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 연구 =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23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까지의 한국어교육 정전 연구는 정전의 기준과 목록을 개발하는데 집중해 왔으나, 그러한 작품들이 한국어교육의 장면에서 실제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한 점검은 충분하지 않았...

      지금까지의 한국어교육 정전 연구는 정전의 기준과 목록을 개발하는데 집중해 왔으나, 그러한 작품들이 한국어교육의 장면에서 실제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에 대한 점검은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의 정전으로 어떤 작품을 상정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그 작품들이 한국어교육 교재에서 제재화 된 양상을 파악하여 이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에서 발행한 한국어교육 교재와 과거의 한국어교육 교재를 함께 검토하여 황순원의 「소나기」,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유정의 「봄봄」이 현재 한국어교육의 정전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들 세 작품의 제재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작품이 수록된 교재를 단원, 학습활동, 작품 해석 차원에서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930~50년대에 발표된 작품이 한국어교육 정전이었으며 이 중 한국 농촌 풍경을 보여 주는 작품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자국어교육의 정전과 일치도가 높았으며, 정전을 제재화 할 때에는 순문학적 자질을 강조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같은 특징을 근거로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의 제재화에 있어서 향후 외국인 학습자들과 정전 간 시공간적 거리감을 해결하고 정전의 확대 및 개방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정전 학습을 위한 학습 수준 및 활동을 다양화할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standards and lists of canon.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about how these works are actually handled in the sce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study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standards and lists of canon.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about how these works are actually handled in the scen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at kind of works are proposed as canon of modern no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grasp implications of these work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issued by universities in Seoul and past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ee works-Hwang Soon-won"s "Showers", Ju Yo-seop’s “The guest and Mother”, Kim Yu-Jeong’s “Bom Bom”- are currently a blackou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pect of these three works, the textbooks containing the works were analyzed microscopically in terms of unit,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pretation of work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ncluded works showing Korean rural landscape among the works published in the 1930s and 1950s.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anon is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canon of the native language education, and the tendency to emphasize the pure literary qualities when the canon is produced.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foreign learners and canon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an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diversify the level of learning and activities for canon learning, while also providing a way to expand and open the can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연구의 필요성
      • 2.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의 정전
      • 3.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의 제재화 양상
      • 4. 결론 및 시사점
      • 국문요약
      • 1.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연구의 필요성
      • 2.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의 정전
      • 3.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정전의 제재화 양상
      • 4.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은태, "황순원 소설 연구- 서정적 세계의 구조와 존재론적 위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3) : 95-123, 2003

      2 박태일, "황순원 소설 「소나기」의 원본 시비와 결정본" 한국문학언어학회 (59) : 591-632, 2013

      3 김혜영, "현대문학 정전 재검토"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87-130, 2008

      4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함께 배우는 건국 한국어 6"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7

      5 김동환, "한국어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읽기텍스트 선정 전략 연구 -문화교육을 위한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9) : 133-167, 2010

      6 매영,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현황과 교육 방안 연구 : 「운수 좋은 날」과 「낙타상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하우 2015

      8 조수진, "한국어교육에서 <소나기>에 나타난 ‘정서’ 표현 교육 방안" 한중인문학회 (42) : 349-372, 2014

      9 구영산,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 의견 차이"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247-280, 2015

      1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독본: 3급-4급"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1 박은태, "황순원 소설 연구- 서정적 세계의 구조와 존재론적 위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3) : 95-123, 2003

      2 박태일, "황순원 소설 「소나기」의 원본 시비와 결정본" 한국문학언어학회 (59) : 591-632, 2013

      3 김혜영, "현대문학 정전 재검토" 한국문학교육학회 (25) : 87-130, 2008

      4 건국대학교 언어교육원, "함께 배우는 건국 한국어 6" 건국대학교 출판부 2017

      5 김동환, "한국어교육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읽기텍스트 선정 전략 연구 -문화교육을 위한 현대소설 제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9) : 133-167, 2010

