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서학대 중단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부모학대행위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hild Abuse Perpetrators to Stop Abuse: Focusing on the Par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2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intervention plans for protecting abused children by exploring the factors that stop the act of emotional abuse by child abuse perpetrator. 1st-3rd year data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target was 525 children(live in ‘Dong’ area not Eup, Myun area) who had emotional abuse in the first year but abuse was stopped after the first year. Setting gender,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household income, family structure, mother’s occupation, grades of major school subjects, degree of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degree domestic violence, parent-child intimacy, and community support as criterion variables and setting stop abusing children as the predictor variable.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as a result, domestic violence, community support and mother’s occupation influence significantly to stop emotional abuse of children. We derived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ith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as the cent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ought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intervention plans for protecting abused children by exploring the factors that stop the act of emotional abuse by child abuse perpetrator. 1st-3rd year data of elementary school fou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intervention plans for protecting abused children by exploring the factors that stop the act of emotional abuse by child abuse perpetrator. 1st-3rd year data of elementary school fourth grader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target was 525 children(live in ‘Dong’ area not Eup, Myun area) who had emotional abuse in the first year but abuse was stopped after the first year. Setting gender, academic background of the parents, household income, family structure, mother’s occupation, grades of major school subjects, degree of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degree domestic violence, parent-child intimacy, and community support as criterion variables and setting stop abusing children as the predictor variable.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as a result, domestic violence, community support and mother’s occupation influence significantly to stop emotional abuse of children. We derived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with personal, family, and community factors as the cent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ought ways to improve the situ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해자가 정서학대 행위를 중단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대받는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실천 지식과 개입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학교 4학년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읍면을 제외한 ‘동’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으로 1차년도에 정서학대가 있다가 1차년도 이후 정서학대가 중단된 525명이다. 예측변수는 성별, 부모의 학력, 가구소득, 가족형태, 어머니의 직업유무, 성적, 아동의 문제행동 정도, 가정폭력 정도, 부모자녀친근감, 지역사회지지를 설정하고, 준거변수는 학대중단으로 설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아동의 정서학대 중단여부에 가정폭력, 지역사회지지, 모의 직업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분야의 제도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해자가 정서학대 행위를 중단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대받는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실천 지식과 개입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해자가 정서학대 행위를 중단하는 요인을 탐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학대받는 아동을 보호할 수 있는 실천 지식과 개입 방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초등학교 4학년 1∼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읍면을 제외한 ‘동’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으로 1차년도에 정서학대가 있다가 1차년도 이후 정서학대가 중단된 525명이다. 예측변수는 성별, 부모의 학력, 가구소득, 가족형태, 어머니의 직업유무, 성적, 아동의 문제행동 정도, 가정폭력 정도, 부모자녀친근감, 지역사회지지를 설정하고, 준거변수는 학대중단으로 설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 아동의 정서학대 중단여부에 가정폭력, 지역사회지지, 모의 직업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를 토대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 분야의 제도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엽, "한국 가정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의 중도탈락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31-251, 2008

      2 김영현, "학대경험아동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전영실, "피학대아동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4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5 추소정, "정서적 학대와 자아 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02

      6 이영웅, "정서적 학대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수치심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11

      7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3

      8 이익섭,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73-295, 2007

      9 조옥자,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41-167, 2005

      10 강동욱, "아동학대행위자와 그에 대한 조치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34) : 97-115, 2011

      1 김재엽, "한국 가정폭력가해자 치료프로그램의 중도탈락요인"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231-251, 2008

      2 김영현, "학대경험아동의 학교 적응에 관한 연구 :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전영실, "피학대아동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0

      4 안은미, "정서학대가 또래애착과 교사애착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201-226, 2013

      5 추소정, "정서적 학대와 자아 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02

      6 이영웅, "정서적 학대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수치심이 사회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2011

      7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13

      8 이익섭, "장애 정체감 척도의 Rasch 모형 적용"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273-295, 2007

      9 조옥자, "어머니의 정서적 학대와 방임 및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이 아동의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학회 26 (26): 141-167, 2005

      10 강동욱, "아동학대행위자와 그에 대한 조치에 관한 고찰" 한양법학회 (34) : 97-115, 2011

      11 허남순, "아동학대의 실태 및 대책" 1 : 23-45, 1993

      12 도현석,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13 안선경,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영역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331-358, 2012

      14 이원표, "아동학대상담사례연구집" 서울특별시립 동부아동상담소 2001

      15 김미정, "아동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3) : 409-430, 2012

