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뉴질랜드 마오리족의 성년식 연구 = A Study on the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in Korea and Maori Tribe of New Zea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851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ritual ceremony is an act or series of acts performed according to a traditional or prescribed form within certain cultural border through habitual custom, it may differ as well accordingly if the na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differs.
      Variations of using language and cultural sphere took on different aspects in line with passage of time.
      Among many other rites,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has its meaning in promoting incomplete-selves into impeccable-selves as to become a member of community.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can be found any existing peoples, we Koreans cultivated Confucian sage figures to build up Confucianism through Gwan-rye.
      Indigenous people of New Zealand used to bear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which acknowledges the person who can successvully overcome natural hardships as a member society with the power to govern its tribe.
      It is hardly recognizable for us to witness true value of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due to cultural variation in this modern world though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feature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ithin Korea and New Zealand alik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stablishing decent value of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while closely examining cultural tradition and social value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cross time and space within each ethnic group.
      번역하기

      Since ritual ceremony is an act or series of acts performed according to a traditional or prescribed form within certain cultural border through habitual custom, it may differ as well accordingly if the na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differs. Varia...

      Since ritual ceremony is an act or series of acts performed according to a traditional or prescribed form within certain cultural border through habitual custom, it may differ as well accordingly if the na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 differs.
      Variations of using language and cultural sphere took on different aspects in line with passage of time.
      Among many other rites,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has its meaning in promoting incomplete-selves into impeccable-selves as to become a member of community.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can be found any existing peoples, we Koreans cultivated Confucian sage figures to build up Confucianism through Gwan-rye.
      Indigenous people of New Zealand used to bear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which acknowledges the person who can successvully overcome natural hardships as a member society with the power to govern its tribe.
      It is hardly recognizable for us to witness true value of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due to cultural variation in this modern world though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feature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within Korea and New Zealand alike.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establishing decent value of rite of passage into adulthood while closely examining cultural tradition and social value which have been passed down across time and space within each ethnic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의례는 일정한 생활문화권 안에서 오랜 생활습관을 통하여 약속된 사회적 방식이므로 자연과 역사적 배경이 다르면 의례도 달라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와 지역적인 문화권의 차이는 시대에 따라 변화되면서 의례의 유형과 양상도 달리 나타난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 일생동안 통과해야 하는 의례 가운데 소년소녀가 어른으로 진입하는 성년식은 불완전한 단계에서 완전한 단계로 승격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하는 의미를 가진다.
      성년식은 세계 여러 민족에게서 찾아볼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은 관례라는 성년의식을 통하여 유교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유교식 성인을 양성하였다. 뉴질랜드는 마오리족을 중심으로 자연적 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시련통과의 성년의례를 치르며 부족을 다스릴 수 있는 지도력을 갖춘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성년식이 있었다.
      양국에 전승되는 성년식의 오랜 전통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년의례에 대한 민속적 특징을 나타내나, 현대에는 빠르게 융합하는 문화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성년식의 가치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각 민족 안에서 오랜 시간 면면히 전승된 성년식 문화의 전통성과 사회적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성년식의 올바른 가치를 확립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의례는 일정한 생활문화권 안에서 오랜 생활습관을 통하여 약속된 사회적 방식이므로 자연과 역사적 배경이 다르면 의례도 달라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와 지역적인 문화권의 차이는 시...

      의례는 일정한 생활문화권 안에서 오랜 생활습관을 통하여 약속된 사회적 방식이므로 자연과 역사적 배경이 다르면 의례도 달라질 수 있다. 서로 다른 언어와 지역적인 문화권의 차이는 시대에 따라 변화되면서 의례의 유형과 양상도 달리 나타난다.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 일생동안 통과해야 하는 의례 가운데 소년소녀가 어른으로 진입하는 성년식은 불완전한 단계에서 완전한 단계로 승격하는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격을 획득하는 의미를 가진다.
      성년식은 세계 여러 민족에게서 찾아볼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은 관례라는 성년의식을 통하여 유교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유교식 성인을 양성하였다. 뉴질랜드는 마오리족을 중심으로 자연적 조건을 극복할 수 있는 시련통과의 성년의례를 치르며 부족을 다스릴 수 있는 지도력을 갖춘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성년식이 있었다.
      양국에 전승되는 성년식의 오랜 전통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성년의례에 대한 민속적 특징을 나타내나, 현대에는 빠르게 융합하는 문화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성년식의 가치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각 민족 안에서 오랜 시간 면면히 전승된 성년식 문화의 전통성과 사회적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성년식의 올바른 가치를 확립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禮記"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일생의례사전. 1-2" 국립민속박물관 2014

      3 김용덕, "한국의 풍속사 1" 밀알 1994

      4 장덕순, "한국의 풍속 상" 문화재관리국 1970

      5 이희재, "한국의 전통의례" 한국학술정보(주) 2007

      6 장철수, "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1995

      7 최인학, "한국 민속학 새로 읽기" 민속원 2000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 민속의 세계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1

      9 "태백산사고본"

      10 문옥표, "증보사례편람역주본" 한국학술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 "禮記"

      2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일생의례사전. 1-2" 국립민속박물관 2014

      3 김용덕, "한국의 풍속사 1" 밀알 1994

      4 장덕순, "한국의 풍속 상" 문화재관리국 1970

      5 이희재, "한국의 전통의례" 한국학술정보(주) 2007

      6 장철수, "한국의 관혼상제" 집문당 1995

      7 최인학, "한국 민속학 새로 읽기" 민속원 2000

      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한국 민속의 세계 2"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1

      9 "태백산사고본"

      10 문옥표, "증보사례편람역주본" 한국학술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1 이광규, "종교와 의례" 서울대출판부 1988

      12 "조선향토대백과" (사)평화문제연구소 2008

      13 나경수, "전라남도 세시풍속"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4 김열규, "이젠 없는 것들 1" 문학과 지성사 2013

      15 권광옥, "육례이야기 1" 해돋이 1994

      16 "삼국지"

      17 이광규, "문화인류학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1980

      18 스티브길버트, "문신, 금지된 패션의 역사" 르네상스 2014

      19 김광언, "동아시아의 놀이" 민속원 2004

      20 "동아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84

      21 이노이, "내마음에 마법을 건 나라 뉴질랜드" 즐거운 상상 2008

      22 E. R. Leach, "구조분석 입문" 민속원 2017

      23 한기언, "교육사" 법문사 1981

      24 김성일, "고사성어대사전" 시대의 창 2013

      25 "건전가정의례준칙"

      26 "高麗史"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韓國民俗大觀 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1

      28 "英祖實錄"

      29 임호민, "江陵市史" 강릉문화원 1996

      30 "朱子家禮"

      31 "世說新語"

      32 "世宗實錄"

      33 Arnold van Gennep, "The Rites of Passa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