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통일민속학 시고(試考)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5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민속학은 한민족의 일상적인 생활문화를 그 연구대상으로 한다. 또 한 민속학은 현지조사를 기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속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민속의 현장을 직접 조사하는 것이 매...

      한국민속학은 한민족의 일상적인 생활문화를 그 연구대상으로 한다. 또 한 민속학은 현지조사를 기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민속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민속의 현장을 직접 조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북한 현지에서의 민속조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도 사실이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입장에서 보면 한국민속학의 체계적인 발전 을 위해서 한국의 민속을 비롯해서 북한의 민속을 포괄할 수 있는 통일민속학의 필요성이 제기될 수 있다. 정치와 경제구조가 바뀌어도 민중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는 민속문화는 여전히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가령 예를 들어서 북한의 속담과 수수께끼를 보면 정치적인 색채가 뚜렷하지만 역시 그 속에는 한민족의 민속문화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한민족문화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민족이 공유하고 있는 민속문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통일민속학은 그 중심에서 한민족문화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klore studies in Korea generally deal with ordinary Koreans` daily life culture. Also, in folklore studies, fieldwork carried out by folklorists plays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delicate aspects of folk culture. Until quite recently doing fiel...

      Folklore studies in Korea generally deal with ordinary Koreans` daily life culture. Also, in folklore studies, fieldwork carried out by folklorists plays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delicate aspects of folk culture. Until quite recently doing fieldwork in North Korea has been nearly impossible, because it was almost unaccessible. Nevertheless, today, there is some possibility to visit North Korea and probably to do some field research on North Korean culture. This is because folklorists who promote purely traditional Korean culture are well treated in terms of promoting the same cultural identity. From this standpoint and perspective, it seems to be the right time now to discuss the so called “folklore for unific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are similar folk culture even though each side has different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Hence the consistent efforts for cooperative researches on Korean folk culture between South and North led to the “folklore for unification” contributing to form “one” cultural community for Korea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