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토론과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협력적 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소규모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 사고 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토론과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협력적 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소규모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 사고 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
본 연구에서는 토론과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의 협력적 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의 학습 시간과 소규모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 사고 활동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로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도 NASEL 자료와 대학정보공시 자료를 함께 사용하였으며, 2수준 다층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생 간 학습 시간, 스터디 그룹 활동 정도, 고차원적인 사고 활동 정도의 차이는 학교 특성보다 학생 개인 및 학습 특성에 기인하고 있다. 둘째, 협력적 학습에서 경험하는 토론 및 토의, 팀별 프로젝트 수행 등은 학생들의 하루 평균 ‘학습 시간’을 증가시켰으나, 영향력의 크기는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다. 셋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스터디 그룹 활동’을 보다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력적 학습 경험은 수업 중 ‘고차원적 사고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첫째,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동료들과 토론하고 토의하며,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의 학습 활동 확대 및 고차원적 사고 활성화를 위해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활대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lass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fluence on their hours of learning,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n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such as class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fluence on their hours of learning,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used 2018 NASEL data as well as public data on university information and adapted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analysis.
Major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learning hours, degree of study group participation and higher-level thinking skills are more effectively explained by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institutional factors. Second, college students’ engagement in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in the classroom setting increased their average ‘learning hours’ per day, but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was found to be limited. Third, college students’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further activate their ‘study group activities’. Fourth, collaborative learning experie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higher-level thinking activities in class hours.
Followings are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lecture-style teaching method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ngage in more participative learning methods which include discussion and team project activities. Second, it is important to encourage more ac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to exp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vitalize their higher-level thinking skills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영주,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5-103, 2016
2 최은미, "협동학습이 사회적 심리적 유익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63-76, 2012
3 박용한,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1 (11): 91-119, 2010
4 안병근,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경제학 성적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제교육학회 18 (18): 69-89, 2011
5 이명관, "협동학습을 통한 대학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2 (22): 213-236, 2016
6 이영경, "협동학습에 관한 최근 연구의 고찰과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협동학습 모형 제안" 인문학연구소 36 (36): 163-196, 2017
7 강인구,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구조 비교 분석" 18 : 183-197, 2003
8 안도희, "협동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30, 2015
9 이명숙, "협동학습과 그 이론적 기초" 19 (19): 61-80, 2003
10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1 주영주, "협력학습에서 성취동기, 교수학습 질, 학습접근방식,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5-103, 2016
2 최은미, "협동학습이 사회적 심리적 유익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 51 (51): 63-76, 2012
3 박용한,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습동기,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11 (11): 91-119, 2010
4 안병근, "협동학습이 대학생의 경제학 성적에 미치는 효과" 한국경제교육학회 18 (18): 69-89, 2011
5 이명관, "협동학습을 통한 대학영어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2 (22): 213-236, 2016
6 이영경, "협동학습에 관한 최근 연구의 고찰과 영어 읽기 교육에 관한 협동학습 모형 제안" 인문학연구소 36 (36): 163-196, 2017
7 강인구, "협동학습과 협력학습 구조 비교 분석" 18 : 183-197, 2003
8 안도희, "협동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30, 2015
9 이명숙, "협동학습과 그 이론적 기초" 19 (19): 61-80, 2003
10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11 홍지인,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경제적 배경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6 (26): 79-108, 2018
12 남궁지영,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231-254, 2014
13 신수정, "소집단 영어협동학습이 대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영역과 자기 주도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56 (56): 107-124, 2012
