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찰학습, 학습몰입, 진로관여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95337
2023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564-573(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찰학습, 학습몰입, 진로관여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
이 연구는 대학생의 성찰학습, 학습몰입, 진로관여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동 사이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충북소재 4년제 대학의 항공계열 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3부의 설문응답을 최종 표본으로 사용하고, SPSS 25.0, AMOS 25.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찰학습은 학습몰입과 진로관여행동 모두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성찰학습은 진로관여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학습몰입은 성찰학습과 진로관여행동의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성찰학습이 이루어질수록 진로관여행동이 증진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인지적 특성인 성찰학습에 심리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 학습몰입이 더 해질때 진로관여행동은 더욱 큰 효과를 만들어낼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은 학생이 자기성찰의 학습태도를 습득하고 학업에 몰입할 수 있는 교육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flective learning, learning flow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refore, the influence of reflective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flective learning, learning flow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refore, the influence of reflective learning on university students’ occupational engagement was examined and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between reflective learning was verified. The survey questionnair was distributed to 203 university students who are attending in aviation college, and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reflective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occupational engagement and learning flow. Also reflective learning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engagement and learning flow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reflective learning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ore students develop their reflective learning and learning flow, the more students enhance their occupational engagement level.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try to provide the educational envionment so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levels of reflective learning, leaening flow andoccupational engag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문화콘텐츠의 메타버스 활용 사례 연구 -버츄얼 아이돌 이세계 아이돌분석을 중심으로-
여론조사와 빅 데이터를 융합한 예측 알고리즘 개발과 선거적용에 관한 연구
ARINC-661 표준을 적용한 항공전자 디스플레이의 다중 페이지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