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이들의 주요 문제가 대인관계적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523173
서울: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4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 심리치료학과 여성 및 성 심리치료학전공 , 2014. 8
2014
한국어
616.8914 판사항(20)
서울
The Effect of Interpersonal Problems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 Mediation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Rejection Sensitivity
v, 65 장; 26 cm.
서울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경
부록: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지 외 수록
참고문헌: p. 44-5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이들의 주요 문제가 대인관계적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을 가진 이들의 주요 문제가 대인관계적인 맥락에서 발생한다는 기존의 연구와 관련하여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총 611명(남자274명, 여자337명)이었고, 연구도구는 경계선 성격특성 척도(PAI-BOR),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SC),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 거절민감성 척도(RSQ)이다. 자료 분석은 상관관계분석 및 Baron과 Kenny(1986)에 따른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대인관계문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경계선 성격특성이 높아질수록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이 높아지고, 이러한 높은 정서조절의 곤란과 거절민감성은 대인관계문제를 높이게 된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 두 변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정서조절곤란과 거절민감성을 통하여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