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 A Study on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7345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입학 후 첫 학기는 학업, 인간관계, 생활면에서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므로 변화의 필요성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시기이다. 첫 학기 전환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은 후속 학기 전환에 ...

      대학입학 후 첫 학기는 학업, 인간관계, 생활면에서 모든 것이 새롭게 시작되므로 변화의 필요성이 가장 크게 느껴지는 시기이다. 첫 학기 전환 과정을 잘 이해하는 것은 후속 학기 전환에 기초가 되며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에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등교육에서 고등교육으로의 전환기를 맞이한 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에 대한 이론을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대학입학 전 예비대학생 시기부터 입학 후 1학기 말까지 전환 경험의 종단적 자료를 수집하여 Strauss와 Corbin(2001), Glaser와 Strauss(2011)가 제시한 근거이론적 접근에 따라 중요 시기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고, 첫 학기 전 과정에 걸쳐 나타난 통시적 전환 유형의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학입학을 앞둔 남학생 12명, 여학생 20명인 총 3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1월 말에서 2월 말 사이에 이루어진 1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입학 후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2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을,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에 이루어진 3차 면담 자료를 근거로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을 분석하였다.
      예비신입생들의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66개의 개념과 23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러한 원인 조건이 중심 현상을 일으키게 되는 맥락적 조건으로 ‘대학생 역할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에 개입하게 되는 조건으로는 ‘대학에 대한 사전 경험’과 ‘생활공간 이동 예정’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대학생활에 대한 기대와 걱정’이었다. 그리고 개입 조건에 의해 나타난 상호작용 전략은 ‘대학생이 된 자신을 상상해 봄’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대학생이 될 준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7개의 범주들에 걸쳐 11개의 속성과 30개의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막연한 걱정, 설레는 기대, 대학생이 된다는 기다림’으로 요약되었다. 대학입학 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 및 학과 선택 동기와 사전 대학 경험에 영향을 받아 ‘활동적 준비형’, ‘자기관리형’, ‘정서적 반응형’, ‘느긋형’의 4가지로 분류되었다.
      대학입학 후부터 중간고사 이전까지 대학신입생들이 경험한 전환을 개방코딩한 결과, 128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한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학업세계에 대처’, ‘달라진 인간관계에 대처’, ‘달라진 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12개의 범주에 걸쳐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이 나타났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전 전환 유형은 주로 대학신입생들이 학기 초에 고등학교와의 차이를 인식하고 대학생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동기,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았으며,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되었다.
      중간고사 이후부터 학기말까지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00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중간고사 후 자기 평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는 ‘전환 재조명’ 범주가 나타났다. 개입 조건으로는 ‘이전 전환 경험’과 ‘전환 의지’가 나타났으며,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다. 상호작용 전략은 ‘우선순위 적용 전략’과 ‘자기주도적 전환 전략’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전환조정과 재전환’, ‘1학기 전환 마무리’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9개의 범주들에 걸쳐 15개의 속성과 31개 차원이 발견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나를 찾아가는 대학생 되기, 진정한 탈바꿈’으로 요약되었다.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의 유형은 주로 시험 이후 자기주도적으로 전환을 진행하고자 하는 동기, 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려는 전환 의지에 영향을 받아 ‘계속 발전형’, ‘만족 지속형’, ‘무목적 분주형’, ‘계획 미이행형’, ‘조기 포기형’의 5가지로 분류되었다.
      시기별 전환 경험을 통합한 축코딩 모형을 구축한 결과, 이전 시기의 전환 결과는 원인 조건에 영향을 주면서 서로 연계되어 있었고, 세 시기에 걸쳐 전환 현상에 영향을 주는 범주들은 동기적 요소, 전략적 요소, 실천적 요소로 요약되었다.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은 ‘도입 단계’, ‘정보 수집 단계’, ‘적용 단계’, ‘조정·재적용 단계’, ‘마무리 단계’를 거치면서 전개되었다. 전환 과업의 내용이나 필요에 따라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고, 역행 및 반복적인 특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대학신입생의 전환 경험을 통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동기, 전략, 실천의 3요소를 강약의 차원으로 구분하여 유형을 분석한 결과, ‘모방동조형’, ‘분주활동형’, ‘은둔정보형’, ‘냉담형’, ‘시행착오형’, ‘균형성취형’, ‘의도적유보형’, ‘마음만굴뚝형’의 8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각 유형이 세 시기별로 어떠한 변동 양상을 나타내는지 분석한 결과, ‘유형일관형’, ‘유형변화무쌍형’, ‘대학입학 후 유형일관형’, ‘유형유지 후 변동형’, ‘유형회귀형’의 5가지 변화유형이 나타났다. 이는 첫 학기 전환 경험이 동기, 전략, 실천의 강도에 따라 역동적이라는 것과 대다수 연구 참여자들의 전환 유형이 한 가지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대학생활적응의 필요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경험을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전환기 신입생들의 경험의 “역동성과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발견들을 반영하여 생성한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이론’은 대학신입생이 첫 학기 동안 대학입학, 중간고사, 기말고사라는 주요 국면마다 전환의 각 단계를 거쳐 가며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성장해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전환적 관점의 이해가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대학생으로의 전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이와 관련된 정책 및 학술적 제안을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theory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uild a theory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that reflects the transition experiences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Glaser and Strauss(2011) was used in this investigation. In the study,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consist of three transition time-points of the admission and entrance to university, the mid-term examination, and the end of the term. College students’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analyzed by each transition period, an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transition experience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the first semester were explored.
