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2 신현숙, "『초현실주의』", 동아출판사, 1992
3 김충식, 안재홍, "『디지털 유산』", 시그마 프레스, 2016
4 임영방, "『미술과 생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9
5 조주연, "『현대미술강의』", 글 항아리, 2017
6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미진사, 1999
7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03
8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2 』", 새길, 휴머니스트, 1994
9 Bernard Basanquet, "『A History of aesthetic』", 백기수 (역), 문운당, 1987
10 남상운, "『BLUE: 개인전 도록』", 갤러리 아트셀시, 2017
1 배상준, "미장센", 커뮤니케이션북스,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6
2 신현숙, "『초현실주의』", 동아출판사, 1992
3 김충식, 안재홍, "『디지털 유산』", 시그마 프레스, 2016
4 임영방, "『미술과 생활』",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9
5 조주연, "『현대미술강의』", 글 항아리, 2017
6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미진사, 1999
7 진중권, "『현대미학강의』", 아트북스, 2003
8 진중권, "『미학 오디세이2 』", 새길, 휴머니스트, 1994
9 Bernard Basanquet, "『A History of aesthetic』", 백기수 (역), 문운당, 1987
10 남상운, "『BLUE: 개인전 도록』", 갤러리 아트셀시, 2017
11 낙림, "『니체와 현대미술』", 역락, 2012
12 최광진, "『현대미술의 전략』", 아트북스, 아트북스, 2004
13 이광래, "『미술을 철학 한다』", 미술문화, 2007
14 임영매, "「초미학과 현대미술」",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5 윤진섭, "「한국형 극사실 회화」", 『또 하나의 일상, 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 전시도록, 성남 아트센타, 2009
16 김진엽, "『미학으로 읽는 미술』", 월간미술, 2007
17 정자형, "『영화 이해의 길잡이』", 도서출판 개마고원, 2003
18 강태희, "『현대미술의 문맥읽기』", 서울: 미진사, 1995
19 박정자,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기파랑, 서울: 기파랑, 2011
20 정영혁, "『포토그래픽 포트레이트』", 다빈치, 2009
21 모리스, "메를리 퐁티, 『눈과 마음』", 마음산책, 2008
22 이왕주, "『철학 영화를 캐스팅하다』", 효형출판, 효형출판, 2005
23 민중서림, "편집부,『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1974
24 조윤경, "『보는 텍스트, 읽는 이미지』", 그린비, 그린비, 2012
25 서성록, "「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 『또 하나의 일상, 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 전시도록, 성남 아트센타, 2009
26 배영달, "보드리야르: 현대사회와 이미지", 프랑스문화예술학회, 『프랑스문화예술연구』, 프랑 스문화예술학회, 제16집, 2006
27 조르주, "세바, 『초현실주의』, 최정아 역", 동문사, 2005
28 조광석, "「회화의 종말과 회화성의 연속」",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경기교육논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Vol.10, 2001
29 박흥순, "『지적 공감을 위한 서양미술사』", 마로니에북스, 2017
30 박치완, "『이데아로부터 시뮬라트르까지』",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 2016
31 류재형, "『명화를 만드는 10가지 시각효과』",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32 최민, "『미술속의 영화, 영화 속의 미술』", 월간미술, 년 9월, 1994
33 A. F, H. W, "잰슨, 『서양미술사』, 최기득 옮김", 미진사, 2001
34 정보영, "「현대회화의 공간과 실재의 부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35 조광석, "「영상이미지의 확산: 사진과 영화」", 『조형논총』, No1, 경기대학 교 산업디지인대학교, 2002
36 배영달, "「보드리야르의 예술론에 관한연구」", 『프랑스문화연구』, 한국프랑 스문화학회, 제30집, 2015
37 마단사럽,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서』", 전영백 옮김, 울하우스, 2005
38 남상운, "『가공된 시선: 박사학위 청구전 도록』", is 갤러리, 2016
39 미셀,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김현 옮김",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0
40 김계중, "「영화의 환영성: 영화적 재현방식에 대하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9, No.2, 2008
41 류상욱, "『영화의 철학과 미학-프랑스 영화학의 경향』", 철학과현실사, 철학과 현실사, 2007
42 김현주, "「매체와 기법 확장을 통한 시각적 표상 연구」", 홍익대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4
43 하선규, "『미학으로 읽는 미술 - 미학가의 a에서 q까지』", (주)월간미술, 2007
44 구성욱, "「현대 형상회화에서 공간의 혼성에 관한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45 마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 - 꼭 읽어야 할 예술비평 40선』", 성원선 역, 미진사, 2013
46 노현지, "「자크라깡의 무의식 관점으로 본 에로티시즘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7 김지열, "「초현실주의회화 있어서의 데페이즈망에 관한연구」", 『이화교육논 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vol.4, 1993
48 배영달, "시뮬라크르로서의 이미지에서 가상의 디지털 이미지로", 한국프랑스문화학회, 『프랑스 문화연구』 한국프랑스문화학회, 제29집, 2014
49 심준섭, "「쟝보드리야르 이론과 소비문화의 관점을 통한 미술비평」", 『기초 조형학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Vol.8, No.2, 2007
50 김문석, "「현대미술에 나타난 융합문명의 적용과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1 이광래, "『미술철학사3 해체와 종말: 포스트모더즘에서 파타피지컬리즘까지』", 미메시스, 2016
52 이수형, "「시각예술에 있어서 이미지의 존재방식과 그 양가적의 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3 김현화, "「하이퍼리얼리즘 20세기 눈속임(Trompe-l'oeil): “나는 너의 거울 이 될거야”」", 『미술사와 시각문화』,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Vol.11, 2012
54 제러미, "행크, 미셸 야마자키, 『인디영화를 위한 크로마키 촬영과 이미지 합성』, 이성은 옮김", 북허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