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젠트리피케이션에 의한 주거지역의 변화 : 서울 연남동 사례 = The Impact of Gentrification on the Changes in Residential Areas : A Case Study of Yeonnam-dong,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09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residential areas caused by gentrification in Yeonnam-dong, Mapo-gu, Seoul. The impact of gentrification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aptured through the various data such as population, sales, housing prices, and the converting buildings into commercial use. The study found that the fluctuation of population and housing prices in Yeonnam-dong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other regions. Besid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hanged most rapidly around 2015, the opening period of Gyeongui Line Park, which is closely related to gentrification in Yeonnam-dong.
      번역하기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residential areas caused by gentrification in Yeonnam-dong, Mapo-gu, Seoul. The impact of gentrification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aptured through the various data such as population, sales, housing pri...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residential areas caused by gentrification in Yeonnam-dong, Mapo-gu, Seoul. The impact of gentrification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aptured through the various data such as population, sales, housing prices, and the converting buildings into commercial use. The study found that the fluctuation of population and housing prices in Yeonnam-dong was more significant than in other regions. Besid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as changed most rapidly around 2015, the opening period of Gyeongui Line Park, which is closely related to gentrification in Yeonnam-do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욱재,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현상에 대해 거주민이 인식하는 외부효과: 자가 소유자와 임차인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대학원 2017

      2 김다윤, "주거지 상업화 젠트리피케이션이 빈곤밀집지역에 끼치는 영향 - 동자동 쪽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8 (18): 159-175, 2017

      3 김용희,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주변 주거지역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4 이기웅,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도시사학회 (14) : 43-85, 2015

      5 신한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따른 서촌 한옥의 건축 및 도시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9 (19): 41-48, 2017

      6 임은정,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현상에 대한 연구 -연트럴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93-102, 2019

      7 "소상공인상권정보시스템"

      8 "서울특별시 빅데이터캠퍼스"

      9 류화연,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40-51, 2019

      10 최종석,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341-360, 2018

      1 양욱재, "주거지역의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현상에 대해 거주민이 인식하는 외부효과: 자가 소유자와 임차인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대학원 2017

      2 김다윤, "주거지 상업화 젠트리피케이션이 빈곤밀집지역에 끼치는 영향 - 동자동 쪽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8 (18): 159-175, 2017

      3 김용희,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주변 주거지역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대한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4 이기웅, "젠트리피케이션 효과: 홍대지역 문화유민의 흐름과 대안적 장소의 형성" 도시사학회 (14) : 43-85, 2015

      5 신한나,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에 따른 서촌 한옥의 건축 및 도시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9 (19): 41-48, 2017

      6 임은정, "젠트리피케이션 과정과 현상에 대한 연구 -연트럴파크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9 (29): 93-102, 2019

      7 "소상공인상권정보시스템"

      8 "서울특별시 빅데이터캠퍼스"

      9 류화연,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4 (54): 40-51, 2019

      10 최종석,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341-360, 2018

      11 이기훈,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한국지역학회 34 (34): 31-47, 2018

      12 "서울부동산정보광장"

      13 김경동, "서울 독산동과 연남동의 세대별 거주환경 선호 차이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2018

      14 윤윤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연구원 17 (17): 17-32, 2016

      15 김지석,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법제 개선 및 실무적 적용 방안" 한국법정책학회 17 (17): 119-141, 2017

      16 옥한석, "사진지리학에 의한 부도심의 연구: 서울시 천호동의 경우" 한국사진지리학회 19 (19): 83-94, 2009

      17 "빅카인즈"

      18 김신성, "문화소비공간의 확산에 따른 저층주거지의 변화 특성연구 : 연남동 일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3

      19 손용택, "농촌마을 젠트리피케이션 연구-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당동 예술인마을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8 (28): 67-85, 2018

      20 "국가통계포털"

      21 "경의선숲길지기 홈페이지"

      22 "건축데이터 민간개방 시스템"

      23 Zukin, S., "New Retail Capital and Neighborhood Change:Boutiques and Gentrification in New York City" 8 (8): 47-6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89 1.343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