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용중, "후삼국의 출현과 고려에 의한 그의 통일" 과학원출판사 1963
2 鄭淸柱, "호족세력의 대두 배경"
3 강종훈,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통일신라·발해 부분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대구사학회 134 : 85-131, 2019
4 김기덕, "한국역사입문②" 풀빛 1995
5 이기백, "한국사신론" 일조각 1999
6 송호정, "한국사 24-한국사의 이론과 방법2-" 한길사 1994
7 신형식, "한국사 11-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국사편찬위원회 2003
8 이기동, "한국사 11-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국사편찬위원회 2003
9 방기중,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 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2
10 전덕재,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2006
11 정두희, "하나의 역사, 두 개의 역사학-개설서로 본 남북한의 역사학-(개정증보)" 소나무 2002
12 이성시, "투쟁의 장으로서의 고대사" 삼인 2019
13 趙仁成,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14 權英五, "진성여왕대 농민 봉기와 신라의 붕괴" (11) : 2007
15 김덕수, "중학교 역사②" 천재교육 2021
16 김태웅, "중학교 역사②" 미래엔 2020
17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1977
18 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출판사 1962
19 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통사(상)" 과학원 1956
20 박시형, "조선토지제도사(상)" 신서원 1994
21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5-중세편 발해 및 후기신라사-,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79
22 편집위원회, "조선인민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의 력사총서 『조선전사』-『조선전사』 1~15권 출판에 즈음하여-" (97) : 1981
23 림건상, "조선의 부곡제에 관한 연구" 과학원출판사 1963
24 김세익, "조선사 2-대학용-" 교육도서출판사 1958
25 홍순직, "조선력사교과서 용어해설" 교육도서출판사
26 조희승, "조선력사강좌" 조선청년사 1993
27 "조선력사-중급학교 제2학년용-" 총련 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학우서방 1981
28 김석형, "조선력사-제1분책-" 교육도서출판사(학우서방) 1957
29 김병룡, "조선력사-고등중학교3-" 교육도서출판사 1994
30 홍성찬, "조선력사-고등중학교 제5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82
31 오영철, "조선력사-고등중학교 제3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1
32 오영철, "조선력사-고등중학교 제3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99
33 리인형, "조선력사-고등중학교 제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08
34 "조선력사-고급학교 제1학년용-" 총련 중앙상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학우서방 1972
35 "조선력사(상)" 학우서방 1963
36 김석형, "조선력사" 교육성(학우서방) 1953
37 강세권, "조선단대사(신라사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1
38 현명호, "조선고대중세사 1"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3
39 李基東, "전환기의 한국사학" 一潮閣 1999
40 림건상, "임건상전집" 혜안 2001
41 이정신, "신라하대 농민항쟁의 특징"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1 : 2000
42 채웅석, "신라의사회구조와 신분제" 경상북도 문화재연구원 2016
43 이기동, "신라외 쇠퇴와 후삼국의 성립" 주류성 2021
44 趙仁成, "신라에서 고려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45 전덕재, "신라 하대의 농민항쟁" 한길사 4 : 1994
46 이기봉, "신라 진성여왕대의 재이와 농민반란" 호남사학회 (62) : 65-88, 2016
47 전덕재, "신라 말 농민봉기의 원인과 통치체제의 와해" 호서사학회 (98) : 5-48, 2021
48 림건상, "서평: 『조선고대사』에 대하여" (1) : 1955
49 김광진, "삼국시기의 사회경제구성에 관한 토론집" 일송정 1989
50 오종록, "북한의 한국사 인식 1" 한길사 1990
51 이인철, "북한의 한국사 연구동향 1-고, 중세편-" 국사편찬위원회 2003
52 정운용, "북한의 통일신라사 서술" 대륙연구소 출판부 1994
53 도면회, "북한의 역사 만들기" 푸른역사 2003
54 김준진, "리용중 저, 『후삼국의 출현과 고려에 의한 그의 통일』에 대하여" (54) : 1964
55 오영철, "력사교수참고서-고등중학교 제1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14
56 오영철, "력사-고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2013
57 지수걸, "남북역사학논총2-북한의 역사학(1)-" 국사편찬위원회 2002
58 하원호, "남북역사학논총2-북한의 역사학(1)-" 국사편찬위원회 2002
59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사강좌, 조선사개요" 국립출판사 1957
60 장국종, "공화국 창건 후 15년 간 력사 과학 부문에서 달성한 성과"
61 서의식, "강좌 한국고대사 1-한국고대사연구 100년-"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62 노태돈, "강좌 한국고대사 1-한국고대사연구 100년-"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63 朴宗基, "高麗時代部曲制硏究" 서울大學校出版部 1990
64 邊太燮, "韓國史通論(四訂版)" 三英社 1996
65 김석형, "韓國古代社會硏究" 知識産業社 1975
66 李弘稙, "韓國古代史의 硏究" 新丘文化社 1971
67 李弘稙, "羅末의 戰亂과 緇軍" (12, 13) : 1968
68 金哲埈, "李相佰博士回甲紀念論叢" 乙酉文化社 1964
69 白南雲, "朝鮮社會經濟史" 이론과실천 1994
70 白南雲, "朝鮮封建社會經濟史(上)" 이론과실천 1993
71 박경수, "朝鮮中世史(上編)" 국립출판사 1954
72 백남운, "朝鮮中世史(上編)" 국립출판사 1954
73 趙仁成, "新羅末 農民反亂의 背景에 대한 一試論" (7) : 1996
74 朴贊興, "新羅 中, 下代 土地制度 硏究" 高麗大學校 2001
75 閔基惠, "新羅 下代의 農民叛亂" 梨花女子大學敎 1991
76 申虎澈, "後三國時代 豪族硏究" 개신 2002
77 趙仁成, "彌勒信仰과 新羅社會-眞表의 彌勒信仰과 新羅末 農民蜂起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83) : 1994
78 宋基豪, "北韓의 古代史硏究" 一潮閣 1991
79 홍희유, "『조선통사』(상) 집필에서 거둔 몇 가지 성과"
80 김세익, "『조선중세사(상편)』에 대하여」" (1) : 1955
81 이석규, "『조선전사』중세편의 ‘민’ 인식" 한국사학회 (79) : 247-300, 2005
82 김세익, "『조선의 부곡제에 관한 연구』에 대하여" (59) : 1965
83 이기동, "9세기 신라사 이해의 기본과제- 왜 신라는 농민반란의 일격으로 쓰러졌는가? -" 신라문화연구소 (26) : 7-19, 2005
84 나가하라 게이지, "20세기 일본의 역사학" 삼천리 2011
85 이정빈, "1950년대 북한 역사교과서의 민족형성 이해와 한국사 체계의 변화" 고려사학회 (83) : 65-97,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