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판소리 춘향가의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배경 및 지정자료 <춘향가>(1964)의 성격 = The designation of pansori Chunhyangga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unhyangga>(1964) submitted at that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627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1964년 판소리 춘향가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배경, 그리고 당시 지정자료로 제출된 <춘향가>(1964) 사설 및 음원의 구성,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판소리 춘향가...

      본 논문에서는 1964년 판소리 춘향가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배경, 그리고 당시 지정자료로 제출된 <춘향가>(1964) 사설 및 음원의 구성,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판소리 춘향가의 1964년 무형문화재 지정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4년에 판소리라는 예술 종목이 아닌 춘향가라는 단일 작품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나머지 네 바탕의 순차적인 지정을 염두에 둔 상황에서 그 대표성을 고려해 먼저 선택된 결과이다. 둘째, 판소리 춘향가의 보유자로 김연수, 김여란, 박록주, 정광수, 김소희, 박초월의 6명이 인정된 데에는, 1963년 ‘국악명인합동추모제’ 준비를 위해 작성되었던 판소리 명창 계보가 그 초안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국악명인합동추모제 위원회의 위원장과 부위원장이 박헌봉과 김연수였다는 점도 주목을 요하는데, 박헌봉은 문화재 위원으로 판소리 춘향가의 조사 및 문화재 지정에 관여했으며, 김연수는 지정자료 <춘향가>의 녹음에서 가장 많은 분량의 연창을 맡았다. 한편 6명의 보유자 가운데 정광수는 이 과정에 후발주자로 편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판소리 춘향가의 문화재 지정이 ‘바디’가 아닌 ‘더늠’ 중심으로, 그것도 한 명의 명창이 남긴 더늠을 조합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창이 각기 남긴 더늠을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은 박헌봉과 유기룡, 특히 박헌봉의 판소리관에 기인한다. 박헌봉은 좋은 더늠을 추려 취합한 교합본이 “하나의 基準”이 될 수 있다고 믿었고, 그의 판소리관은 1964년 판소리 춘향가의 무형문화재 지정, 1966년 『창악대강』의 발간을 통해 현실화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더늠’ 중심의 판소리 문화재 지정 방식은 성경린 등의 반대에 따라 ‘바디’ 중심으로 완전히 바뀌었고, 후자의 방식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자료로 제출된 <춘향가>는 19개의 더늠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녹음에는 약 4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소리 대목은 총 75개로, 대부분은 한 명의 명창이 맡아 부르는 형식이었다. 다만 이 가운데 4개 대목은 대화창 또는 부분창으로 불린바, 이렇게 창극과 비슷한 형식을 취한 데는 박헌봉과 김연수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이후 판소리에 나타난 중요한 변화로 꼽히는 토막소리화, 창극화의 양상은 이처럼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자료 <춘향가>에서도 발견된다. 그리고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자료 <춘향가>의 사설은 『(판소리)春香歌』 등에 실려 있고, 예술자료원 소장 음원과 비교해본 결과 창과 아니리의 구분, 장단 표기, 세부 사설 면에서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다.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자료 <춘향가>의 녹음에는는 앞서 언급한 6명의 명창이 참여했으며 북 반주는 이정업, 김재선, 김득수가 맡았다. 김연수가 녹음한 부분은 그가 남긴 여타의 춘향가와 대체로 유사했으나 생략 또는 축약이 일부 있었다. 그가 정립한 동초제 춘향가의 연창 시간이 8시간 정도인 데 반해, 무형문화재 지정자료 <춘향가> 녹음이 그 절반에 불과한 4시간여에 걸쳐 이루어진 사실을 고려하면 당연한 것이다. 박록주가 녹음한 부분도 대부분은 그의 여타 춘향가와 비슷했는데, ‘자진사랑가’와 ‘이별가’ 대목에서 과거 대명창들의 더늠을 구현해달라는 문화재관리국의 요구를 수용한 흔적을 찾아볼 수 있었다. ‘자진사랑가’는 그가 송만갑을 통해 익힌 고수관제 더늠을 넣은 ...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mainly about the background of pansori Chunhyangga’s designation as the Korea’s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unhyangga>(1964) submitted at 1964. The background is as foll...

