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체대입시반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과정 탐색 = Exploring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Normal School-life and College Prepa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4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체대입시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을 통찰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방과후학교 체대입시반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일상적인 학교생활과 입시준비 과정을 통해 그들의 삶을 통찰하는데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S고등학교 체대입시반 방과후수업에 참여한 남학생 10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반성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방법(Pattern, 19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일상적인 학교생활(내신성적, 실기능력, 정신력 측면)에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었지만, 담임선생님이나 일반과목 선생님들은 부정적 인식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지만 친구들은 운동과 공부를 병행한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체대입시반 활동의 참여 동기는 운동을 잘하 고 싶고, 미래에 체육지도자가 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사설학원보다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체대입시반 활동은 1학년 때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응답을 하 였다. 결론적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체대입시반 활동을 통해 자신의 꿈을 실현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교육을 통해 체육대학에 진학하려는 고등학생들의 삶을 이해하고, 고등학교에서 진학지하는 체육교사들에게 중요한 진로지도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mal school-life and college pr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10 high school students at ‘S’ high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normal school-life and college prepa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of physical education. For this, 10 high school students at ‘S’ high school located in Kyunggi province in Korea were purposely sampled a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were made to do in-depth interview and document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uctive category analysis(Pattern, 1980). In this paper, first, the students taught that their paper score, physical skills, mental abilities were higher than before and normal teachers perceived them negatively and their friends realized them friendly and positively. second, on college preparation period, their motivation of participating on P.E. class was that they were good at sports and their dreams were to be a P.E. teachers and soldiers.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public school after-school program than institution about P.E.. they like to start in after-school class at 1st grade in high school. advantages were good facilities and P.E. programs in high school. difficulties were studying both paper and physical drills.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after-school P.E. class and their dreams were P.E. teacher and soldier. In this results, we will respect that public education foundation for the normalization can be expec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2 강신복,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개선방향" 1985

      3 권순용, "학교체육 : 미국의 체육특기자 대학 입시제도" 체육과학연구원 117 : 89-97, 2011

      4 이양구, "토요방과 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과학회 22 (22): 239-252, 2013

      5 엄혁주, "체육대학 입시생의 진학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91-102, 2013

      6 손주철, "체육계열학과 진학생들의 입시 준비 실태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정태봉, "체육계열학과 진학 희망 학생의 진로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8 강준상, "체육계열 입시 분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 43 (43): 79-90, 2001

      9 정주혁, "체육계열 수험생의 입시스트레스와 분노 및 우울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4 (34): 1407-1419, 2008

      10 이창현,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 방정숙, "학습자 중심 교수법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이해와 실행형태 : 수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6 (6): 297-321, 2006

      2 강신복, "학교체육 교육과정의 개선방향" 1985

      3 권순용, "학교체육 : 미국의 체육특기자 대학 입시제도" 체육과학연구원 117 : 89-97, 2011

      4 이양구, "토요방과 후 체육활동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과학회 22 (22): 239-252, 2013

      5 엄혁주, "체육대학 입시생의 진학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8 (18): 91-102, 2013

      6 손주철, "체육계열학과 진학생들의 입시 준비 실태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7 정태봉, "체육계열학과 진학 희망 학생의 진로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8 강준상, "체육계열 입시 분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 43 (43): 79-90, 2001

      9 정주혁, "체육계열 수험생의 입시스트레스와 분노 및 우울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 34 (34): 1407-1419, 2008

      10 이창현,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대한 문화 기술적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1 조두연, "체육계열 대학 진학 관련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만족도" 한국교육대학교 대학원 2011

      12 성기찬, "체육 중·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선호요인과 회피요인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1 (11): 55-71, 2006

      13 임성철, "체대진학을 위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고교생의 경험"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39-50, 2012

      14 임수원, "체능계 대학입시 지원생의 의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김판수,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정서와 성격에 미치는 영향" 22 : 39-58, 2011

      16 강덕모, "입시체육의 빛과 그림자" 한국체육철학회 18 (18): 65-83, 2010

      17 김범식, "방과후 체육활동이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39 (39): 101-112, 2000

      18 이상일, "방과후 체육프로그램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스포츠몰입 및 학교생활만족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41-54, 2010

      19 이승희, "방과 후 체육활동참가 중학생의 참가동기와 스포츠태도가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 (49): 103-113, 2010

      20 김용환, "방과 후 체육활동의 의미와 교육적 가치 구현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12, 2012

      21 김경렬, "방과 후 체육 참여자의 운동 몰입과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행동의도의 구조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117-130, 2012

      22 황매향, "대학입시 의사결정 과정에 관한 연구" 37 : 173-190, 2002

      23 강승호, "고등학생들의 스트레스와 학업 성적 및 정신 건강의 관계 연구" 13 (13): 405-424, 1999

      24 문호준,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운동경험특성과 자기관리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42 (42): 559-570, 2010

      25 Spradley, J. P., "The Ethnographic Interview" Rinehart and Winston 1979

      26 Patter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1980

      27 Klerinolienst, V., "Intramural and Recreation Programs for School and College" Meredith Publishing Co 1973

      28 한국교육개발원, "2011년 교육통계연보"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