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담화구조를 활용한 읽기 전 활동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Using Text Structures o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33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전 활동 단계에서 글 구조에 대한 형식 스키마를 좀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를 읽기 전 활동으로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과...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전 활동 단계에서 글 구조에 대한 형식 스키마를 좀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를 읽기 전 활동으로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영어 읽기능력 향상과 정의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읽기 전 활동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청주시 G중학교 3학년 학급 중 동질집단인 2개 학급 74명을 연구대상으로 정하고, 두 집단 모두 총 10주간 12차시의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필요한 읽기 수업 지도안을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참고하여 학습할 교과서 단원의 글의 종류를 분석하고, Mikulecky와 Jeffries(1996)의 이론에 따라 열거, 연쇄, 비교와 대조, 원인과 결과의 네 가지 담화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읽기 수업방법으로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세 단계로 나누어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의 읽기 전 단계에서는 글의 주제 및 전개될 내용 예측해보기, 사전 어휘 학습 등과 더불어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 관련 활동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스키마와 관련한 읽기 전 활동과 함께 형식 스키마에 대한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를 읽기 전 단계에서 학습하는 것이 영어 읽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평가 결과를 글의 내용 및 세부사항 파악과 글의 연결 관계 및 논리적 구조 이해의 두 영역으로 나누어 비교해본 결과, 두 읽기 영역에서 모두 고른 향상을 보여주었다.
      셋째, 두 영역으로 분류한 평가 내용을 좀 더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요지를 파악하는 유형과 문장 순서 배열을 묻는 유형에서 가장 많은 향상이 나타났다.
      넷째, 사전 평가 점수를 토대로 실험집단 내의 학습자들을 상위, 하위 각 25%의 그룹으로 나누어 문항 유형별 성취도를 분석해보았다. 그 결과 상위 그룹은 문장 순서 배열을 묻는 유형에서 그리고 하위 그룹은 글의 요지와 세부사항을 파악하는 유형에서 점수가 향상되었다.
      다섯째,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를 읽기 전 활동으로 활용하는 수업은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많은 학습자들이 앞으로도 영어 수업시간에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에 대해 지도를 받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내용 스키마와 관련된 읽기 전 활동만을 하는 수업보다 글 구조에 관한 형식 스키마를 내용 스키마와 함께 활성화시켜줄 수 있는 학습 방법이 읽기능력 향상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EFL 환경의 학습자들의 부족한 언어지식을 보완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고려한 효율적인 읽기 지도를 위해서는 읽기 활동 시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배경지식을 제공하고 이를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읽기 전 단계에서 내용 스키마뿐만 아니라 글 구조에 관한 형식 스키마인 담화구조와 담화표지어를 적극 활용한 효과적인 읽기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using text structures o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To achieve these goals, 74 participants within two homogeneous clas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reading activities using text structures o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ability as well as affective factors.
      To achieve these goals, 74 participants within two homogeneous classes at G middle school third grade in Cheongju took part in reading lessons that were conducted for 12 hours over 10 weeks. For lesson plans, the text types in the English textbook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the four patterns: listing, sequence, comparison and contrast, cause and effect. Each reading class was organized with 3 reading activities,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The text structure and discourse markers were taught with the activities such as inferring the main idea or the content to be continued and vocabularies during the pre-reading st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after studying text structures and discourse markers at the pre-reading stage.
      Second,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tes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overall improvement in the two reading parts which are understanding general contents and specific information and comprehension of text relationships and logical structures.
      Third, the detailed analysis on the tes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uch improvement in the two types of questions, inferring the main idea and sequencing sentences in the text.
      Fourth, high and low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different reading improvement. High level students made progress in sequencing sentence questions and low level students improved in inferring the main idea and identifying specific information questions.
      Fifth, the pre-reading activities using text structures and discourse markers ha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students' attitude in English.
      It is concluded that pre-reading activities using text structure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bility. Therefore, pre-reading activities using formal schema related to text structures as well as content schema should be employed in the EFL reading cla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 1.3 연구의 제한점 5
      • 1.4 용어의 정의 5
      • Ⅰ. 서 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 1.3 연구의 제한점 5
      • 1.4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2.1 읽기 및 읽기능력 8
      • 2.2 스키마 이론 11
      • 2.3 읽기 전 활동 15
      • 2.4 담화구조 18
      • 2.5 담화표지어의 기능과 유형 24
      • 2.6 선행연구 28
      • Ⅲ. 연구 방법 32
      • 3.1 연구 대상 32
      • 3.2 연구 기간 및 절차 32
      • 3.3 연구 도구 34
      • 3.4 자료 분석 및 처리 방법 37
      • Ⅳ. 연구 내용 40
      • 4.1 읽기 학습자료 및 읽기 전 활동의 선정 40
      • 4.2 수업 방법 41
      • Ⅴ. 연구 결과 및 논의 51
      • 5.1 실험 결과 분석 51
      • 5.2 설문 자료 분석 60
      • 5.3 논의 73
      • Ⅵ. 결론 및 제언 76
      • 6.1 결론 76
      • 6.2 제언 79
      • 참고문헌 80
      • ABSTRACT 86
      • 부록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