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실습생의 현장실습 소감과 반성적 저널 쓰기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시각화하고 해석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4806
2020
Korean
학술저널
261-265(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실습생의 현장실습 소감과 반성적 저널 쓰기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시각화하고 해석하...
본 연구에서는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실습생의 현장실습 소감과 반성적 저널 쓰기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인식을 시각화하고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약 130쪽의 현장실습 소감과 반성적 저널 쓰기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시각화하고 결과를 해석하였다. 첫째, 단어 빈도 분석에서는 ‘유아’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수업, 실습, 선생님, 배우~, 활동, ~동안, 준비, 유치원, 교사’ 순으로 시각화되었다. 둘째, 핵심키워드는 ‘모의수업’이 가장 대표적인 주제로 시각화되었으며, 다음으로 ‘한 달 동안과 한 달, ~전 까지, 상호작용, 미술 영역, 생활도구, 꾸미기 재료, 교육과정’ 등에 관한순으로 시각화되었다. 따라서 교사양성기관에서는 수집된 빅 데이터를 통해 사례를 심층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각화 자료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을 지원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제2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평가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 · 초 연계교육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