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핀란드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실험: 배경, 맥락, 의의 = The Finnish Welfare State and Basic Income Experiment: Background, Context, and Signific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9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entre-right government of Finland is launching a basic income experiment in which randomly selected 2,000 citizens on unemployment benefits will receive a monthly basic income of 560 euros from January 2017 for two years. That basic income will replace their existing unemployment benefits. The aim of the experiment is to assess whether basic income can help reduce poverty and bureaucracy, while increasing the employment rate. The Finnish basic income experiment is referred to as a step by step reform of the welfare state as citizens are entitled to a minimum level of income support that is the almost same as 560 euro basic income. However, the reform is to reduce benefits since low income families can receive multiple social benefits which is usually much more than 560 euros.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s of austerity policy and labor shortage in certain low-wage sector, the basic income seems to be ‘conditional’ rather than ‘unconditional’ and could lead to ‘enforced’ employment. The basic income is seen as an additional element to the Finnish universal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experiment can provide insights on whether the removal of the disincentives embedded in social security will encourage the unemployed to return to jobs or no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ll become a hot issue in parliamentary elections in April 2019 and the future of basic income in Finland will depend on election results and its political power relations.
      번역하기

      The centre-right government of Finland is launching a basic income experiment in which randomly selected 2,000 citizens on unemployment benefits will receive a monthly basic income of 560 euros from January 2017 for two years. That basic income will r...

      The centre-right government of Finland is launching a basic income experiment in which randomly selected 2,000 citizens on unemployment benefits will receive a monthly basic income of 560 euros from January 2017 for two years. That basic income will replace their existing unemployment benefits. The aim of the experiment is to assess whether basic income can help reduce poverty and bureaucracy, while increasing the employment rate. The Finnish basic income experiment is referred to as a step by step reform of the welfare state as citizens are entitled to a minimum level of income support that is the almost same as 560 euro basic income. However, the reform is to reduce benefits since low income families can receive multiple social benefits which is usually much more than 560 euros.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s of austerity policy and labor shortage in certain low-wage sector, the basic income seems to be ‘conditional’ rather than ‘unconditional’ and could lead to ‘enforced’ employment. The basic income is seen as an additional element to the Finnish universal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experiment can provide insights on whether the removal of the disincentives embedded in social security will encourage the unemployed to return to jobs or no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ill become a hot issue in parliamentary elections in April 2019 and the future of basic income in Finland will depend on election results and its political power rel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핀란드의 중도우파정부는 실업급여 지원을 받는 실업자 2,000명 샘플을 대상으로 월 560 유로의 기본소득 실험을 2017년 1월부터 2년간 실시한다. 고실업 문제에 직면하여 기본소득이 근로인센티브를 높여 실업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험에 대해 세계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첫 기본소득 시도라는 점에서 기대가 있는 반면, 복지축소를 위한 개혁이라는 우려도 있다. 월 560유로의 기본소득은 현재 저소득층에 지원되고 있는 다양하고 누적적인 소득보장 지원금보다 상당히 적은 금액이기 때문이다. 적은 금액의 부분기본소득 대신 관대한 기존급여를 중단한다는 면에서 조건부에 가까우며, 긴축정책과 저임금부문의 노동력 부족 상황을 고려할 때 ‘강요된’ 취업이 될 수도 있다. 핀란드의 기본소득은 보편적 사회보장체제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근로인센티브를 목적으로 한 실험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2년간의 실험이 끝난 후 핀란드 기본소득의 향방은 2019년 4월 총선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이 총선에서 기본소득 실험 결과에 대한 각 정당과 사회세력들의 관점과 입장이 드러날 것이고, 정치적 선택에 의한 권력관계가 중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의 향방은 직접적으로 핀란드 복지국가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번역하기

      핀란드의 중도우파정부는 실업급여 지원을 받는 실업자 2,000명 샘플을 대상으로 월 560 유로의 기본소득 실험을 2017년 1월부터 2년간 실시한다. 고실업 문제에 직면하여 기본소득이 근로인센...

