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의 연기설화는 대체로 문헌을 중심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구전으로 전래되는 경우도 많다. 문헌자료는 대부분 사찰의 사지(寺志) · 사적기(事跡記) · 중수문(重修文) · 비명(碑銘) · 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04172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41-377(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찰의 연기설화는 대체로 문헌을 중심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구전으로 전래되는 경우도 많다. 문헌자료는 대부분 사찰의 사지(寺志) · 사적기(事跡記) · 중수문(重修文) · 비명(碑銘) · 탑...
사찰의 연기설화는 대체로 문헌을 중심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구전으로 전래되는 경우도 많다. 문헌자료는 대부분 사찰의 사지(寺志) · 사적기(事跡記) · 중수문(重修文) · 비명(碑銘) · 탑기(塔記) 등에 기록되어 전해지는데, 국내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는『삼국유사』에 전해지고 있는 64편의 사찰 연기설화가 있다. 연기설화는 사찰의 기원을 밝히고 있는 것으로, 그것이 전승의 과정을 거치면서 내용적으로나 구조적으로 변용됨을 알 수 있다.
본고는 과거 문헌의 형태로 연기설화가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나, 환란에 의해 멸실되고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근래에 이르러 다시 문헌으로 정리되고 있는 칠불사 연기설화의 성립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칠불사의 연기설화는 두 가지 큰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첫째는 사찰의 명칭과 신라왕들에 대한 이야기 전개이다. 칠불사의 원형이 되는 운상원은『삼국사기』에 등장하고 『동국여지승람』에서는 칠불암으로 그 명칭이 변해왔다. 운상원이 칠불암으로 변한 것과 더불어 일곱 부처의 연기설화는 언제 발생한 것일까? 일연선사의 『삼국유사』「가락국기」를 기반으로 한 가락국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만남과 혼인의 과정을 모티브로 삼고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이후 칠불사 연기설화는 『삼국유사』등의 영향에 의해 혼재하면서 변용을 보이며 성립하고 있다. 둘째는 칠불사의 아자방을 축조한 연대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신라 지마왕(祗摩王) 8년(119)에 담공선사가 만들었다는 설이다. 다른 하나는 신라 효공왕(孝恭王, 897∼911) 때 금관가야에서 온 담공선사가 아자방을 축조했다는 것이다. 두 설의 연대는 상당한 차이가 나지만 공통점은 담공선사가 축조했다는 점이다.
칠불사의 연기설화는 사찰의 성격변화 양상을 담아내면서 다양한 양태로 변용되어 왔다. 조선시대 조선의 선맥에 있어 가장 중요한 두 인물, 즉 청허선사와 부휴선사가 칠불암의 중창에 함께 힘썼으며, 쌍계사와 칠불암을 중심으로 왕성한 활약을 하였다. ‘동국제일선원(東國第一禪院)’이라는 칠불사의 현판이 의미하듯이 조선시대 불교의 선맥은 칠불사를 중심으로 형성 · 전개되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연기설화를 통해 사찰의 정통성을 확인하고 그 맥을 찾아 다시금 본래정신을 회복하려는 시도에 의하여 연기설화는 단지 하나의 이야기가 아니라 사찰의 살아 있는 정신적 역사로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화개면지편찬위원회, "화개면지" 가람출판사 2002
2 정순일,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학교 교학대학 2002
3 박경훈, "청허당집" 동국대학교부설역경원 1993
4 이상구, "지리산권 불교설화"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09
5 김용태, "조선후기불교사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6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4"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7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48) : 135-168, 2011
8 황패강, "신라불교설화연구" 일지사 1975
9 신동하,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서울대 2000
10 전영진, "삼국유사속의 연기설화의 전개양상과 문학사상" (창간) : 1998
1 화개면지편찬위원회, "화개면지" 가람출판사 2002
2 정순일,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학교 교학대학 2002
3 박경훈, "청허당집" 동국대학교부설역경원 1993
4 이상구, "지리산권 불교설화"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2009
5 김용태, "조선후기불교사연구: 임제법통과 교학전통" 신구문화사
6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4"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7 이남희, "조선 사회의 유교화(儒敎化)와 여성의 위상 — 15·16세기 족보를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연구원 (48) : 135-168, 2011
8 황패강, "신라불교설화연구" 일지사 1975
9 신동하,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서울대 2000
10 전영진, "삼국유사속의 연기설화의 전개양상과 문학사상" (창간) : 1998
11 권동우, "삼국유사 불교연기설화의 신화적 특성에 대한 연구" 천태불교문화연구원 15 : 2012
12 아라키겐고, "불교와 유교" 예문서원 2000
13 고익진, "벽송지엄의 신자료와 법통문제"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2 : 1985
14 방동수, "김해김씨, 허씨, 인천이씨 사성 김해김씨의 연원에 대하여" 동방예학회 12 : 2004
15 상현거사찬, "경남하동군지리산쌍계사칠불암상량문" 불교진흥회본부 2 : 1915
1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경남의 사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17 應允, "鏡巖集"
18 김종수, "金海金氏璿源大同譜" 호서출판사 1977
19 杉本卓洲, "迦葉佛の塔" 日本印度學 佛敎學會 27 (27): 1978
20 意恂抄錄, "茶神傳"
21 南孝溫, "秋江集"
22 "東國輿地勝覽"
23 "晉陽誌"
24 "三國遺事"
25 "三國史記"
정산 송규의 영 · 기 · 질(靈氣質) 사상과 심신치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0-06-2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rch Institute for The Wonbuddhist Thoughts -> The Research Institute of Won-buddhist Thought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5 | 0.76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