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원효의 제7말나식관 - 원효 초기 저술에 나타난 제7말나식의 인식대상 논증을 중심으로 = The Concept of Manas in Wonhyo’s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 and the Ijangui 二障義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84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와 『이장의』 그리고 『대승기신론소』에 나타난 제7말나식 개념과 그 인식대상에 관한 고찰이다. 제7말나식은 제8알라야식설과 더불어 유가행파가 창...

      본고는 원효의 『대승기신론별기』와 『이장의』 그리고 『대승기신론소』에 나타난 제7말나식 개념과 그 인식대상에 관한 고찰이다. 제7말나식은 제8알라야식설과 더불어 유가행파가 창안한 새로운 식이다. 원효는 『대승기신론』을 주석하면서, 그 심식설을 현장계 유식학파의 8식설로 해설하고 있다. 이는 제7식을 배제하는 법장의 주석과 뚜렷이 구분되며, 그 중심에는 제7말나식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원효는 『기신론』에 등장하는 지상/지식을 현장계 유식학파의 8식설 중 제7말나식으로 주석한다. 나아가 원효는 단지 『기신론』의 지상/지식을 말나식으로 주석할 뿐 아니라, 말나식의 인식대상에 대해서 심혈을 기울여 논증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말나식이 알라야식 자체만이 아니라 거기에 현현하는 모든 법을 인식대상으로 한다는 것이다. 이 점은 이후 확립되는 현장계 유식학파의 정설과도 일치하지 않는다. 원효의 이러한 독특한 주장은 『성유식론』 이전에 현장이 번역한 유가행파 문헌에서 그 소재를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사상적 유사성과 더불어, ‘불공소의’, ‘아⋅아소집’ 등의 용어법을 실마리로 원효 말나식관의 소재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유가사지론』, 『유가사지론석』, 『현양성교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등의 일부 문장에서 원효의 말나식관과 유사한 내용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원효의 독특한 말나식관은 어쩌면 이와 같이 인도불교 자체에서 유래하는 여러 이견의 존재에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cept of the manas 意, viz. manonāma vijñāna 末那識, and its object of perception as seen in Wonhyo's 元曉 (617-686) Daeseung gisillon byeolgi 大乘起信論別記, Ijangui 二障義, and the Daes...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oncept of the manas 意, viz. manonāma vijñāna 末那識, and its object of perception as seen in Wonhyo's 元曉 (617-686) Daeseung gisillon byeolgi 大乘起信論別記, Ijangui 二障義, and the Daeseung gisillon so 大乘起信論疏. Manas, along with ālayavijñāna, are vijñānas newly created by the Yogācāra School. In Wonhyo's two commentaries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大乘起信論, the byeolgi 別記 and so 疏, his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the mind generally follows the framework of Xuanzang's 玄獎 (602-664) orthodox eightfold theory of the mind. In contrast, Wonhyo's contemporary Fazang 法藏 (643-712) explicitly excludes manas in his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herefore, the problem of manas is one of the main, clear differences between Wonhyo and Fazang. Wonhyo equates the mark of awareness 智相 and discriminating cognition 智識 found in the Awakening of Mahayana Faith to manas. However, he goes one step further and posits that the object of perception of manas is not just ālayavijñāna, but all dharmas; this is a view which does not accord with Xuanzang’s orthodox theories in the Cheng weishi lun 成唯識論. In this paper, I attempt to prove that the origins of Wonhyo’s unique concept of manas can be traced back to Yogācārabhūmi, *Yogācārabhūmivyākhya 瑜伽師地論釋, and Hsien yang sheng chi lun 顯揚聖敎論, through not only the similarities in thought, but also by the use of words such as ‘bulgong soui’ 不共所依, ‘a asojip’ 我我所執 that appear in Wonhyo’s commentaries. This implies that Wonhyo’s concept of manas likely dates back to ideas developed by the Indian Yogācāra Schoo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결론
      • Ⅰ. 서론
      • Ⅱ.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수, "인도철학의 원전적 연구" 여래 467-492, 2014

      2 김성철, "유식과 유가행" 씨아이알 2014

      3 오형근, "원효의 대승사상과 칠대성사상" 유가사상사 292-321, 1997

      4 은정희,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 별기" 일지사 1991

      5 남동신, "영원한 새벽 원효" 도서출판 새누리 1999

      6 차상엽, "무성석 섭대승론 소지의분 역주" 씨아이알 2010

      7 박태원, "대승기신론사상연구" 민족사 1994

      8 玄奘, "顯揚聖敎論"