14 이종성,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박영사 2007
15 박광배, "변량분석과 회귀분석" 학지사 2003
16 강명희, "메타인지, 인지된 상호작용, 실재감의 웹기반 협력학습 성과 예측력" 원격교육연구소 8 (8): 111-130, 2012
17 이용진, "대학의 팀 기반 수업에서 협동적 학습양식과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 성과" 안암교육학회 22 (22): 115-139, 2016
18 최정윤,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Ⅴ) : 교수・학습 역량진단 체제 확립" 한국교육개발원 2017
19 임후남,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Ⅵ)" 한국교육개발원 2018
20 최정윤,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Ⅳ)-대학 유형별 교수․학습 역량 평가체제 구축" 한국교육개발원 2016
21 남신동,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Ⅶ)" 한국교육개발원 2019
22 최윤미,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43-163, 2010
23 강상진, "다층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활용방법" 8 (8): 63-94, 1995
24 김훈호, "교수의 개인 특성과 대학의 연구 환경이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행정학회 29 (29): 185-210, 2011
25 Johnson, D. W., "What we know about cooperative learning at the college level" 13 (13): 17-23, 1993
26 Mia Le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n the Level of Basic Elements Embedded in Cooperative Learning and Class Satisfac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7 (27): 115-132, 2017
27 Brewer, S., "Type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Affiliation Motive in an Asynchronous,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54 (54): 331-354, 2006
28 Johnson, D. W., "The state of cooperative learning in post secondary and professional settings" 19 (19): 15-29, 2007
29 Nickel, C. E.,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strategies on student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blended an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Old Dominion University 2010
30 이남미, "The effect of using Task-Based Instruction in small cooperative groups o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Society 11 (11): 105-127, 2012
31 Jaeeun Lee,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ollaborative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a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f University Student: A Case Study of K University"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 (20): 415-437, 2019
32 Bruffee, K. A., "Sharing our toys : Cooperative learning versus collaborative learning" 27 (27): 12-18, 1995
33 Aiken, L. S., "Multiple regression :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1991
34 최길찬, "Latent Variable Regression 3-Level Hierarchical Model using 2 time-point cohort longitudinal data for monitoring school performance"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 (11): 163-177, 2010
35 Raudenbush, S. W.,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36 Duffy, T. M.,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Simon & Schuster Macmillan 170-199, 1996
37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methods: A meta-analysis" University of Minnesota 2000
38 McNeill, J. H., "Cooperative learning groups at the college level: Applicable learning" 1996
39 Myers, J., "Cooperative learning : A personal journey" 174 (174): 118-143, 1991
40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The social and intellectual outcomes of learning in groups" Routledge Falmer 136-176, 2003
41 Johnson, D. W., "Cooperation and the use of technology" Simon & Schuster Macmillan 1996
42 Dillenbourg, P., "Collaborative-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Elsevier 1-19, 1999
43 Panitz, T., "Collaborative versus cooperative learning: A comparison of the two concepts which will help us understand the underlying nature of interactive learning" U S. Department of Education 1999
44 Clark, A., "Collaborative reasoning : Expanding ways for children to talk and think in school" 15 (15): 181-198, 2003
45 Paulus, T. M., "Collaborative and Cooperative Approaches to Online Group Work : The impact of task type" 26 (26): 111-125, 2005
46 Littleton, K., "Collaborative Learning: Cognitive and computational approaches" Pergamon 20-30, 2003
47 Rose, M. A., "Cognitive dialogue, interaction patterns, and perceptions of graduate students in an online conferencing environment under collaborative and cooperative structures" Indiana University 2002
48 Johnson, D. W., "Assessing students in groups: promoting group responsibility and individual accountability" Corwin Press 2004
49 Johnson, R. T., "An overview of cooperative learning" Brookes Press 1994
50 Yeong-ok Nam,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of Team Members Characteristics, Team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Depending on Team Activity Style"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 (16): 517-541, 2016
51 Willms, J. D., "A longitudinal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estimating school effects and their stability" 26 : 209-232, 1989
52 Park, hyejin,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by analysis of the reflection journals"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8 (28): 225-250, 2018
예비교사교육이 교직 선택 의사와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르완다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사고 학습 환경에서 플립드러닝 전략이 예비교사의 집단자존감과 협력적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7 | 2.37 | 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31 | 2.46 | 2.479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