      In order to collect longitudinal qualitative data, for about six mont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The first interviews were conducted before entering the university. The second interviews’ data was collected after the mid-term and the final interview took place after the end of the term.
      As a result of the opening coding and axial coding based on the first interviews, 66 concepts, 23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extracted, and 11 attributes and 30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worries with vagueness and excitement with expectations in looking forward to becoming college students'. Four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the motivation to choose one’s own college and prior experiences about college life: 'active preparation', 'self-management', 'emotional reaction', and 'relaxed'
      In the second interviews,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28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in which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Regarding the final interview,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have found 100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in which 15 attributes and 31 dimensions were involved.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the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becoming a college student who is exploring the self, a real transformation'. Five types of transition experience during this period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self-initiative transitional motivation and willingness: ‘continuing development’ 'satisfying', 'aimless busy', 'not implementing with plan only', 'foreclosing’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of freshmen was proceeded by five steps of 'introduction', 'collecting information', 'application', 'adjustment and reapplication’, and 'finishing'.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needs of the transition task, the sequence of the steps was somewhat varied.
      In addition, the transition types were determined by the levels of transitional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The changing patterns of those transition types were explored over three transition periods. The changing pattern types include 'consistency', 'all-the-time change', 'first-half change and second-half consistency' 'first-half consistency and second-half change’, ‘reg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 experiences were dynamic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motivation, strategies, and practice, and that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ransition type was not fixed as one but changed with the needs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on the adaptation of college for the first semester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Further studies of transition to college students are needed to understand college students’ real-life transitional experienc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Ⅱ. 이론적 배경 12
      • 1. 전환의 개념과 특징 12
      • 2. 대학신입생의 전환기적 과업 22
      • 3. 대학신입생의 전환 촉진 요인 26
      • Ⅲ. 연구방법 35
      • 1. 연구 절차 35
      • 2. 연구 참여자 38
      • 3. 자료 수집 방법 40
      • 4. 자료 분석 방법 42
      • 가. 개방코딩 43
      • 나. 축코딩 45
      • 다. 선택코딩 46
      • 라. 자료 분석의 타당성과 신뢰성 확보 49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1 : 시기별 전환 경험 51
      • 1. 입학 전 전환 경험 51
      • 가. 개방코딩 결과 : 개념과 범주화 51
      • 나. 축코딩 결과 :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 75
      • 다. 선택코딩 결과 : 예비신입생의 전환 경험 근거이론 78
      • 2.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 89
      • 가. 개방코딩 결과 : 개념과 범주화 89
      • 나. 축코딩 결과 :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 153
      • 다. 선택코딩 결과 :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 근거이론 158
      • 3.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 176
      • 가. 개방코딩 결과 : 개념과 범주화 176
      • 나. 축코딩 결과 :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 224
      • 다. 선택코딩 결과 :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 근거이론 228
      • 4. 전환 경험 축코딩 통합 모형 246
      • 5.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단계 분석 248
      • 6. 요약 251
      • 가. 대학입학 전 전환 경험 251
      • 나. 중간고사 이전 전환 경험 252
      • 다. 중간고사 이후 전환 경험 254
      • 라. 시기별 전환 경험의 통합 255
      • Ⅴ. 연구 결과 및 해석 2 : 통시적 전환 경험 256
      • 1. 전환 경험의 요소를 적용한 유형화 256
      • 가. 모방동조형 257
      • 나. 분주활동형 259
      • 다. 은둔정보형 261
      • 라. 냉담형 263
      • 마. 시행착오형 264
      • 바. 균형성취형 267
      • 사. 의도적유보형 269
      • 아. 마음만굴뚝형 272
      • 2.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경험의 변화 276
      • 가. 유형일관형 279
      • 나. 유형변화무쌍형 281
      • 다. 대학입학 후 유형일관형 285
      • 라. 유형유지 후 변동형 286
      • 마. 유형회귀형 288
      • 3.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전환 과정 이론 생성 291
      • Ⅵ. 논의 및 제언 294
      • 1. 논의 295
      • 2. 제언 301
      • 가. 정책적 시사점 301
      • 나. 대학신입생 프로그램 구안 303
      • 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307
      • 참고문헌 310
      • 부록 1 325
      • 부록 2 334
      • 부록 3 336
      • 영문초록 34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유기웅, "null", 2016년 하계 연구방법론 워크샵 자료집 :근거이론, 2016

