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규중칠우쟁론기〉異本 및 주제의식 再考 = A study on the different versions of “Gyujungchilwoojanrongi” and reconsidering its the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5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일찌감치 교과서에 수록되어, 선행 연구의 논의 결과 만을 답습하다보니 제대로 된 이본 검토마저 실행되지 않은 〈규중칠우 쟁론기〉의 주제의식을 다시 한 번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 교과서와 참고서의 해설을 통해 공식처럼 굳어진, 그러나 반성적 태도로 다시 살필 필요가 있는, 대상 자료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려고 한 것이다. 이본 비교, 등장인물의 성격 再考, 문학사적 의의 등을 골고루 고찰함으로써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보다 입체적인 해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규중칠우쟁론기〉는 현재 총 4종의 이본이 발견되며 이는 크게 세 가지 계열로 나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중에서 先本이 되는 것은 연세대本임을 밝히고, 각 이본 간 비교를 통해 善本을 추정하였다.
      또한 필자는 先本이자 좀 더 문맥이 쉽고 적확한 표현이 많이 쓰인 연세대본을 善本이라 판단하고, 이 이본을 바탕으로 〈규중칠우쟁론기〉의 주제의식을 새롭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규중칠우쟁론기〉는 모름지기 규중여인이라면 젊은 시절의 미모와 재능만 믿고 오만하게 굴어서는 안 되며, 연륜과 지혜를 중시하면서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포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살아야 함을 종용하는 것이 그 주제임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이 작품은 인생의 전성기나 쇠퇴기나 할 것 없이 눈에 크게 띄지는 않더라도, 변하지 않는 우정과 확신을 보여주는 인물을 진정한 벗으로 두어야 함을 함께 말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는 특히 ‘감토할미’라는 나이가 많지만 모든 상황을 혼자서 감수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인물이, 끝내 주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것으로 이야기를 마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는 바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일찌감치 교과서에 수록되어, 선행 연구의 논의 결과 만을 답습하다보니 제대로 된 이본 검토마저 실행되지 않은 〈규중칠우 쟁론기〉의 주제의식을 다시 한 번 재검토하고...

      본 논문에서는 일찌감치 교과서에 수록되어, 선행 연구의 논의 결과 만을 답습하다보니 제대로 된 이본 검토마저 실행되지 않은 〈규중칠우 쟁론기〉의 주제의식을 다시 한 번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 교과서와 참고서의 해설을 통해 공식처럼 굳어진, 그러나 반성적 태도로 다시 살필 필요가 있는, 대상 자료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려고 한 것이다. 이본 비교, 등장인물의 성격 再考, 문학사적 의의 등을 골고루 고찰함으로써 이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보다 입체적인 해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규중칠우쟁론기〉는 현재 총 4종의 이본이 발견되며 이는 크게 세 가지 계열로 나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이중에서 先本이 되는 것은 연세대本임을 밝히고, 각 이본 간 비교를 통해 善本을 추정하였다.
      또한 필자는 先本이자 좀 더 문맥이 쉽고 적확한 표현이 많이 쓰인 연세대본을 善本이라 판단하고, 이 이본을 바탕으로 〈규중칠우쟁론기〉의 주제의식을 새롭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규중칠우쟁론기〉는 모름지기 규중여인이라면 젊은 시절의 미모와 재능만 믿고 오만하게 굴어서는 안 되며, 연륜과 지혜를 중시하면서 다른 사람들에 대해서도 포용적인 태도를 가지고 살아야 함을 종용하는 것이 그 주제임을 살필 수 있었다. 또한 이 작품은 인생의 전성기나 쇠퇴기나 할 것 없이 눈에 크게 띄지는 않더라도, 변하지 않는 우정과 확신을 보여주는 인물을 진정한 벗으로 두어야 함을 함께 말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는 특히 ‘감토할미’라는 나이가 많지만 모든 상황을 혼자서 감수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인물이, 끝내 주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것으로 이야기를 마친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는 바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nts to reexamine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whose different versions have not been examined properly because of continuous discussions on the previous studies on “Gyujungchilwoojanrongi” which is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discuss on the data about “Gyujungchilwoojanrongi”, which have not been changed for a long time but need to be reexamined. The study wants to present diverse interpretations for understanding “Gyujungchilwoojanrongi” by considering many aspects such as comparing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k, reconsidering characters and the literary meaning of the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Gyujungchilwoojanrongi”, total four different versions of “Gyujungchilwoojanrongi” have currently been found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irst version was from Yonsei university after each version was compared to each other to find the first one.
      The first version from Yonsei university, which is easy to understand with proper expressions has been used to reconsider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As a result,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has been found that young women from good families should not be arrogant because of their beauty and talents, they have to respect experience and wisdom with magnanimous attitudes to other people.
      In addition, the story also tells that people have to make friends with people who show continuous friendship and conviction even though they don't stand out during the ups and downs of their lives. It could be understood when an old character called “Gamtohalmi” who could solve problems after enduring all of the situations despite her old age, was finally loved most by the owner.
      번역하기

