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는 미나리과로 종류는 참당귀, 중국당귀, 왜당귀로 지역에따라 나누어지게 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참당귀(Angelica gagas Nakai)의 근을 사용였다. 당귀의 효능은 보혈작용,...
당귀는 미나리과로 종류는 참당귀, 중국당귀, 왜당귀로 지역에따라 나누어지게 되는데 본 실험에서는 한국에서 자생하는 참당귀(Angelica gagas Nakai)의 근을 사용였다. 당귀의 효능은 보혈작용, 활혈작용, 혈압강화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 ROS) 의한 산화적 DNA 손상과 세포손상, 세포사멸에대한 기능적인 역할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 추출물을 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산화적 DNA 손상 및 세포손상 억제력을 분석하였다. 당귀를 용매별로 추출하여 6가지 분획층을 얻어 본 실험에 비교 평가 하였다. 당귀의 6가지 분획층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hydroxyl radical 소거능, Fe2+ chelating 측정 하였다. 참당귀는 DPPH radical 소거능 평가에서 ethtyl acetate 분획층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Fe2+ chelating 활성은 분획 후 에탄올 침전물(Precipatants with EtOH)에서 높은 활성이 존재하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Fe2+ chelating 활성이 존재하는 에탄올 침전물(Precipatants with EtOH)을 이용하여 산화적 DNA 손상 억제력과 산화적 세포손상 억제력을 평가한 결과 hydroxyl radical에 의해 야기되어지는 산화적 DNA손상 및 세포손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ydroxyl radical에 의해 야기되어지는 세포사멸 억제 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통한 p21, Bcl-2 단백질 발현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참당귀 추출물은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p21 단백질과 Bcl-2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으로 hydroxyl radica에 의해 야기 되어지는 세포사멸을 억제한다고 평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참당귀 추출물은 hydroxyl radical에 의해 야기되어지는 산화적 DNA손상 및 세포손상을 억제함으로 새로운 기능성 암 예방 및 항 노화를 대상으로 하는 의약품, 화장품 및 기능성 식품소재로의 이용과 천연소재로 생리활성물질 탐색에 중요한 천연자원으로 이용이 가능하고, 본 참당귀의 재배는 새로운 소득 작목원으로 이용되어 국내 약용식물의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