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정몽주의 암살과 복권에 대한 서사적 이해  :  분단서사와 통일서사의 역사적 실체 규명을 위하여 = Literary Therapeutic Understanding of Jungmongju's Assassination and Reinstatement -For revealing historical truth of division epic and unification ep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811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정몽주의 암살과 복권을 서사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분단서사와 통일서사의 역사적 실체를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적용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은 서사적으로 <연산군에게 기운 아내 죽인 이장곤>, <신립장군과 원귀>, <며느리의 유혹과 모함> 등의 설화와 유사한 측면들을 간직하고 있다. 둘째,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 내지 이 기사들과 서사적인 유사성을 보이는 설화들은 애착심이 증오심으로 돌변하면서 상대방과의 관계를 철저히 단절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서사를 '분단서사'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은 서사적으로 <역적 누명과 회초리>, <옛 지아비가 황천에서 운다>, <호랑이 눈썹> 등의 설화와 유사한 측면들을 간직하고 있다. 넷째,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 내지 이 기사들과 서사적인 유사성을 보이는 설화들은 자신을 거부하거나 자신이 의도적으로 물리친 상대방을 미워하거나 배척하지 아니하고 그 덕을 기리고 화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서사를 '통일 서사'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정몽주의 암살과 복권을 서사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분단서사와 통일서사의 역사적 실체를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적용하였다. 논의의 결...

      이 논문의 목적은 정몽주의 암살과 복권을 서사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분단서사와 통일서사의 역사적 실체를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적용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은 서사적으로 <연산군에게 기운 아내 죽인 이장곤>, <신립장군과 원귀>, <며느리의 유혹과 모함> 등의 설화와 유사한 측면들을 간직하고 있다. 둘째,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 내지 이 기사들과 서사적인 유사성을 보이는 설화들은 애착심이 증오심으로 돌변하면서 상대방과의 관계를 철저히 단절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서사를 '분단서사'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은 서사적으로 <역적 누명과 회초리>, <옛 지아비가 황천에서 운다>, <호랑이 눈썹> 등의 설화와 유사한 측면들을 간직하고 있다. 넷째,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사들 내지 이 기사들과 서사적인 유사성을 보이는 설화들은 자신을 거부하거나 자신이 의도적으로 물리친 상대방을 미워하거나 배척하지 아니하고 그 덕을 기리고 화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서사를 '통일 서사'라고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istorical truth of division epic and unification epic by understanding Jungmongju's assassination and reinstat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assassination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lated to Korean folklore such as <Leejanggun's Wife and Prince Yeon-san>, <General Sinrip and Lemures>, and <A daughter-in-law's Seduction and Setup> Second,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assassination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lated folklore can be called as 'division epic'. In those records and folklore, attachment changed suddenly to hatred and the relationship is recognized as a rupture. Third,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reinstatement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s are related to Korean folklore such as <A False Charge of being a Rebel and a Whip>, <Dead husband's crying>, and <The eyebrows of Tiger>. Forth,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reinstatement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lated folklore can be called as 'unification epic'. In those records and folklore, a tendency to harmonize with the opposite party is captu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istorical truth of division epic and unification epic by understanding Jungmongju's assassination and reinstat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istorical truth of division epic and unification epic by understanding Jungmongju's assassination and reinstatement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is applied.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assassination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lated to Korean folklore such as <Leejanggun's Wife and Prince Yeon-san>, <General Sinrip and Lemures>, and <A daughter-in-law's Seduction and Setup> Second,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assassination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re related folklore can be called as 'division epic'. In those records and folklore, attachment changed suddenly to hatred and the relationship is recognized as a rupture. Third,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reinstatement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s are related to Korean folklore such as <A False Charge of being a Rebel and a Whip>, <Dead husband's crying>, and <The eyebrows of Tiger>. Forth, the records about Jungmongju's reinstatement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related folklore can be called as 'unification epic'. In those records and folklore, a tendency to harmonize with the opposite party is captu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서사적 이해 : 분단서사
      • 3.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서사적 이해 : 통일서사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정몽주의 암살에 대한 서사적 이해 : 분단서사
      • 3. 정몽주의 복권에 대한 서사적 이해 : 통일서사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운채, "프랭스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7 : 191-206, 2010

      2 김충렬, "포은사상의 재평가와 시대적 의의-포은사상 연구서설-" 한국사상사학회 3 (3): 1990

      3 김영수, "포은 정몽주의 절의와 문학적 형상화" 포은학회 1 (1): 43-82, 2007

      4 정운채, "토도로프와 채트먼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309-330, 2010

      5 지두환, "조선전기 문묘종사논의-정몽주·권근을 중심으로-" 부산대사학회 9 : 1985

      6 "조선왕조실록"

      7 김호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회 6 : 63-98, 2010

      8 이재호, "정포은 ‘非忠臣論’에 대한 검토-특히 전통적 윤리관의 부정에 대하여-" 부산대사학회 7 : 1983

      9 문경현, "정몽주 순절처의 신고찰" 대구사학회 15·16 : 1978

      10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 정운채, "프랭스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7 : 191-206, 2010

      2 김충렬, "포은사상의 재평가와 시대적 의의-포은사상 연구서설-" 한국사상사학회 3 (3): 1990

      3 김영수, "포은 정몽주의 절의와 문학적 형상화" 포은학회 1 (1): 43-82, 2007

      4 정운채, "토도로프와 채트먼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 : 309-330, 2010

      5 지두환, "조선전기 문묘종사논의-정몽주·권근을 중심으로-" 부산대사학회 9 : 1985

      6 "조선왕조실록"

      7 김호동, "조선 전기 실록 사료에 나타난 鄭夢周像" 포은학회 6 : 63-98, 2010

      8 이재호, "정포은 ‘非忠臣論’에 대한 검토-특히 전통적 윤리관의 부정에 대하여-" 부산대사학회 7 : 1983

      9 문경현, "정몽주 순절처의 신고찰" 대구사학회 15·16 : 1978

      10 이수건, "영남학파의 형성과 전개" 일조각 1995

      11 정운채, "심리학의 지각, 기억, 사고와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한국문학치료학회 20 : 9-28, 2011

      12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특성과 인문학의 새로운 전망" 겨레어문학회 (39) : 87-105, 2007

      13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14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와 문학연구의 새 지평" 한국문학치료학회 21 : 233-252, 2011

      15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 및 서사의 주체"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3 : 2010

      16 정운채, "문학치료 서사사전 3 설화편" 도서풀판 문학과치료 2009

      17 정운채, "문학치료 서사사전 2 설화편" 도서출판 문학과치료 2009

      18 정운채, "문학치료 서사사전 1 설화편" 도서출판 문학과치료 2009

      19 홍영의, "고려말 정치사상 연구" 혜안 2005

      20 今西龍, "朝鮮史の 栞" 193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