      2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학지사, 1998

      3 이정남, 추연구, "특수교육의 이해", 양서원, 양서원, 2012

      4 안기성, 정태수, 윤정일, 유용식, "교육 행정 재정사",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회, 2000

      5 김송희, "세계화 속의 한국교육", 지식공감, 지식공감, 2012

      6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박영사, 2012

      7 김성학, "『한국 근대교육의 탄생』",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13

      8 고동섭,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9 이종승, "교육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11

      10 김노은, "대학 신입생 우울의 영향요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40(4),5-26, 2012

      1 유기웅, "null", 2016년 하계 연구방법론 워크샵 자료집 :근거이론, 2016

      2 정옥분,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학지사, 1998

      3 이정남, 추연구, "특수교육의 이해", 양서원, 양서원, 2012

      4 안기성, 정태수, 윤정일, 유용식, "교육 행정 재정사",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회, 2000

      5 김송희, "세계화 속의 한국교육", 지식공감, 지식공감, 2012

      6 유기웅, "질적 연구 방법의 이해", 박영사, 박영사, 2012

      7 김성학, "『한국 근대교육의 탄생』",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13

      8 고동섭,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9 이종승, "교육 심리 사회 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11

      10 김노은, "대학 신입생 우울의 영향요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40(4),5-26, 2012

      11 김은정, 도경선, 이원경, 나정은, "1학년 세미나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 구,2(1),185-207, 2008

      12 홍혜경, "대학 1학년생들의 역량과 현실",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35-140, 2013

      13 김윤희, 유영달, 최재희, "ADHD 성향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 치료,16(2),161-185, 2016

      14 박용한, 정은이, "대학 적응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방법학회, 교육방법연구, 21(2),69-92, 2009

      15 김선애, 연진영,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과 관련 변인", 한국아동학회, 한국아동학회, 10(2),45-60, 1989

      16 정현숙, "대학 신입생들의 음주 행태 및 음주문화", 대구한의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10

      17 김성문, "체육계열 신입생의 대학 진학 과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18 최은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조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9 권해수, "전공기반의 신입생세미나 운영 효과 검증",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7(2), 249-272, 2013

