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방조직에서의 성-고정관념과 여성군무원에 대한 평가  :  남녀 시각차이를 중심으로 = Gender Role Stereotypes and Perception of Female Military Officials in Military Organizations : Focusing on Gendered Perception G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62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an increase in female officials into military organizations identified as masculinity not only in terms of sex ratio, but also in terms of work identity. Under the context, this study starts with the recognition that women will be suffered fr...

      There is an increase in female officials into military organizations identified as masculinity not only in terms of sex ratio, but also in terms of work identity. Under the context, this study starts with the recognition that women will be suffered from negative evaluation based on sex role stereotypes and sexist treatment, in spite of female participation in military organizations, without any changes in prevailed gender role stereotypes, appreciating masculinity. Based on the recognition,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To what extent is sexist recognition shared in military organizations? To what extent are measures for gender equality accepted in military organizations dominated by masculinity? How are female military officials perceived in comparison to male military officials? In what ways do the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female military officials exist? What are their gendered implication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conducts survey with 351 military officials in military organizations consists of the army, the navy, the air force and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Findings are the follow. Firstly, regarding gender role stereotypes, perception of measures for gender equality, and ability of female military officials, there are big perception gaps between female and male military officials. In particular, male show a strongly gender typed perception in comparison between men and women. They show the fact that gender typed evaluation is still tenacious, in spite of change in social recognition of gender role, gender sensitive education, women's advancement in diverse sphere and so on. Secondly, gender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measures for gender equality is relatively low in comparison to gender stereotypes. However, concerning affirmative action, male show comparatively negative perception. That is mainly because of the nature of affirmative action as a redistributive measure impling zero sum relations between female and male. Thirdly, men show relatively positive perception of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military official to masculine culture, whereas female show difficulties of adaption to the masculine culture. Lastly, male identify the main role of female military officials as supporters or assistants.
      Naturally, they do not think any relation between power(or decision making) and female military officials. Gender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eeply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성원의 남녀비율이나 업무의 정체성 모두 ‘남성적’으로 규정되는 국방조직을 대상으로 다음의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방조직에서 성차별적 인식의 ...

      본 연구는 구성원의 남녀비율이나 업무의 정체성 모두 ‘남성적’으로 규정되는 국방조직을 대상으로 다음의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방조직에서 성차별적 인식의 구조는 어떠한가? 남성이 지배적인 국방조직에 여성이 증가함에 따라 필요한 조치나 제도에 대한 용인의 정도는 어떠한가? 함께 일하는 여성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 및 업무방식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이러한 인식이나 평가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 간 차이는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낮은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국방조직에 근무하는 351명의 남녀 군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고정관념 및 성-평등의식, 여성군무원에 대한 일반적 평가와 구체적인 평가 모두에서 성별차이가 현격하게 존재하였다. 특히, 남성은 성-고정관념 중 남녀 간 우열에 강한 동의를 표하였으며, 여성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여성과 남성에 대한 비교에서 더 고정관념적 평가를 하였다. 둘째, 성-평등 실현을 위한 방안에 대한 남녀 간 인식의 차이는 성-고정관념에 비해서는 낮게 나타났다. 다만, 남성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 조치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는데, 이는 적극적 조치가 남성이해를 침해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남성은 여성군무원의 조직문화적응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데 반해 여성은 남성문화에의 적응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였다. 또한, 남성은 여군무원의 증원필요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고, 권력과 연계된 여성군무원의 통제력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평가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남성적 조직 내 여성에 대한 성별화된 평가 기제
      • 1. 성-고정관념의 헤게모니(Hegemony)
      • 2. 수평적 편중화(horizontal segregation)와 접촉의 영향력
      • Ⅲ. 실증분석
      •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Ⅱ. 이론적 논의 : 남성적 조직 내 여성에 대한 성별화된 평가 기제
      • 1. 성-고정관념의 헤게모니(Hegemony)
      • 2. 수평적 편중화(horizontal segregation)와 접촉의 영향력
      • Ⅲ. 실증분석
      • 1. 연구대상
      • 2. 자료의 수집
      • 3.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 Ⅳ. 여성군무원에 대한 평가의 현실: 실증결과 및 논의
      • 1. 국방조직 내 성-고정관념 및 성-평등의식의 젠더역학
      • 2. 여성군무원에 대한 평가의 젠더역학
      • Ⅳ. 결론
      • 1. 연구의 요약 및 함의
      • 2.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