      This paper is mainly about the background of pansori Chunhyangga’s designation as the Korea’s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unhyangga>(1964) submitted at 1964.
      The background is as follows. First, Chunhyangga was selected preferentially with the rest of the four pansori works’s sequential designation in mind. Second, when six master pansori singers, Kim Yeonsu, Kim Yeoran, Park Rokju, Cheong Gwangsu, Kim Sohui, and Park Chowol, became the holder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lineage of pansori master singers for the joint memorial ceremony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draft. It is noteworthy that the chairman and vice chairman of the committee for the joint memorial ceremony are Park Heonbong and Kim Yeonsu at that time. Park Heonbong was involved in research and designation for a cultural assets of pansori Chunhyangga as a Committee and Kim Yeonsu took a large amount in the recording of the <Chunhyangga> on 1964. And Cheong Gwangsu is likely to have been incorporated later in the list for the holders of the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pansori Chunhyangga. Third, pansori Chunhyangga wa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epending on the way that a combination of deoneums left by several master singer. That was because of Park Heonbong and Yoo Giryong, especially Park’s values for pansori. He believed that the collection of good deonums can be ‘one standard’, his thoughts became a reality through the designation of pansori Chunhyangga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ritage and the publication his work, Changakdaegang. However, that way was changed completely because of opposition from Seong Gyeongrin. Today pansori is designated for body, not for deonum.
      <Chunhyangga> submitted as a data for the designation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1964 consists of 19 deoneums and 75 sori passages. And its recording took about 4 hours. The reason some sori passages are similar to Changgeuk’s scenes is the role of Park Heonbong and Kim Yeonsu, Changgeuk officials. And <Chunhyangga>’s lyric is different from its recording in many ways. Among the holders of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pansori Chunhyangga, Kim Yeonsu recorded the most deoneums and Cheong Gwangsu recorded the least. Lee Jeongeop, Kim Jaeseon, and Kim Deuksu was drummers for that recording.
      Kim Yeonsu’s recording was roughly similar to his other Chunhyangga, except some skip or abbreviation. Considering that his Dongchoje Chunhyangga requires about 8 hours, this is quite understandable. Park Rokju’s recording was also similar to her other works. She accepted part of Go Sugwan’s “A Song of Love by Fast Form” and Mo Heunggap’s “A Song of Farewell” by request of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In Kim Sohui’s recording, the latter half of Cheong Jeongryeol’s “Farewell at the Ori Pavilion” was omitted, the rest wasn’t any different from hers. Kim Yeoran’s recording was quite similar to hers, except “A Song of Love by Slow Form”. Park Chowol’s recording was generally like to Daedo Record’s <Changgeuk Chunhyangjeon>. Cheong Gwangsu’s recording was estimated to be learned by Lee Dongbaek, but it was from an unknown source.
      Now, Chunhyangga played by many pansori singers is Boseongsori Chunhyangga, Jeongjeongryeol’s Chunhyangga, Dongchoje Chunhyangga and Manjeongje Chunhyangga. The fact that these Jeongjeongryeol’s Chunhyangga, Dongchoje Chunhyangga and Manjeongje Chunhyangga have been passed down is relevant with the situation Kim Yeonsu, Kim Yeoran, and Kim Sohui were contained within the list of six holders of pansori Chunhyangga. Therefore, the designation of pansori Chunhyangga as the Korea’s 5th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transmission of Chunhyangga in 20th century and the 21st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名唱·名人의文獻도마련–25日」 合同追慕祭, “소리” 등 蒐集"

      2 박봉례,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3 정수진,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 그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기형, "한국 공연예술의 새로운 미래" 연극과 인간 81-94, 2006

      5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671, 2008

      6 이보형, "판소리 公演文化의 變動이 판소리에 끼친 影響"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7 : 261-319, 1995

      7 유기룡, "춘향전:그 이본과 판소리의 명창계보" 문화재관리국 1 : 1965

      8 김석배, "춘향전의 지평과 미학" 박이정 1-337, 2010

      9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 2015

      10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 출판부 1-670, 1966

      1 "「名唱·名人의文獻도마련–25日」 合同追慕祭, “소리” 등 蒐集"

      2 박봉례, "한국의 판소리" 집문당 1981

      3 정수진,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 : 그 사회적 조건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4 김기형, "한국 공연예술의 새로운 미래" 연극과 인간 81-94, 2006

      5 배연형, "판소리 소리책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671, 2008

      6 이보형, "판소리 公演文化의 變動이 판소리에 끼친 影響"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7 : 261-319, 1995

      7 유기룡, "춘향전:그 이본과 판소리의 명창계보" 문화재관리국 1 : 1965

      8 김석배, "춘향전의 지평과 미학" 박이정 1-337, 2010

      9 송미경, "춘향가 소리 대목 및 더늠의 전승 양상과 판소리사적 의미" 고려대 2015

      10 박헌봉, "창악대강" 국악예술학교 출판부 1-670, 1966

      11 김연수, "창본 춘향가" 국악예술학교 출판부 1-343, 1967

      12 김기수, "적벽가·춘향가(한국음악 5)" 전통음악연구회 1-342, 1981

      13 성경린, "박동진 춘향가(전판)연창에 부치며"

      14 김인숙, "무형문화재와 판소리 음악의 판도 –유파의 발굴과 전승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87-98, 2015

      15 "모습없는寶物 「重要無形文化財」로"

      16 "김소희 창본 춘향가" 동리연구회 3 : 329-400, 1996

      17 송미경,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1963)의 특징과 판소리사적 의의" 한국공연문화학회 (29) : 379-424, 2014

      18 성경린, "국악감상" 삼호뮤직 1-245, 1994

      19 박헌봉, "重要無形文化財傳授敎材 春香歌(판소리)"

      20 박헌봉, "重要無形文化財傳授敎材 春香歌(판소리)" 문화재관리국 1-136, 1965

      21 "國樂名人合同追慕祭擧行公告"

      22 박록주, "《춘향전》 1~4(Tape)"

      23 최승희, "《최승희 춘향가》 1-5"

      24 김연수, "《동초 김연수 창 판소리 다섯바탕: 춘향가》 1-8(CD)"

      25 김여란, "《김여란 춘향가》(CD)"

      26 김소희, "《김소희 춘향가》 1~6(CD)"

      27 "《唱劇 春香傳》第一~五集, 대도레코드, 1960년대.(唱:朴初月·成又香·梁玉珍·鄭哲鎬·韓弄善·朴鳳善·金玉珠·趙通達 伴奏:大都國樂團/ 이후 《한국의 세계무형문화유산-판소리 인간문화재 박초월 명창 외 춘향가》 1~4(CD)"

      28 "KBS 방송자료실 소장 기독교방송 녹음 박록주 <춘향가> 1~12"

      29 박헌봉, "(판소리)春香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