      16 박은미, "아동학대 행위자의 특성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8 (8): 299-316, 2007

      17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행위자 치료프로그램 개발" 2003

      18 김윤정, "아동학대 행위자 집단 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19 강미경, "아동학대 행위 중단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9) : 29-72, 2009

      20 배화옥, "아동학대 재신고 사례유형화와 관련요인 비교분석: 미국 플로리다주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651-678, 2006

      21 김세원, "아동학대 재발생의 영향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2 배화옥, "아동학대 재발생 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611-628, 2004

      23 배화옥, "아동학대 유형별 재발생 특성과 관련요인에 대한 생존분석" 한국아동권리학회 11 (11): 389-411, 2007

      24 김정미, "아동학대 유형별 위험정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9

      25 이재연,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탐색"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235-250, 2004

      26 이호균, "아동학대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아동, 부모, 교사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5 (5): 23-33, 2001

      27 여진주, "아동학대 보호요인의 효과 : 부모 및 아동의 사회적 지지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28 이인수, "아동학대 및 가정폭력행위자 집단교육프로그램 개발 - 사이코드라마를 적용하여 -" 한국아동교육학회 14 (14): 179-197, 2005

      29 박현선, "아동학대 가해부모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권리학회 8 (8): 649-670, 2004

      30 지주예,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1 노충래, "아동 및 가해자의 특성에 따른 아동학대의 심각성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3) : 123-154, 2002

      32 한영선, "소년범죄자의 범죄중단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33 이선화, "빈곤지역의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 한부모 가족과 양부모 가족간의 비교"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34 김재엽, "부부폭력가해자의 성장기아동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역할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 291-312, 2007

      35 서보열,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 포항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4

      36 이복희,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적응변인 연구" 교육연구소 13 (13): 99-121, 2007

      37 신혜영, "부모로부터의 학대경험과 공격성 및 대인불안간의 관계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8 유영선, "모의 우울이 학령전기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 부부갈등,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39 두산동아, "동아 새국어사전" 두산동아 2000

      40 정연순, "교사들이 지각한 잼재적 학업중단의 유형과 특성" 한국교육개발원 1-24, 2008

      41 강은영, "경력범죄자의 성인초기 범죄지속과 중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42 전영실, "가족의 특성과 아동학대 피해의 관계" 한국피해자학회 11 (11): 53-77, 2003

      43 현미열, "가정폭력 행위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효과" 정신간호학회 17 (17): 109-117, 2008

      44 신선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3) : 153-182, 2008

      45 高性蕙, "兒童虐待 槪念規定 및 兒童虐待에 대한 母·子女의 知覺性向"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6 Wolfe, D. A., "Treatment strategies for child physical abuse and neglect: A critical progress report" 13 : 473-500, 1993

      47 Diane D., "The effect of services on the recurrence of child maltreatment" 26 : 187-205, 2002

      48 Corse, S., "Social network characterristics of mothers in abusing and nonabusing famili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parenting beliefs" 18 : 44-59, 1990

      49 Fraser, M. W.,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Risk and Resiliencein Childhood" NASW Press 2004

      50 Levy, H., "Reabuse rates in a sample of children followed for 5 years after discharge from a child abuse inpatient assessment program" 19 : 1363-1377, 1995

      51 McGee R. A., "Multiple maltreatment experiences and adolescent behavior problems: adolescents' perspectives" 9 : 131-149, 1997

      52 Morisset, C. E., "Language and emotional milestones on the road to readiness" Zero to Three National Center for Clinical Infant Programs 1993

      53 Berkowitz, L, "Frustration-aggression hypothesis: Examination and reformulation" 106 : 59-73, 1993

      54 Howells, N. L., "Effects of Perpetrator and Victim Gender on Negative Outcomes of Family Violence" 23 : 203-209, 2008

      55 Fantuzzo, J., "Domestic violence and children: Prevalence and risk in five major US cities" 36 : 116-122, 1997

      56 Jonson-Reid, M., "Cross-type recidivism among child maltreatment victims and perpetrators" 27 : 899-917, 2003

      57 김미정, "CART 분석을 활용한 아동학대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피해자학회 21 (21): 293-315, 2013

      58 Kim, H., "A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 maltreatment using an ecological famework" University of Minnesota. 2000

      59 Conger, R., "A family process model of economic hardship and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t boys" 63 : 526-541, 19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학교사회사업 -> 학교사회복지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9 1.89 2.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9 2.1 2.71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