      6 매영,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의 현황과 교육 방안 연구 : 「운수 좋은 날」과 「낙타상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4

      7 윤여탁,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하우 2015

      8 조수진, "한국어교육에서 <소나기>에 나타난 ‘정서’ 표현 교육 방안" 한중인문학회 (42) : 349-372, 2014

      9 구영산, "한국어(KSL) 교육과정 개선 방향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 의견 차이" 한국국어교육학회 (105) : 247-280, 2015

      10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독본: 3급-4급"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11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한국어 독본: 1권-3권"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3

      12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13 교육부, "한국어 교육과정"

      14 김만수, "한국소설문학대계 27: 카인의 후예 外" 두산동아 551-563, 1995

      15 김유정, "한국소설문학대계 18: 날개, 동백꽃 外" 두산동아 1995

      16 법무부 출입국,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17 임경화,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방안"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신정현, "중학교 국어 교과서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9 강석, "정전 연구의 새로운 방향 -중등 시교육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37) : 123-160, 2012

      20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6" 교보문고 2011

      21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6" Epess 2012

      22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4" Epess 2011

      23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 3-2" Epess 2011

      24 우리어문학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 국학자료원 2001

      25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5" 하우 2016

      26 최지현, "영어권 한국어 교재 편찬에 활용되는 한국 문학의 범위와 과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14 : 337-364, 2004

      27 김정숙,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초등국어 저학년 교과서 활용 방안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8 정진석, "소설교육에서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정전화 양상과 개선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46) : 81-101, 2015

      29 우한용, "소설 텍스트 중심으로 본 문학능력과 한국어교육" 한국어문화연구소 7 : 211-241, 2010

      30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6B" 투판즈 2015

      31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6A" 투판즈 2015

      32 서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5B" 투판즈 2012

      33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읽기 6"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출판부 2014

      34 김윤주, "미국 ESL 교육과정 ‘WIDA’ 고찰을 통한 KSL 한국어 교육과정 개선 방향 탐색" 국어교육학회 50 (50): 139-172, 2015

      35 유홍주, "문화교육을 위한 현대소설의 활용 방안 연구 - 해외 대학 한국어학과에서의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133-147, 2016

      36 신숙환, "문학작품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소나기>와 <수계>의 작품을 중심으로" 남서울대학교 2016

      37 오지혜, "문학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문학 - HOLT 분석을 중심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63-88, 2016

      38 정재찬, "문학 정전의 해체와 독서연구" 한국독서학회 2 : 103-133, 1997

      39 김해옥, "문학 정전을 통한 한국 문화 및 한국학 교수 방안에 대한 연구 -『사랑손님과 어머니』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에 나타난 관점 문화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3 (23): 91-114, 2012

      40 정이붕,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김유정의 <봄봄>을 중심으로-" 겨레어문학회 (58) : 309-337, 2017

      41 안한나, "대학부설 한국어교육기관의 평가인증제 방안을 위한 시론 -CEA, Eaquals와 ACCJC의 외국어교육기관 평가인증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 (13): 83-116, 2017

      42 주옥파, "단편소설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내용 연구-"모밀꽃 필 무렵"을 중심으로"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 : 457-469, 2004

      43 양미영, "다문화교육을 위한 국어 교과서 내용분석 : 10학년 16종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4 김지혜, "김유정 문학의 교과서 정전화(正典化) 연구 ―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51) : 135-155, 2012

      45 국립국어원,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46 오지혜, "국외 한국어교육의 문학 교재 구성을 위한 언어학습자문학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269-302, 2013

      47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학사전" 대교출판 1999

      48 김석회, "고전시가 연구와 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07) : 2-30, 2002

      49 조희정, "고전 리터러시의 ‘시공간적 거리감’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9) : 61-93, 2006

      50 박기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현대소설 제재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7) : 185-219, 2012

      51 김중섭, "경희 한국어 읽기 6" 하우 2015

      52 유만근, "(한글-로마자 대조표기)한국어 독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Urimalgeul -> Urimalgeul: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1.03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