      20 김희진, 안선영, 박현준, "청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이행과정 연구 Ⅱ", 한국청소 년정책연구원 보고서, 2011

      21 손유미, 진미석, 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체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 학연구,29(4),461-486, 2011

      22 원계선, "유아교육과 남학생의 신입생으로 살아가기",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아동보육연구, 7(1), 5-25, 2011

      23 민춘기, "대학 신입생 기초교육:수업사례와 개선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7(1), 295-330, 2013

      24 이길상, "근대 교육주체의 특성과 한국 교육의 식민성",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22(2), 51-68, 2000

      25 홍성연,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소, 교육종합연구,14(1), 271-295, 2016

      26 김정엽,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우울과의 관계",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10(4), 243-263, 2008

      27 김은경, 차봉준, "국내 대학 신입생 세미나의 현황과 만족도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 구,11(2),311-338, 2017

      28 김혜숙, "대학 1학년 교육(FirstYearExperiences)의 세계적 흐름", 대학교양교 육협의회 추계 심포지움 자료집,7-25, 2005

      29 강명숙, "미군정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학회, 한국교육사학, 24(1),81-98, 2002

      30 이지영, "대학「신입생 세미나」운영 사례 및 효과성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1 김성경,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0(2),215-237, 2003

      32 백은주 ( Eun Joo Baik ), 이해듬 ( Hae Deum Lee ), 남민우 ( Min Woo Nam ),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순 천향 인문과학논총,34(2),233-260, 2015

      33 박선희, 임배, 이효성, 오종욱, 신용섭, "대학 신입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활 성화 방안",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제7회 동계심포지엄 발표집,5-22, 2009

      34 오영재,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25, 141-164, 2006

      35 조형숙, 류혜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 입문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 교육연구,13(3),249-276, 2008

      36 서현(Seo Hyun), 송선화(Song Sun-hwa),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 육연구,15(1),361-391, 2010

      37 전은화, "대학 신입생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기반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연구, 26(3),103-122, 2013

      38 권혁용, "대학 신입생들의 비만도 및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6

      39 강성배, 김광현,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 연구,10(3),253-293, 2016

      40 오성배, "“대학입학전형별 입학생의 학교생활 추이 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33(1),1-18, 2015

      41 유솔아(Sol-A Yu), "미국 대학의 신입생 대상 교육과정 실행 사례 분석", 韓國比較敎育學會, 비교교육연구, 21(5),29-57, 2011

      42 차봉준(Cha, Bong-Jun), "신입생 세미나 운영 현황과 교과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 10(3),227-252, 2016

      43 이문정, 최예정, "신입생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 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67-73, 2014

      44 금명자, 남향자, "“전국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 및 정신건강”",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인간이해, 31(1),105-127, 2010

      45 백운호, "고독감 수준에 따른 대학신입생의 심리사회적 특성", 계명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1

      46 김지하, 이병식, "대학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교육성과 차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 학연구,41(2),209-230, 2010

      47 전경애,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들의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12(6),508-517, 2012

      48 박복남, 이정란, 양경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호교육학회지,18(1),5-13, 2012

      49 설정덕, 최현욱, 이철원, "대학 골프부 신입생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22(3),323-333, 2013

      50 염민호, "대학 신입생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모형의 고안",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 구,33(4),359-388, 2015

      51 박미희, 김성식, "대학입시 준비 경험이 대학진학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사 회학연구,23(1),1-24, 2013

      52 신소영,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신입생 프로그램 효과 및 요구", 대학교육개발 센터협의회 제7회 동계심포지엄 발표집,153-163, 2009

      53 이대형, 류진혜, "2004학년도 서울캠퍼스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연구", 대학 생활연구,22,177-222, 2004

      54 김은아, 박경임, "간호대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한국간 호교육학회지,20(2),234-243, 2014

      55 손요한, "개념도 방법론을 활용한 대학신입생의 상담요구 분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전주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2014