      9 曇無讖, "金光明經"

      10 筏提摩多, "釋摩訶衍論"

      1 이지수, "인도철학의 원전적 연구" 여래 467-492, 2014

      2 김성철, "유식과 유가행" 씨아이알 2014

      3 오형근, "원효의 대승사상과 칠대성사상" 유가사상사 292-321, 1997

      4 은정희,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 별기" 일지사 1991

      5 남동신, "영원한 새벽 원효" 도서출판 새누리 1999

      6 차상엽, "무성석 섭대승론 소지의분 역주" 씨아이알 2010

      7 박태원, "대승기신론사상연구" 민족사 1994

      8 玄奘, "顯揚聖敎論"

      9 曇無讖, "金光明經"

      10 筏提摩多, "釋摩訶衍論"

      11 元曉, "起信論疏"

      12 石井公成, "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96

      13 吉津宜英, "華嚴一乘思想の硏究" 大東出版社 1991

      14 玄奘, "經論"

      15 玄奘, "瑜伽師地論"

      16 吉津宜英, "法藏『大乘起信論義記』の硏究" 11 : 139-156, 1980

      17 求那陀羅, "楞伽阿跋多羅寶經"

      18 高崎直道, "楞伽經" 大臧出版 1980

      19 福士慈稔, "新羅元曉硏究" 大東出版社 2004

      20 笈多共行炬, "攝大乘論釋論"

      21 眞諦, "攝大乘論釋"

      22 玄奘, "攝大乘論本"

      23 長尾雅人, "攝大乘論 和譯と注解 上" 講談社 2001

      24 眞諦, "攝大乘論"

      25 佛陀扇多, "攝大乘論"

      26 窺基, "成唯識論述記"

      27 玄奘, "成唯識論"

      28 竹村牧男, "如来蔵と大乗起信論" 春秋社 335-375, 1990

      29 石井公成, "如来蔵と大乗起信論" 春秋社 545-579, 1990

      30 吉津宜英, "如来蔵と大乗起信論" 春秋社 377-410, 1990

      31 慧遠, "大正藏44, No.1843."

      32 玄奘, "大乘阿毘達磨雜集論"

      33 竹村牧男, "大乘起信論讀釋" 山喜房佛書林 1985

      34 法藏, "大乘起信論義記"

      35 元曉, "大乘起信論別記"

      36 眞諦, "大乘起信論"

      37 慧遠, "大乘義章"

      38 玄奘, "因明入正理論"

      39 佐久間秀範, "唯識と瑜伽行" 春秋社 19-71, 2012

      40 菩提流支, "入楞伽經"

      41 大竹 晉, "入楞伽経の唯識説と大乗起信論" 21 : 67-80, 2003

      42 世親, "俱舍釋論"

      43 世親, "俱舍論"

      44 良賁, "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疏"

      45 元曉, "二障義"

      46 Schmithausen, Lambert, "Ālayavijñāna - On the Origin and the Early Development of a Central Concept of Yogācāra Philosophy, Part I, II" Tokyo 1987

      47 Hartmut Buescher, "Triṁś, Sthiramati's Triṁśikāvijñaptibhāṣya - Critical Editions of the Sanskrit Text and its Tibetan Translation" Verlag der Österreichis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48 P. Pradhan, "Tibetan Sanskrit Work Series 8" Patna 1975

      49 N. Tatia, "Tibetan Sanskrit Work Series 17" K. P.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976

      50 V. Bhattacharya, "The Yogācārabhūmi of Ācārya Asaṅga, Part 1" University of Calcutta 1975

      51 Bunyiu Nanjio, "The Laṅkāvatāra Sūtra" Otani University Press 1923

      52 Radich, Michael, "The Doctrine of *Amalavijñāna in Paramārtha (499-569), and Later Authors to Approximately 800 C.E" 京都大學 41 : 45-174, 2009

      53 Sylvain Lévi, "Mahāyānasūtrālaṁkāra, tome Ⅰ texte" Bibliothèque de l’Ecole des Hauts études 1907

      54 Gadjin M. Nagao, "Madhyāntavibhāgabhāṣya" Suzuki Research Foundation 1964

      55 Anandshankar B. Dhruva, "Gaekwad’s Oriental Series 38" 1930

      56 "Fragments From the Abhidharmasamuccaya of Asaṅga" 23 : 13-38, 194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6-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 Korean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Buddhist Studies -> Korea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019-06-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 -> 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0.93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