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중?고학년 총 420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 교사관 및 아동관 등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64507
정혜영 (이화여자대학교 초등교육과)
2004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schooling ; perception ; 초등학교 아동 ; 학교교육 ; 인식
370.5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1-139(1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등학교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중?고학년 총 420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 교사관 및 아동관 등 ...
초등학교교육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중?고학년 총 420명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초등학교의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방법, 평가, 교사관 및 아동관 등 총 여섯 영역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연구결과로 나타난 것은 아동이 인식한 초등학교 교육목표는 학교란 공부하는 곳이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교란 친구를 만나기 위한 곳으로 보았다. 이들이 인식한 초등학교의 교육내용은 특정 학과목으로 응답하였고, 교수방법에 있어서는 아동들은 재미있으며, IT를 활용하거나 조작활동 등을 선호하였다. 평가측면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자신에 대한 평가를 하는지 객관적으로 알지 못하나 본인이 선호하는 개인화된 평가방법을 언급하였다. 아동은 교사에게 요구사항이 많았고, 선호하는 교사상도 매우 다양하였다. 아동들은 친구가 자신에게 먼저 다가오고 베풀기를 기대하였으며, 역시 선호하는 교우유형 또한 매우 다양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생은 학교교육에 대한 자신들의 적극적인 요구를 갖고 있으며, 학교에서 자신이 의미있는 존재로 인식되고 교사나 친구로부터 관심의 대상이 되고자 함을 드러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aims,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teachers and friends of elementary school.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20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erce...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perceptions on aims, contents, teaching methods, evaluation, teachers and friends of elementary school. The open-end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20 students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perceptions on aims, students regarded elementary school as a place to study, and a place to meet friends as their grade levels go up. In terms of their perceptions on contents, they listed some particular school subjects for responding what they were studying at elementary school. As for the teaching methods, they preferred something hands-on, interesting, and with technology, They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way their teachers evaluated them. They asked for personal attentions and care from their teachers and friends, at the same time, they expected themselves to be meaningful and respected beings in the schoo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2
2 "초등학교의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2001
3 "초등학교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2001
4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2001
5 "초등학교 물리적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분석" 2001
6 "초등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2001
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8 "초등학교 과외교육 실태 및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2001
9 "초등교육학 개론" 문음사 2001
10 "초등교육의 이해" 문음사 1999
1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02
2 "초등학교의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2001
3 "초등학교의 교육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연구" 2001
4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2001
5 "초등학교 물리적 교육환경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만족도 분석" 2001
6 "초등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 인식 연구" 2001
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Ⅰ)"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8 "초등학교 과외교육 실태 및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2001
9 "초등교육학 개론" 문음사 2001
10 "초등교육의 이해" 문음사 1999
11 "초등교육의 목표, 내용, 교사 자질에 관한 인식 연구" 23 (23): 193-207, 2003
12 "초등 학부모가 본 교사의 인성적 자질" 36 : 267-295, 2001
13 "수행평가 시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조사 연구: 경기도 남부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2000
1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Longman 1964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 신체발달과 체육활동에 대한 유아체육 강사의 인식 및 유아체육 지도현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4 | 1.54 | 2.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9 | 2.24 | 2.372 | 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