      56 박선주, 박수정,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 유형과 학업계획의 차이",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 정학연구,34(2),75-95, 2016

      57 고영진, 오수연, "대학 신입생의 쓰기과제물 제목구성 지도교수법 제안", 인문학 연구,51(1),32-62, 2015

      58 윤소정, 윤채영, "입학사정관제 신입생을 위한 대학적응 프로그램 개발", 수산해 양교육연구,23(1),23-34, 2011

      59 류혜숙,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유아교육 입문경험의 의미",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60 민웅기, "대학적응을 위한 신입생 선행 교육 프로그램 사례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 구,7(6),275-304, 2013

      61 김정은, 최경훈, 장은겸, 이다희, 이경민, 김형석, "신입생의 빠른 대학생활 적 응을 위한 활동 오락앱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23(2), 79-80, 2015

      62 박호관,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 학습 사례 분석", 우리말글, 63,69-101, 2014

      63 김진영, "대학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직업교육연 구,32(6),43-56, 2013

      64 이영희, "대학신입생의 건강실천행위와 스트레스에 따른 영양상태",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6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C 2012-4, 2012

      66 김수연, "대학 학업중단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1학년 적응 과정 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 육연구,25(3),139-160, 2012

      67 민영선, "일개 대학 신입생들의 입학 전 2개월간 안전사고 발생 실태", 동국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8 윤상진, "일반계 고등학교의 진로교육에 관한 대학교 신입생의 인식", 충남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2

      69 김헌주 ( Heonjoo Kim ), 김경미 ( Kyungmi Kim ),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과 진로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7(4),169-178, 2017

      70 이종현, "대학 신입생들의 인성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 육연구,10(2),219-250, 2016

      71 김남연, 류혜숙,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과정 의 어려움",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논집,11(4),368-387, 2007

      72 박현태, "간호학과 신입생의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한국산 학기술학회 논문지,15(3),1576-1583, 2014

      73 Corbin, J., Strauss, A., "근거이론의 단계[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신경림 역).현문사", (원전은 1998년 출판), 2001

      74 김태은, 안태연, 노원경, "초 중학교 전환기 교수학습 차이 분석:영어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5(5),159-186, 2015

      75 엄선영, 이강이,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 교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한국 가정과교육학회지,24(3),89-100, 2012

      76 나은미, "대학 신입생을 위한 성찰과 설계를 위한 쓰기 교육의 한 방법", 한국작문학회, 작문 연구,16,143-170, 2012

      77 최윤희 ( Choi Yun Hee ), "대학 신입생의 삶의 의미 탐색을 위한 글쓰기 교육 모형 연구",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 사회21,7(5),1205-1221, 2016

      78 정준영, "대학문화 길들이기:대학교 신입생환영회로 인한 사고와 언론", 한국사회사학회, 사회 와 역사,88,79-114, 2010

      79 남민우(Nam, Min-Woo), 백은주(Baik, Eun-Joo), 이해듬(Lee, Hae-Deum),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간 구조적 관계 분석",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순천향 인문과학 논총,35(4).147-174, 2016

      80 유순화 ( Soon Hwa Yoo ),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전환에 관한 학생들의 기대와 지각",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 육연구,20(1),355-375, 2007

      81 이현정, 이대균 ( Dae Kyun Lee ), 송정원 ( Jeong Won Song ), "2,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과정의 질적 고찰", 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12(2),375-401, 2007

      82 김장회, 이인경, "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을 위한 교수 멘토링 교육과정의 효 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2(2),673-691, 2011

      83 김은경, 이경화, 유경훈, "대학신입생의 부모관여,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아시아교육연구,14(3),183-201, 2013

      84 류혜숙, "3년제 유아교육과 신입생 시기의 학업 성취도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 린이문학교육연구,17(2),215-239, 2016

      85 송지은(Song, Ji Eun), 이광호(Lee, Kwang Ho), "대학 지방캠퍼스 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24(4),95-124, 2017

      86 윤채영 ( Chae Young Yun ), 김정섭 ( Jung Sub Kim ), "예방적 학습컨설팅이 전환기 중학생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58(3).381-408, 2010