      핀란드의 중도우파정부는 실업급여 지원을 받는 실업자 2,000명 샘플을 대상으로 월 560 유로의 기본소득 실험을 2017년 1월부터 2년간 실시한다. 고실업 문제에 직면하여 기본소득이 근로인센티브를 높여 실업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실험에 대해 세계적으로 국가적 차원의 첫 기본소득 시도라는 점에서 기대가 있는 반면, 복지축소를 위한 개혁이라는 우려도 있다. 월 560유로의 기본소득은 현재 저소득층에 지원되고 있는 다양하고 누적적인 소득보장 지원금보다 상당히 적은 금액이기 때문이다. 적은 금액의 부분기본소득 대신 관대한 기존급여를 중단한다는 면에서 조건부에 가까우며, 긴축정책과 저임금부문의 노동력 부족 상황을 고려할 때 ‘강요된’ 취업이 될 수도 있다. 핀란드의 기본소득은 보편적 사회보장체제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근로인센티브를 목적으로 한 실험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2년간의 실험이 끝난 후 핀란드 기본소득의 향방은 2019년 4월 총선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이 총선에서 기본소득 실험 결과에 대한 각 정당과 사회세력들의 관점과 입장이 드러날 것이고, 정치적 선택에 의한 권력관계가 중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기본소득의 향방은 직접적으로 핀란드 복지국가의 성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인, "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 - 노키아와 핀란드 사례를 통해 본 삼성의 미래, 한국의 미래"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6

      2 더글러스, 클리포드, "사회신용 - 왜 기본소득이 필요한가" 역사비평사 2016

      3 곽노완, "분배정의와 지속가능한 최대의 기본소득 -게으른 자에게도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정의로운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4 (24): 7-29, 2013

      4 신정완, "복지국가의 철학: 자본주의, 분배적 정의, 복지국가" 인간과복지 2014

      5 이명현,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 논쟁과 전략의 탐색"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

      6 파레이스, 필리프 판, "모두에게 실질적 자유를 - 기본소득에 대한 철학적 옹호" 후마니타스 2016

      7 최광은,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 21세기 지구를 뒤흔들 희망 프로젝트" 박종철출판사 2011

      8 라벤토스, 다니엘,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책담 2016

      9 강남훈,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박종철출판사 2014

      10 필리페 판 빠레이스, "기본소득, 지구화와 이주" 도시인문학연구소 2 (2): 177-202, 2010

      1 박상인, "삼성전자가 몰락해도 한국이 사는 길 - 노키아와 핀란드 사례를 통해 본 삼성의 미래, 한국의 미래" 미래를소유한사람들 2016

      2 더글러스, 클리포드, "사회신용 - 왜 기본소득이 필요한가" 역사비평사 2016

      3 곽노완, "분배정의와 지속가능한 최대의 기본소득 -게으른 자에게도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정의로운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4 (24): 7-29, 2013

      4 신정완, "복지국가의 철학: 자본주의, 분배적 정의, 복지국가" 인간과복지 2014

      5 이명현, "복지국가와 기본소득 - 논쟁과 전략의 탐색" 경북대학교출판부 2014

      6 파레이스, 필리프 판, "모두에게 실질적 자유를 - 기본소득에 대한 철학적 옹호" 후마니타스 2016

      7 최광은,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 21세기 지구를 뒤흔들 희망 프로젝트" 박종철출판사 2011

      8 라벤토스, 다니엘,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책담 2016

      9 강남훈, "기본소득운동의 세계적 현황과 전망" 박종철출판사 2014

      10 필리페 판 빠레이스, "기본소득, 지구화와 이주" 도시인문학연구소 2 (2): 177-202, 2010

      11 헤니, 다니엘, "기본소득, 자유와 정의가 만나다 - 스위스 기본소득운동의 논리와 실천" 오롯 2016

      12 강유덕,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핀란드 경제의 장기침체와 구조개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6 (16): 2016

