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 2019년 이후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50799

      • 저자
      • 발행사항

        수원 :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경기대학교 대학원 , 글로벌뮤직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경기도

      • 기타서명

        Research About the Factors Affecting Why Choose to Study in South Korea: Based on after Year 2019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Music Major

      • 형태사항

        viii, 18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병규
        참고문헌 : p. 142-157

      • UCI식별코드

        I804:41002-000000056954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pandemic, it seems that majority of colleges in South Korea are faced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more intense competition and declining incomes, which has accelerated the transition of higher education to be more consumer-oriented. Mor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cus more on the perceived values of potential consumers-college students. Nevertheless, although many scholars have instilled new situations to follow this trend, very few choose the intermational education background but base their studies on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is essay chooses a new angle-students are consumers. It cuts into the points of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exemplify the overseas students for tertiary education.
      This essay surveys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music major, and combines research situation by taking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 image(political image, economic image, social image and K-pop
      cultural image), In addition, it constructs a conceptual model on the basis of S-O-R theory, structuring-national imag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perceived value and choice wills to study abroad. From June 10 to August 20, 2022, 453 valid data were collected from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usic, both in Korea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music, through online and offline.Through the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test, intermediate test and path analysis test of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the hypothesis and model are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Subsequently, six Chinese music majors who had studied in Korea were interviewed online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ers were analyzed qualitatively.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firmed, and valuable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al variables of national image, and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value.Throug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and tested the data of Chinese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abroad in Korea. It explores how those students choose to study overseas through different factors, such as their perceived value which would affect the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lso it ma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o gather data and research material, so a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of colleges in South Korea to deal with challenges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background.
      번역하기

      After the pandemic, it seems that majority of colleges in South Korea are faced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more intense competition and declining incomes, which has accelerated the transition of higher education to be more consumer-oriented. More h...

      After the pandemic, it seems that majority of colleges in South Korea are faced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more intense competition and declining incomes, which has accelerated the transition of higher education to be more consumer-oriented. Mor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ocus more on the perceived values of potential consumers-college students. Nevertheless, although many scholars have instilled new situations to follow this trend, very few choose the intermational education background but base their studies on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s a result, this essay chooses a new angle-students are consumers. It cuts into the points of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exemplify the overseas students for tertiary education.
      This essay surveys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in music major, and combines research situation by taking different aspects of national image(political image, economic image, social image and K-pop
      cultural image), In addition, it constructs a conceptual model on the basis of S-O-R theory, structuring-national image, university competitiveness and perceived value and choice wills to study abroad. From June 10 to August 20, 2022, 453 valid data were collected from Chinese students majoring in music, both in Korea and those who graduated from music, through online and offline.Through the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test, intermediate test and path analysis test of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software, the hypothesis and model are verified by quantitative analysis.Subsequently, six Chinese music majors who had studied in Korea were interviewed online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the opinions of the interviewers were analyzed qualitatively.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firmed, and valuable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all dimensional variables of national image, and the perception of value i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value.Through questionnaire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and tested the data of Chinese students' willingness to study abroad in Korea. It explores how those students choose to study overseas through different factors, such as their perceived value which would affect the national image and university competitiveness. Also it may have some implications for the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to gather data and research material, so as to enhance the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ness of colleges in South Korea to deal with challenges with the economic globalization backgrou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절대 다수의 한국 대학교는 입학생 모집에서 도전과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나날이 치열해지는 고등교육 경쟁 환경과 재정 수입 감소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소비주도형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소비자-학생이 대학을 선택할 시의 지각된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고등교육의 초국가적 교육경쟁 속에서 소비자-학생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제품-대학을 선택할 때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고등교육기관의 경쟁 우위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적지 않은 학자들이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있지만, 교육의 국제화 속에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즉 소비자 개념을 토대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 측면에서 접근하여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치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가 이미지를 여러 가지 차원(정치 이미지, 경제 이미지, 사회 이미지, K-pop 문화 이미지)으로 세분화하고 S-O-R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 이미지, 대학 경쟁력,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의 개념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2022년 6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2개월 동안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재학생 및 졸업자 모두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53부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4.0과 AMO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정량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한국 유학 경험이 있는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대상자의 관점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를 증명함으로써 가치있는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이미지의 각 측면과 대학 경쟁력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지각된 가치를 통해 유학 행동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이 어떻게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통해 음악전공 중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교육 분야의 국가 이미지 제고, 음악전공을 비롯한 한국의 대학 경쟁력 향상,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번역하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절대 다수의 한국 대학교는 입학생 모집에서 도전과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나날이 치열해지는 고등교육 경쟁 환경과 재정 수입 감소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절대 다수의 한국 대학교는 입학생 모집에서 도전과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나날이 치열해지는 고등교육 경쟁 환경과 재정 수입 감소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속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소비주도형 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소비자-학생이 대학을 선택할 시의 지각된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고등교육의 초국가적 교육경쟁 속에서 소비자-학생의 선택폭이 넓어지고, 제품-대학을 선택할 때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한다면 고등교육기관의 경쟁 우위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재 적지 않은 학자들이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를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고 있지만, 교육의 국제화 속에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는 학생, 즉 소비자 개념을 토대로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 측면에서 접근하여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가치가 유학 선택 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국가 이미지를 여러 가지 차원(정치 이미지, 경제 이미지, 사회 이미지, K-pop 문화 이미지)으로 세분화하고 S-O-R 이론을 바탕으로 국가 이미지, 대학 경쟁력, 지각된 가치와 유학 선택 의향의 개념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2022년 6월 10일부터 8월 20일까지 2개월 동안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재학생 및 졸업자 모두 포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453부의 유효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SPSS 24.0과 AMOS 24.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상관관계 분석, 매개효과 검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정량적 분석을 통해 연구가설과 연구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한국 유학 경험이 있는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인터뷰를 실시하여 인터뷰 대상자의 관점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를 증명함으로써 가치있는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이미지의 각 측면과 대학 경쟁력은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동시에 지각된 가치를 통해 유학 행동의도에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와 반구조적 인터뷰 방식을 통해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데이터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검증하였으며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국가 이미지와 대학 경쟁력이 어떻게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통해 음악전공 중국 유학생들의 유학 선택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교육 분야의 국가 이미지 제고, 음악전공을 비롯한 한국의 대학 경쟁력 향상, 고등교육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7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5
      • 제 3 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7
      •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2
      • 제 1 절 한·중 음악전공 발전 현황 12
      • 제 2 절 S-0-R 모형의 분석 27
      • 제 3 절 국가 이미지의 측면 34
      • 제 4 절 대학 경쟁력의 측면 53
      • 제 5 절 지각된 가치의 측면 61
      • 제 6 절 행동의도의 측면 65
      • 제 3 장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 한국유학 선택 요인의 연구설계 71
      • 제 1 절 연구모형 71
      • 제 2 절 연구가설 72
      • 제 3 절 설문지 설계 84
      • 제 4 장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 한국유학 선택 요인의 실증분석 및 검증 90
      • 제 1 절 실증연구 흐름 91
      • 제 2 절 데이터 수집 96
      • 제 3 절 실증분석 99
      • 제 4 절 연구결과 127
      • 제 5 절 음악전공 중국인 유학생 한국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인터뷰 130
      • 제 5 장 결 론 136
      • 참고문헌 142
      • 부록 1. 한국 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설문조사(한) 158
      • 부록 2. 한국 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설문조사(중) 163
      • 부록 3. 한국 유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뷰 내용 166
      • Abstract 184
      • 論文槪要 1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