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안지역의 시계열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UAS 활용 가능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해변을 대상으로 =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UAS for Detecting Geomorphological Changes in Coastal Areas: A Case Study in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97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took time-series photos of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tiliz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n order to develop digital surface models (DSMs) of the area. The accuracies of these DSMs were then evaluated. After that, in order to verify whether UAS(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s proper applicability to figure out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DSMs have been differentiated. We differentiated the DSMs to verify whether our UAV system (hereafter, UAS) had a general applicability for detecting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In more particular, the DSMs were evaluated whether their errors lay within the error range of work provisions sugges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refore, quantitative vertical positional accuracies calculated additionally. We found very high positional accuracies with RMSEs ranging from 0.065 m to 0.14 m and R2 varying from 0.9979 to 0.9743, respectively. Erosion and sedimentation patterns were also checked with the verified DSMs. Hence, we conclude that the UAS employed in this research has an appropriate applicability for detecting geomorphological changes in coastal area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took time-series photos of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tiliz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n order to develop digital surface models (DSMs) of the area. The accuracies of these DSMs were then evaluated. After that, in ...

      In this study, we took time-series photos of the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tiliz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n order to develop digital surface models (DSMs) of the area. The accuracies of these DSMs were then evaluated. After that, in order to verify whether UAS(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s proper applicability to figure out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DSMs have been differentiated. We differentiated the DSMs to verify whether our UAV system (hereafter, UAS) had a general applicability for detecting coastal geomorphological changes. In more particular, the DSMs were evaluated whether their errors lay within the error range of work provisions suggested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refore, quantitative vertical positional accuracies calculated additionally. We found very high positional accuracies with RMSEs ranging from 0.065 m to 0.14 m and R2 varying from 0.9979 to 0.9743, respectively. Erosion and sedimentation patterns were also checked with the verified DSMs. Hence, we conclude that the UAS employed in this research has an appropriate applicability for detecting geomorphological changes in coastal area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근상, "해변지역에서 UAV를 활용한 3차원 지형모델링 구축 및 위치정확도 평가"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207-216, 2016

      2 김장수,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 18 (18): 39-51, 2011

      3 김정수, "항공LiDAR를 이용한 갯골 횡단면 분석 - 갯벌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20 (20): 67-82, 2013

      4 이재원, "항공 LiDAR 측량을 이용한 해운대 해안의 해안선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561-567, 2008

      5 최광희,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한국지형학회 19 (19): 17-27, 2012

      6 김태림, "태풍으로 인한 해안사구 침식 연구에 대한 카메라 관측 시스템의 유용성" 한국지형학회 21 (21): 41-52, 2014

      7 이연규, "태풍에 의한 해빈 퇴적물 조성 및 지형 변화(동해, 나아해빈)"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8 (8): 122-133, 2005

      8 서동주, "지형측량을 위한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 24 (24): 433-441, 2006

      9 유재진, "안면도 바람아래 할미섬 주변의 시계열적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 23 (23): 47-60, 2016

      10 김덕인,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32 (32): 29-38, 2014

      1 이근상, "해변지역에서 UAV를 활용한 3차원 지형모델링 구축 및 위치정확도 평가" 한국지적정보학회 18 (18): 207-216, 2016

      2 김장수,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 18 (18): 39-51, 2011

      3 김정수, "항공LiDAR를 이용한 갯골 횡단면 분석 - 갯벌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지형학회 20 (20): 67-82, 2013

      4 이재원, "항공 LiDAR 측량을 이용한 해운대 해안의 해안선 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 28 (28): 561-567, 2008

      5 최광희,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한국지형학회 19 (19): 17-27, 2012

      6 김태림, "태풍으로 인한 해안사구 침식 연구에 대한 카메라 관측 시스템의 유용성" 한국지형학회 21 (21): 41-52, 2014

      7 이연규, "태풍에 의한 해빈 퇴적물 조성 및 지형 변화(동해, 나아해빈)"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8 (8): 122-133, 2005

      8 서동주, "지형측량을 위한 무 프리즘 토털스테이션 정확도 평가" 한국측량학회 24 (24): 433-441, 2006

      9 유재진, "안면도 바람아래 할미섬 주변의 시계열적 침식·퇴적환경 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 23 (23): 47-60, 2016

      10 김덕인,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을 위한 연구" 한국측량학회 32 (32): 29-38, 2014

      11 배성지, "무인항공기반 태안반도 방포해빈의 지형분석" 한국지형학회 23 (23): 117-128, 2016

      12 우한별, "다중시기 항공사진과 현장조사를 통한 해안침식 변화 연구: 태안반도를 사례로" 한국지형학회 17 (17): 71-83, 2010

      13 장동호,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부산 송정해수욕장의 해안선 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 19 (19): 59-71, 2012

      14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ork provision for aerial photogrammetry public notification, subparagraph 2016-429"

      15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ork provision for aerial photogrammetry public notification, subparagraph 2013-2236"

      16 박정원, "VRS/RTK GPS 측량을 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 학암포와 안면 해안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 19 (19): 161-172, 2012

      17 Komar, P. D., "The analysis of exponential beach profile" 10 (10): 59-69, 1994

      18 Dubois, R. N., "Seasonal changes in beach topography and beach volume in Delaware" 81 (81): 79-96, 1988

      19 Office of Hydrographic Affairs, "Sailing Direction for The West Coast of Korea"

      20 Doong, D. J., "Quantity, distribution, and impacts of coastal driftwood triggered by a typhoon" 62 (62): 1446-1454, 2011

      21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Ocean Environment of Cheonsu bay, Korea, Oceangraphy Institute"

      22 Long, N., "Monitoring the Topography of a Dynamic Tidal Inlet Using UAV Imagery" 8 (8): 387-, 2016

      23 Lee, J. K., "Littoral Current Observation using Non-Target Total Station" 2005 (2005): 4646-4650, 2005

      24 Williams, H., "Geologic records of Holocene typhoon strikes on the Gulf of Thailand coast" 372 (372): 66-78, 2016

      25 Lee, B. J., "Explanatory note of the Daejeon sheet (1:250,000)"

      26 Richter, A., "Dune cliff erosion and beach width change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spits of Sylt detected with multi-temporal Lidar" 103 : 103-111, 2013

      27 Tappin, D. R., "Coastal changes in the Sendai area from the impact of the 2011 T- ohoku-oki tsunami: Interpretations of time series satellite images, helicopterborne video footage and field observations" 282 : 151-174, 2012

      28 UN, "Atlas of the Oceans"

      29 Pye, K., "Assessment of beach and dune erosion and accretion using LiDAR:Impact of the stormy 2013-14 winter and longer term trends on the Sefton Coast, UK" 266 : 146-167, 2016

      30 Lee, Y. C., "Assessing the Accuracy of DEM produced from Low cost Small-scale Unmanned Aerial System(sUAS) based Imagery" 5 : 89-92, 2015

      31 AgiSoft LLC, "AgiSoft PhotoScan"

      32 Zhao, B., "A simple waterline approach for tidelands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s: A case study in the Yangtze Delta" 77 (77): 134-14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