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3세기 중엽 개령분사대장도감<SUB>開寧分司大藏都監</SUB>의 활동인력과 조성경판 = A study on an active manpower & sculpturing-woodblock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開寧分司大藏都監) about the middle of the 13th centu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3세기 중엽 분사도감의 공간적 위치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한 이후, 개령開寧분사대장도감의 운영사례와 함께 각수인력 및 조성경판을 분석하였다. 핵심 원천자료는 해인사 소장『당현시범唐賢詩範』의 ‘丙午歲開寧分司大藏都監開板’이라는 간행기록과 각수 감대甘大 등의 활동형태를 활용하였다.
      먼저, 고종 33년 개령분사도감의 운영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강화경판이 강화도 · 남해, 또는 남해지역만 조성되었다는 기존 연구내용은 재검토될 수 밖에 없다.
      다음으로, 개령분사에서 활동한 각수의 대부분은 서로 교차적인 연결망을 구축하고 대장도감 · 분사도감이나 분사도감 간에 공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인적 교류가 있으며, 다른 조성공간처럼 승속僧俗이 연계한 교속敎俗 이원적 협조체계를 유지하며 활동하는 등 출신성분이나 사상을 초월한 형태로 운영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성경판은 『당현시범』 5판이 확인되며, 『신화엄경론』 · 『대승유가금강성해만수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鷄함) · 『조당집』 · 『법원주림』 · 『아비담비바사론』 · 『화엄경탐현기』 등에 포함된 일부의 권도 주목된다. 이로써 개령지역도 13세기 중엽 출판 · 인쇄역량을 갖추고 강화경판의 조성공간으로 역할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3세기 중엽 분사도감의 공간적 위치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한 이후, 개령開寧분사대장도감의 운영사례와 함께 각수인력 및 조성경판을 분석하였다. 핵심 원천자...

      이 글은 13세기 중엽 분사도감의 공간적 위치와 관련된 기존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한 이후, 개령開寧분사대장도감의 운영사례와 함께 각수인력 및 조성경판을 분석하였다. 핵심 원천자료는 해인사 소장『당현시범唐賢詩範』의 ‘丙午歲開寧分司大藏都監開板’이라는 간행기록과 각수 감대甘大 등의 활동형태를 활용하였다.
      먼저, 고종 33년 개령분사도감의 운영사실을 확인하였다. 이에 강화경판이 강화도 · 남해, 또는 남해지역만 조성되었다는 기존 연구내용은 재검토될 수 밖에 없다.
      다음으로, 개령분사에서 활동한 각수의 대부분은 서로 교차적인 연결망을 구축하고 대장도감 · 분사도감이나 분사도감 간에 공간적으로 이동하면서 인적 교류가 있으며, 다른 조성공간처럼 승속僧俗이 연계한 교속敎俗 이원적 협조체계를 유지하며 활동하는 등 출신성분이나 사상을 초월한 형태로 운영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성경판은 『당현시범』 5판이 확인되며, 『신화엄경론』 · 『대승유가금강성해만수실리천비천발대교왕경』(鷄함) · 『조당집』 · 『법원주림』 · 『아비담비바사론』 · 『화엄경탐현기』 등에 포함된 일부의 권도 주목된다. 이로써 개령지역도 13세기 중엽 출판 · 인쇄역량을 갖추고 강화경판의 조성공간으로 역할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an case that Gaeryeong-BunsaDaejangdogam have been operated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and diagnose into the engravers-system & a sculpturing -woodblocks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the sourceinformation has been utilized the published-information & engravers of the Danghyenshiberm(唐賢詩範)-woodblock that is stor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the published-information is ‘the Koryo-Dynasty’s Gaeryeong-BunsaDaejangdogam(高麗國開寧分司大藏都監開板)’, the engravers are ‘Gamdae(甘大) · Joungjang(正藏) · Cheonrip(天立) · Wongan(元幹) · Sonjak(孫綽) · Yunbo(允寶) · Hyegyeon(惠堅)’ that have been also carved an woodblocks in the Daejangdogam & other BunsaDaejangdogam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First, this paper has been newly confirmed the case that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have been also operated about 1246 year. as a result, we are confirmed the fact that BunsaDaejangdogam have been operated in various regions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Next, most of Gaeryeong-BunsaDaejangdogam"es engravers have been jointly interacted with the personnel-resources that have acted in the Daejangdogam & other BunsaDaejangdogam. in particular, that engravers have been also operated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s the engravers-system of other Dogam.
      Next, sculpturing-woodblocks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are clearly confirmed the Danghyenshiberm of 5 plate. we are noted some of volumes that have been included in the sūtra of the Beopwonjurim (法宛珠林) & Jodangji (祖堂集) etc as that kind of woodblock.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an case that Gaeryeong-BunsaDaejangdogam have been operated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and diagnose into the engravers-system & a sculpturing -woodblocks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the sourceinformati...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into an case that Gaeryeong-BunsaDaejangdogam have been operated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and diagnose into the engravers-system & a sculpturing -woodblocks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the sourceinformation has been utilized the published-information & engravers of the Danghyenshiberm(唐賢詩範)-woodblock that is stored in the Haein-Temple(海印寺). the published-information is ‘the Koryo-Dynasty’s Gaeryeong-BunsaDaejangdogam(高麗國開寧分司大藏都監開板)’, the engravers are ‘Gamdae(甘大) · Joungjang(正藏) · Cheonrip(天立) · Wongan(元幹) · Sonjak(孫綽) · Yunbo(允寶) · Hyegyeon(惠堅)’ that have been also carved an woodblocks in the Daejangdogam & other BunsaDaejangdogam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First, this paper has been newly confirmed the case that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have been also operated about 1246 year. as a result, we are confirmed the fact that BunsaDaejangdogam have been operated in various regions about a mid of the 13th century.
      Next, most of Gaeryeong-BunsaDaejangdogam"es engravers have been jointly interacted with the personnel-resources that have acted in the Daejangdogam & other BunsaDaejangdogam. in particular, that engravers have been also operated the cooperation of a Buddhist-monk and a officialdom(敎俗) as the engravers-system of other Dogam.
      Next, sculpturing-woodblocks of the Gaeryeong-BunsaDaejangdogam are clearly confirmed the Danghyenshiberm of 5 plate. we are noted some of volumes that have been included in the sūtra of the Beopwonjurim (法宛珠林) & Jodangji (祖堂集) etc as that kind of woodbloc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분사대장도감의 공간적 위치 검토
      • 3. 개령분사대장도감의 활동인력과 조성경판
      • 4. 맺음말
      • 요약
      • 1. 머리말
      • 2. 분사대장도감의 공간적 위치 검토
      • 3. 개령분사대장도감의 활동인력과 조성경판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