      87 강기수, "입학사정관전형 신입생의 대학적응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교육 사상연구,26(1),1-35, 2012

      88 김태은 ( Tae Eun Kim ), 고정화 ( Jung Hwa Ko ), 안태연 ( Tae Youn Ahn ), 노원경 ( Won Kyung Roh ),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의 교과태도 및 학교행복감 차이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28(4),61-89, 2015

      89 김경영,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APEC국제교육협력원, 국 제교육협력연구,4(2),67-95, 2011

      90 김종경, 유경희,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 석",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6(8),580-591, 2016

      91 윤연기, 김판희, "중학교 전환기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대한사고개발학회, 사고개발,12(1),69-86, 2016

      92 최병문, "국내 대학 신입생 세미나의 효과성 분석과 개선방안에 대한 토론", 한 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627-630, 2016

      93 정동영, "지적장애학생의 전환 지원을 위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방법 탐 색",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특 수교육교과교육연구,7(1),1-25, 2014

      94 박상연, 최임수, "경영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적응을 위한 동기유발프로그램 운 영효과", 한국경영교육학회, 한국경영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2013(1),1-24, 2013

      95 김수경, "분산분석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의 전형유형별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96 김보나, 김이경, "대학입학 선발 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차이 분석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문화연구,21(3),5-25, 2015

      97 박승민, 변복수,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의 입학 후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질 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문제연구,27(1),29-56, 2014

      98 김대현, 이수영, 박윤경, "경희대학교 신입생 입학전형별 사후관리 프로그램 활 성화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입학전형연구,1,181-204, 2012

      99 김은정, "교육대학교 신입생 출신 고등학교 유형,학습양식 및 학교적응의 관 계", 교육논총,53(2),1-18, 2016

      100 원호택, "적응과 부적응,서울대교육연구소 편저,교육학 대백과사전.(pp. 2277-2280)", 하우동설, 1999

      101 정수진, "기숙사 거주 여대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일상감정을 중심으 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학교사회복지,29,205-236, 2014

      102 조계영, "대학신입생의 자아효능감,과학적 태도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상관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03 박기흠, 정휘수, 이신형, 이동욱, 윤주영, 박정재, "일개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 생활적응에 대한 불안,우울,스트레스의 영향",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가정의학회지,30(10), 796-804, 2009

      104 김진경, 한우석, 이혜경, "대학신입생 학업동기 향상을 위한 동기유발 학기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3(7),522-530, 2013

      105 윤여긍, "대학 신입생의 자아정체감과 대학생활 적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06 김수빈, 정영숙, "대학신입생의 자기존중감, 자기자비와 대처전략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발달,27(4),117-140, 2014

      107 한송희, "대학 신입생의 정서경험유형에 따른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08 김한별, 박소연,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과정에서의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교양교육연구,6(1),153-178, 2012

      109 전보라, 윤소정, "대학 신입생, 그들의 어려움에 관한 이야기: 대학생활적응 경험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7(3),731-742, 2017

      110 이송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이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16(1),109-128, 2014

      111 최선녀,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자서전 쓰기 교육–미래 자서전 쓰기를 중심 으로-", 교양교육연구,8(5),97-130, 2014

      112 한경훈, 한수정, "대학 신입생의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학업적응,사회적응 및 정서적응의 관계",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42(4),291-324, 2013

      113 김영천, 이동성,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근거이론의 철학적 배경과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20(2),1-26, 2012

      114 심혜숙, 김홍석, "자기조절학습과 부모학습관여 형태에 따른 전환기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수준",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10(4),2321-2333, 2009

      115 김은정, 홍혜경, 이원경, 양정미, "1학년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대학 1학 년 실태조사’의 활용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2(1),63-78, 2008

      116 한수정, "문화예술 기숙프로그램의 교수행동이 대학신입생의 생활적응에 미치 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7 조윤경,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계획과 실행 과정 및 과제",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13(1),235-260, 2003