      13 Kautto, Mikko, "Welfare in Finland in the 1990s" 31 : 1-4, 2003

      14 Bregman, Rutger, "Utopia for Realists: The Case for a Universal Basic Income, Open Borders, and a 15-hour Workweek" The Correspondent 2016

      15 Neuvonen, Aleksi, "Thousands to receive basic income in Finland: a trial that could lead to the greatest societal transformation of our time" Demos Helsinki

      16 Alestalo, Marja, "The rise of neo-liberalism in Finland: from the politics of equal opportunity to the search for scientific excellence" 6 (6): 35-47, 1993

      17 Castells, Manuel,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he welfare state - The Finnish model"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8 Perkio, Johanna, "The Struggle over Interpretation: Basic Income in the Finnish Public Discussion in 2006-2012" 2012

      19 Benner, Mats, "The Scandinavian challenge: the future of advanced welfare states in the knowledge economy" 46 (46): 132-149, 2003

      20 Vivekanandan, B, "The Finnish Welfare State in the 1990s: Challenges and Responses" 49 (49): 77-112, 2012

      21 Saari, Juho, "The Europeanisation of Social Protection" Policy Press 2007

      22 Jameson, Robert, "The Case for a Basic Incom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6

      23 Gerven, Minna van, "The Broad Tracks of Path Dependent Benefit Reform - A Longitudinal Study of Social Benefit Reforms in Three European Countries, 1980–2006" Kela 2006

      24 "Statistics Finland"

      25 Raunio, Tapio, "Semi-presidentialism and European integration: lessons from Finland for constitutional design" 19 (19): 567-584, 2012

      26 Saari, Juho, "Reforming social policy : a study on institutional change in Finland during the 1990s" Univ. of Turku, Dep of Social Policy 2001

      27 Parijs, Philippe van, "Redesigning Distribution: Basic Income and Stakeholder Grants as Cornerstones for an Egalitarian Capitalism Verso" 2006

      28 Stern, Andy, "Raising the Floor: How a Universal Basic Income Can Renew Our Economy and Rebuild" American Dream Public Affairs 2016

      29 OECD, "OECD Economic Surveys Finland"

      30 "Nordic Labour Journal"

      31 Jäntti, Markus, "Growth and Equity in Finland" World Bank 2005

      32 Milanovic, Branko, "Global Inequality: A New Approach for the Age of Globalization" Belknap Press 2016

      33 Kela, "From Idea to Experiment – Report on Universal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2015" Kela 2015

      34 Euro Insight, "Finland needs to reform, or close up shop"

      35 Saari, Juho, "Challenges to European Welfare Systems" Springer 2016

      36 Kangas, Olli, "Basic income experiment in Finland" European Social Policy Network, European Commission 2016

      37 Raventos, Daniel, "Basic Income: The Material Conditions of Freedom" Pluto Press 2007

      38 Parijs, Phillipe Van, "Basic Income: A Radical Proposal for a Free Society and a Sane Econom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7

      39 Wispelaere, Jurgen De, "Basic Income on the Agenda: Reflections on the Finnish Basic Income Experiment"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Bath 2016

      40 Birnbaum, Simon, "Basic Income Reconsidered: Social Justice, Liberalism, and the Demands of Equality" Palgrave Macmillan 2012

      41 Sheahen, Allan, "Basic Income Guarantee: Your Right to Economic Security" Palgrave Macmillan 2013

      42 Caputo, Richard K., "Basic Income Guarantee and Politics: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he Viability of Income Guarantee" Palgrave Macmillan 2012

      43 Raventos, Daniel, "Basic Income Guarantee and Politics: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he Viability of Income Guarantee" Palgrave Macmillan 2012

      44 Ikkala, Markku, "Basic Income Guarantee and Politics: Internation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the Viability of Income Guarantee" Palgrave Macmillan 2012

      45 Brown, Alessio JG,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 employment gain or fiscal drain?" 4 : 12-, 2015

      46 Bouckaert, Geert, "A potential governance agenda for Finland" Ministry of Finance 2000

      47 Mokka, Roope, "5 Views on What Basic Income Should Be and Why It Matters" Demos Helsinki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39 0.74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