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단순한 시각적 장식을 넘어 서사 전달과 관객의 심리적 몰입을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예모 감독의 영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2278
2025
Korean
리얼리즘 영화 ; 인생 ; 색채 ; 색채 심리 ; Realism film ; To Live ; Color ; Color psychology
KCI등재
학술저널
147-160(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단순한 시각적 장식을 넘어 서사 전달과 관객의 심리적 몰입을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예모 감독의 영화 <...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단순한 시각적 장식을 넘어 서사 전달과 관객의 심리적 몰입을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로 작용함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예모 감독의 영화 <인생>을 사례로 여섯 개의 주요 장면을 선정하여, 색채의 명도, 채도, 대비가 인물의 심리 상태와 감정적 여정, 서사적 전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색채가 단순히 미적 요소를 넘어 영화의 서사와 감정을 전달하는 데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어두운 색조에서 밝은 색조로의 전환은 절망에서 희망으로 나아가는 인물의 내적 여정을 상징하며, 관객이 영화의 메시지에 감정적으로 몰입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였다.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과 같은 주요 색채는 각각 긴박감, 안정감, 희망 등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을 유도하며, 서사적 긴장감과 감정적 전환을 시각적으로 부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색채 대비는 서사의 주요 전환점을 강조하며, 관객이 인물의 심리와 영화의 메시지에 더 깊이 공감하도록 유도하였다.
장예모 감독은 색채를 정교하게 활용하여, 중국 현대사의 변화와 인물의 감정적 여정을 심층적으로 전달하였다. 색채는 단순한 상징성을 넘어 리얼리즘 영화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을 시각적으로 반영하고, 관객의 정서적 몰입과 영화의 주제 이해를 돕는 핵심 요소로 기능하였다.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 제작에서 색채 심리학의 실질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색채가 영화 서사와 감정 전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색채는 단순히 인물의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서사의 전개와 메시지 전달을 시각적으로 강화하는 핵심 매개체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리얼리즘 영화에서 색채가 서사 전달과 감정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탐구하며, 색채가 다양한 영화 장르에서도 서사와 정서를 강화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olor in realism films functions as a core medium that goes beyond mere visual decoration to enhance narrative delivery and audience psychological immersion. For this purpose, the film To Live by Zhang Yimou was analyzed...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color in realism films functions as a core medium that goes beyond mere visual decoration to enhance narrative delivery and audience psychological immersion. For this purpose, the film To Live by Zhang Yimou was analyzed through the selection of six key scenes, focusing on how brightness, saturation, and contrast of colors influence the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emotional journeys, and narrative transi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lor serves as a vital tool for conveying the film’s narrative and emotions, rather than merely acting as an aesthetic element. The transition from dark tones to bright tones symbolizes the characters' internal journey from despair to hope, helping the audience emotionally engage with the film’s message. Key colors such as red, blue, and yellow elicit various psychological responses—urgency, stability, and hope, respectively—while emphasizing narrative tension and emotional transitions through visual contrast. Furthermore, color contrasts highlight pivotal narrative points, encouraging the audience to deeply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the film’s message.
Zhang Yimou masterfully utilizes color to intricately portray the shifts in modern Chinese history and the emotional journeys of the characters. Beyond simple symbolism, color visually reflects the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of realism films, serving as a critical element that aids audience immer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film’s themes.
This study proposes practical possibilities for applying color psychology in the production of realism films and examines how color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livering narrative and emotions. It demonstrates that color not only expresses characters’ psychological states but also enhances the progression of the narrative and the delivery of the film’s message as a central medium. The study also explores the significant role of color in conveying narrative and emotional expression within realism films, suggesting that color can be a valuable tool to enhance storytelling and emotional depth across various film genres.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 앱 인터페이스 시각 디자인 연구 분석
서비스 터치포인트를 바탕으로 한 박물관 전시공간의 인터렉티브 디자인 연구
MZ세대 젊은 여성들이 선호하는 세럼 용기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비교 연구 -한중 브랜드 중심으로-
중국 서유기 영화에 표현된 손오공(孫悟空) 복식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