      118 이상수(Sang-Soo LEE), 김대현(Dae-Hyun KIM), 송연주(Yeon-Joo SONG),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중등교육연구,63(2),207-231, 2015

      119 이제봉, "대학생 기초학력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미국 대학교육의 준비성 모 형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비교교육연구,17(1),103-123, 2007

      120 이귀숙 ( Gui Suk Lee ), 도수정 ( Soo Jung Do ), 송현아 ( Hyun Ah Song ), "대학신입생의 성격특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23(3),53-73, 2016

      121 조윤주, "부모와의 심리적 독립과 가족의 적응성이 자녀의 대학 생활 적응 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28(2),17-26, 2010

      122 김나라, 이지연, 윤형한, "진로전환기 청소년의 진로개발(TrendsandIssued ofCareerDevelopmentforYouthattheTransition Stage)", 한국직업능 력개발원, 2005

      123 박은선(Park, Eun-Seon), 김광현(Kim, Kwang-Hyun), "학업중단요인 및 대학생활적응요인이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23(10),361-384, 2016

      124 조원기,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생활 및 대학 전공만족도, 학업성 취도 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대학원,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5

      125 박한샘, "지방대학 신입생의 학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C전문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연구,17(15),423-442, 2017

      126 김성숙, "「대학 신입생의 융 복합적 사고 능력 배양을 위한 렌즈에세이 쓰기 교수 모듈 효과」",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19,195-236, 2013

      127 염민호, 이효성, "신입생 교육의 개념 및 전략 구성:전남대학교 단과대학 학장 들의 인식과 대학의 대응",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25(2),305-327, 2007

      128 이세리, "1,2학년 여대생의 학교 스포츠 참여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29 Woolfolk,A., "교육심리학[EducationalPsychology].(김아영,안도희,양명 희,이미순,임성택,장형심 역).박학사", (원전은 2013년 출판), 2015

      130 Barefoot,B.O., Upcraft,M.L., Gardner,J.N., "신입생 교육 –도전과 지원- [Challenging and Supporting the First-YearStudent].(이지헌 역). 학이당", (원전은 2005년 출판), 2009

      131 김병학, 김지윤, 김재웅, "이공계열 대학 신입생의 기초 수학분야 학업성취도 및 효율적인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 논문집,31(1),1-15, 2017

      132 김지인, 황현영, 변복수, 박승민, "입학사정관 전형 신입생과 일반전형 신입생의 입학 후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34(1),181-208, 2013

      133 이은주, 최효진, "간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본간호학회, 기본 간호학회지,19(2),261-268, 2012

      134 김은주, "부모자녀관계와 자기결정성 요인들이 대학신입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21(3),539-555, 2007

      135 박미정, 함영림, 오두남, "전문대학 신입생의 의사결정역량,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만족도 정도 및 상관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2(4),327-337, 2012

      136 Bronfenbrenner, U., "인간발달 생태학[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Experimentsby nature and design].(이영 역).교육과학사", (원저는 1981출판), 1992

      137 Hatch, J. A.,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Doing Qualitative ResearchinEducationSettings].(진영은 역).학지사", (원전은 2002년 출판), 2008

      138 이미아, 이순덕, "신입생 대학적응 프로그램의 정규 교육과정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및 향후 개선방안 탐색", 남부대학교 논문집,13,11-120, 2013

      139 김영경, "대학 신입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과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20(4),1191-1210, 2008

      140 이찬숙, 이혜경,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 구 : K전문대학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전국대학교학생생활상담센터협의회, 대학생활연구,20(1),19-31, 2014

      141 김수미, 정경은, "대학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 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청소년시설환경,11(4),201-210, 2013

      142 김경욱, 조윤희, "대학신입생의 진로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및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18(4),197-218, 2011

      143 이윤미, "유치원에서 초등학교 1학년으로의 전이경험(transition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고찰", 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학연구,14(1),117-134, 2007

      144 정효주 ( Hyo Ju1 Jung ), 정향인 ( Hyang In Chung ),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21(3),188-196, 2012

