Lee Gi-young recognized language differences and reflected them in his work, and that they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haracters.
국문 초록 (Abstract)
충청남도 출신의 작가 이기영의 소설 ≪고향≫에 드러난 충남 방언의 사용 양상을 음운, 문법, 어휘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방언 의식과 방언 사용의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음운 현상으로는 ...
충청남도 출신의 작가 이기영의 소설 ≪고향≫에 드러난 충남 방언의 사용 양상을 음운, 문법, 어휘의 측면에서 기술하고, 방언 의식과 방언 사용의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음운 현상으로는 음성모음화, 고모음화, 전설모음화, 움라우트 등이 지문과 대화에서 모두 발견되거나 대화에서만 발견되더라도 계층이나 출신을 가리지 않고 동일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문법 측면에서 충남 방언에서 사용된 ‘하우형’과 ‘해유형’이 발견되어 형태적특징과 사용 환경에 대해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종결어미들은 이기영이“시굴”의 말로 보았던 것들이다. 이들은 서울에 사는 인물들에게서도 발견되어 사회적 변인과 관계되었을 가능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어휘의 경우충남 지역에서 사용되는 것들이 지문과 대화에서 모두 발견되었다. 인물 형상화와 관련해서는 하나의 인물이 하나의 어투만을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따라 다른 어투를 사용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경상도 출신이지만 충청남도에 이주해 살아가는 인물도 등장하는데, 그의 발화에는 동남 방언과 충남 방언의 성격이 혼재되어 나타남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가 언어 차를 인식하여 작품에 반영하였으며 그것이 개별 인물들의 입체적 형상화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사회언어학적 연구에서 방언 문학 분석이 가지는 가치 -현기영의 작품 세계를 중심으로-
방언 답사자로서의 시인 -정지용의 제주 기행 문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