      The study wants to reexamine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whose different versions have not been examined properly because of continuous discussions on the previous studies on “Gyujungchilwoojanrongi” which is included in Korean textb...

      The study wants to reexamine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whose different versions have not been examined properly because of continuous discussions on the previous studies on “Gyujungchilwoojanrongi” which is included in Korean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discuss on the data about “Gyujungchilwoojanrongi”, which have not been changed for a long time but need to be reexamined. The study wants to present diverse interpretations for understanding “Gyujungchilwoojanrongi” by considering many aspects such as comparing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k, reconsidering characters and the literary meaning of the 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Gyujungchilwoojanrongi”, total four different versions of “Gyujungchilwoojanrongi” have currently been found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re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first version was from Yonsei university after each version was compared to each other to find the first one.
      The first version from Yonsei university, which is easy to understand with proper expressions has been used to reconsider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As a result, the theme of “Gyujungchilwoojanrongi” has been found that young women from good families should not be arrogant because of their beauty and talents, they have to respect experience and wisdom with magnanimous attitudes to other people.
      In addition, the story also tells that people have to make friends with people who show continuous friendship and conviction even though they don't stand out during the ups and downs of their lives. It could be understood when an old character called “Gamtohalmi” who could solve problems after enduring all of the situations despite her old age, was finally loved most by the own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중칠우쟁론기〉6 이본 검토
      • Ⅲ. 〈규중칠우쟁론기〉 인물형상과 주제의식
      • Ⅳ. 결론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규중칠우쟁론기〉6 이본 검토
      • Ⅲ. 〈규중칠우쟁론기〉 인물형상과 주제의식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혜정, "「규중칠우쟁론기」와 「봉선화가」를 통해 본 意象의 문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8 : 1996

      2 이은정, "「閨中七友爭論記」와 「四誠錄」硏究-‘自照性’ 고찰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6 : 1985

      3 문교부, "중학 국어 3-1"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74

      4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규중칠우노리》"

      5 김용숙, "셩녹(四誠錄)" 淑明女子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會 8 : 1968

      6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忘老却愁記》"

      7 김진숙, "규중칠우쟁론考" 이화여자대학교 15 : 1975

      8 양민정, "국문여류수필을 활용한 한국 여성문화교육 방안 연구 - <규중칠우쟁론기><조침문>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163-188, 2009

      9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樂府』 下"

      10 장덕순, "韓國隨筆文學史" 박이정 1995

      1 허혜정, "「규중칠우쟁론기」와 「봉선화가」를 통해 본 意象의 문제"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8 : 1996

      2 이은정, "「閨中七友爭論記」와 「四誠錄」硏究-‘自照性’ 고찰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16 : 1985

      3 문교부, "중학 국어 3-1"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974

      4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규중칠우노리》"

      5 김용숙, "셩녹(四誠錄)" 淑明女子大學校 文理科大學 國語國文學會 8 : 1968

      6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忘老却愁記》"

      7 김진숙, "규중칠우쟁론考" 이화여자대학교 15 : 1975

      8 양민정, "국문여류수필을 활용한 한국 여성문화교육 방안 연구 - <규중칠우쟁론기><조침문>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163-188, 2009

      9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 『樂府』 下"

      10 장덕순, "韓國隨筆文學史" 박이정 1995

      11 정명숙, "閨房隨筆의 諷刺性과 詼諧性-閨中七友爭論記를 中心으로-, In 隨筆文學硏究" 정음사 1980

      12 정진권, "閨中七友爭論記 考察-現代隨筆文學의 創造的 地平의 擴張을 위하여"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48 : 1984

      13 이병기, "要路院夜話記" 乙酉文化社 1949

      14 김동욱, "(羅孫本) 筆寫本古小說資料叢書 2" 保景文化社 1991

      15 李用基, "(註解)樂府"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우리문학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1 1.35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