      145 고수현, "자율전공 대학신입생의 부모 분리-개별화 과정 관련변인이 진로의사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6 김성덕, "체육전공 신입생의 전공만족 및 수업참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스포츠학회, 한국스포츠학회지,14(3),471-481, 2016

      147 최은영(Choi, Eun Young), 강희영(Kang, Hee Young), ""간호대학 신입생의 행동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21(3),289-29, 2015

      148 어용숙, 최송실, 이경리,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및 부모와의 독립 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한국자료분석학회, 13(6), 3073-3084, 2011

      149 구정회, "체육계열학과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중도탈락가능성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50 임병노 ( Byungro Lim ), "생활-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경험과 대학 1학년 교육을 위한 설계원칙: 교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교육정보미디어연구,22(4),705-731, 2016

      151 허혜경(Huh, Hae Gyeoung), "유아-초등 전이실태, 전이프로그램 활용과 효용성 및 장애요인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학회지,15(1),113-134, 2015

      152 김수동, "신입생의 학습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방안 탐 색-D대학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1(1),1-16, 2016

      153 권보연, "대학신입생의 대인관계 문제유형과 그들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 소통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54 노경란 ( Kyung Ran Roh ), 윤수정 ( Su Jung Yoon ),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 특성에 대한 이해: 4년제 여자대학교의 입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연구논총,33(1),91-118, 2012

      155 윤채영 ( Chae Young Yun ), 김소영(Soyeong Kim), "진로-학습 연계 전환기적응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학업동기,시간관리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열린교육연구,24(1),147-170, 2016

      156 김병로, "대학 신입생의 음주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및 Aldehyde Dehydrogenase II와 Tryptophan Hydroxylase 유전자형의 영향",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157 박민정, 최동원, "간호 신입생을 위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학습동기와 대학생 활적응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15(4), 339-349, 2017

      158 김정민, 박준희, 나윤정,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 지,27(5),69-76, 2009

      159 이지혜, "대학교 신입생을 위한 인지행동 진로집단상담의 효과 –사회적지지, 진로자기효능감,진로의사결정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60 Glaser,B.G., Strauss,A.L., "근거 이론의 발견:질적 연구 전략[The DiscoveryofGroundedTheory:StrategiesforQualitativeResearch].(이병 식,박상욱,김사훈 역).학지사", (원전은 1999년 출판), 2011

      161 김복영, "미국의 대학교육.정영근,구자억,주은희,정미리,김복영,운정혁,길 지현 공저.동서양 주요국가들의 대학교육.(pp.144-206)", 문음사, 1999

      162 정영근, "독일의 대학교육.정영근,구자억,주은희,정미리,김복영,운정혁,길 지현 (공저).동서양 주요국가들의 대학교육,(pp.264-331)", 문음사, 1999

      163 김은주, 김민규, "대학신입생의 자율성과 유능성 및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시 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에 대한 잠재성장모형의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1(5),29-56, 2014

      164 Creswell,J.W., "질적 연구방법론–다섯가지 접근-[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조흥식,정선 욱,김진숙,권지성 역).학지사", (원전은 2013년 출판), 2015

      165 Charmaz,K., "근거이론의 구성: 질적 분석의 실천 지침[Constructing Grounded Theory:A PracticalGuide throughQualitative Analysis].(박현 선,이상균,이채원 역).학지사", (원전은 2006출판), 2013

      166 홍영숙, "대학 편입학을 경험한 두 대학생이 살아낸 삶의 이야기 탐구: 편입학 경험에 이르기까지의 '교육 전환의 여정(Curricular Transition Journey)'을 통하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내러티브와 교육연구,4(2),99-126, 2016

      167 Creswell, J. W., "연구방법–질적, 양적 및 혼합적 연구의 설계 -[Qualitative,Quantitative,and Mixed MethodsApproaches,3rd Edition]. (김영숙,류성림,박판우,성용구,성장환,유승희,임남숙,임청환,정종진,허 재복 역).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9년 출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