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후조당 김부필(1516~1577)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그는 ‘계문삼처사’의 한 사람으로 평생 초야에 은거하며 학문과 지조를 지켜나간 순수 처사형 학자이다. 그가 추구한 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86603
2016
Korean
김부필 ; 처사형 ; 김효로< ; SUB> ; 金孝盧< ; /SUB> ; 가학적< ; SUB> ; 家學的< ; /SUB> ; 철리시 ; 형상화 ; 술회시 ; 학문관점 ; 관료형 ; 『심경』 ; Kim Bu-pil ; cheo-sa (leading a quiet life in a remote village) type ; Kim Hyo-ro ; ga-hak (a study of the family handed down for generations) like ; philosophic logic poem ; imagery ; effusion poem ; academic perspective ; bureaucratic type ; Prajna-Paramita-Sutra
KCI등재
학술저널
141-180(4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후조당 김부필(1516~1577)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그는 ‘계문삼처사’의 한 사람으로 평생 초야에 은거하며 학문과 지조를 지켜나간 순수 처사형 학자이다. 그가 추구한 학...
이 논문은 후조당 김부필(1516~1577)의 삶과 시세계를 조명하였다. 그는 ‘계문삼처사’의 한 사람으로 평생 초야에 은거하며 학문과 지조를 지켜나간 순수 처사형 학자이다.
그가 추구한 학문은 이론 성리학보다 실천을 중시하는 내면의 심성수양에 무게중심이 있다. 이 같은 학문경향은 조부 농수聾叟 김효로金孝盧로부터 내려오는 가학적家學的 영향과 스승 퇴계 이황의 가르침에 힘입은 것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230여 수가 되는 그의 시문학도 사변적 · 철학적 함의를 담고 있는 철리시 계통의 한시는 거의 없고, 자신이 처한 일상의 환경에서 느끼는 정회를 형상화한 술회시가 대부분이다.
그 술회시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스승 퇴계 이황과 학문적으로 주고받은 다수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또한 자신이 추구한 학문관점의 시적 형상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황과 매화를 소재로 주고 받은 시가 많다는 점이다.
요컨대, 그의 시문학은 16세기 이황 문하의 관료형 학자가 추구한 학문경향과는 달리, 『심경』의 중시에서 오는 내면의 자기수양과 매화로 표상되는 순수처사의 인간자세, 즉 맑은 인품과 곧은 지조의 문학적 형상화 그것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has illuminated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Hujodang Kim Bu-pil (1516~1588). He was a pure cheo-sa (leading a quiet life in a remote village) type scholar who spent his entire life in a remote village studying and keeping his principles...
This study has illuminated the life and poetic world of Hujodang Kim Bu-pil (1516~1588).
He was a pure cheo-sa (leading a quiet life in a remote village) type scholar who spent his entire life in a remote village studying and keeping his principles and beliefs.
He pursued a study focusing more on cultivating the inner mind that emphasizes action rather than theoretical Neo-Confucianism.
This academic inclination has been influenced from the ga-hak (a study of the family handed down for generations) like effect which descended from his grandfather, Nongsu Kim Hyo-ro and the teachings of his teacher Toegye Yi Hwang.
As a result, there are almost no Chinese poetry which contain philosophical logic poem lines which possess speculative or philosophical implications among about 230 poems. Most of his poems are effusion poems which embody his feeling and mind derived from his everyday environment
If one takes a closer look at the content of the effusion poems, there are a number of poems academically exchanged between him and his teacher Toegye Yi Hwang, poems poetically embodying his academic perspective which he pursues and poems reciting Toegye and maehwa (plum flower) as a subject.
In short, his poetry differs from a sixteen century’s academic inclination, which was pursued by a bureaucratic type scholar under Toegye. It was a literary imagery of clear personality and straight principles and beliefs. It was a human attitude of a pure cheo-sa (classic scholar leading quiet life in a remote village) which is presented as inner self-discipline and maehwa from serious consideration in Prajna-Paramita-Sutra.
목차 (Table of Contents)
놀이판 ‘습례국’에 나타난 1910년대 한글 사용과 제례문화
13세기 중엽 개령분사대장도감開寧分司大藏都監의 활동인력과 조성경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