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취락의 지역적 전개 = The Development of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번역하기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n the Bronze age. Yeong-nam region divides the tree areas that are the southern pan(Nam River Basin), The northern-east part(Daegu) and the southern-east part/the coast fo East Sea) of Nakdong River, It has the assemblage of Misari, Yeoksamdong, Garakdong in the early Bronze age and the assemblage of Geomdanri, Songgukri in the lately Bronze age, The assemblage of Yeoksamdong is the main culture from Yeong-nam region, Because the assemblage of Misari and Garakdong so far discovered and their sertelmenr' s scale is small. In view of the results they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Yeoksarndong’ s senelemenrs. The assemblage of Geomdanri is on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east pan of Nakdong River, On the other hand tile assemblage of Songgukri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n, the northern-cast part of Nakdong River, But the Geomdanri has relation with the Songgukri beacause of being detected a few the Songgukri in tile southem-east pan of Nakdong River, The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s from Yeong-nam region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an aspect of the seeternnets from Chung-cheong region, The Yeoksamdong has considerable influence upon the scnelmems from Yeong-nam region in me early and lately Bronze 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번역하기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청동기시대 전 후기 취락유적을 살펴 유형을 설정하고, 지역적 전개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남지역은 중앙부를 관통하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서부(서부내륙지역 남강유역 남강 황강유역)와 동부로 나뉘며, 낙동강 중 상류역인 동북부(동북내륙지역 대구지역 낙동강 상류지역)와 동남부(동남해안지역 낙동강 하류지역)로 세분되어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는 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유형이, 후기는 송국리유형과 검단리유형이 서로 다른 양상으로 전개해 나갔다. 검토결과 전기는 역삼동유형이 전지역에 분포하여 중심문화를 이루고, 미사리유형과 가락동유형이 소규모로 형성되어 역삼동유형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후기는 검단리유형이 낙동강 동남부지역에 지역적으로 분포하며, 이외 낙동강서부와 동북부에는 송국리유형이 넓게 펼쳐져 있어 후기의 중심문화는 송국리유형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동남부지역 일부에서도 송국리식 주거지가 소수 확인되고 있어 송국라유형의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영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취락 전개양상은 충청지역의 것과 크게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공렬문토기문화의 영향이 강하게 확인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序言
      • Ⅱ. 遺蹟檢討
      • Ⅲ. 聚落의 地域的 展開와 樣相
      • Ⅳ. 結語
      • 요약
      • Ⅰ. 序言
      • Ⅱ. 遺蹟檢討
      • Ⅲ. 聚落의 地域的 展開와 樣相
      • Ⅳ. 結語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7-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rchaeology -> Archaeology: Journal of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경기고고학회 -> 중부고고학회
      영문명 : Seoul Kyonggi Archaeology Society -> The Jungbu Archaeological Society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8 0.95 2.135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