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TT서비스 등 새로운 미디어서비스에 대한 입법정책 = Legislative policy on new media services such as OTT serv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9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OTT서비스 시장에서는 해외 OTT사업자들과 국내 OTT사업자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OTT 사업자는 프로그램을 기획ㆍ편성 또는 제작하여 공중에게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OTT서비스 등 새로...

      OTT서비스 시장에서는 해외 OTT사업자들과 국내 OTT사업자들의 경쟁이 치열하다. OTT 사업자는 프로그램을 기획ㆍ편성 또는 제작하여 공중에게 제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OTT서비스 등 새로운 미디어 매체를 「방송법」에서 규율하지 못하고 있다. OTT서비스를 방송 또는 통신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이에 대해 규율할 것인지 논의가 필요하다.
      미디어사업자 또는 방송사업자가 방송 또는 서비스 등의 명칭을 사용하면서 일정한 프로그램을 기획ㆍ편성 또는 제작하여 공중에 제공하는 OTT서비스는 방송과 유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방송법」에서는 ① 텔레비전 방송, ②라디오방송, ③ 데이터방송, ④ 이동멀티미디어방송만 ‘방송’에 해당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OTT서비스는 「방송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방송사업자는 법에 의해 진입규제, 소유ㆍ겸영규제, 점유율 규제, 내용규제, 편성규제, 광고규제를 받음에 반해, OTT서비스 사업자는 이러한 규제를 받지 않는다.
      공영방송과 다른 미디어서비스 간 구별을 전제로 하여 새로운 입법을 할 필요가 있다. 공영방송에게는 공익성과 공공성을 유지ㆍ강화하고, 다른 미디어서비스에게는 규제 완화 측면에서 언론의 자유를 향유하게 하는 방안이다. 먼저 ‘시청각미디어서비스’ 개념을 방송의 상위개념으로 설정한다. ‘동영상’ 중심인지 아니면 ‘비동영상’ 중심인지에 따라 구분하고, 콘텐츠가 동영상이 주된 서비스인 경우에는 ‘시청각미디어서비스’로, 콘텐츠가 비동영상이 주된 서비스인 경우에는 ‘정보 사회서비스’로 구분한다. 시청각미디어서비스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이 주된 서비스이고, 정보사회서비스는 동영상이 보조적인 서비스다.
      OTT서비스는 대략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법적 규율을 적용받게 하는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부류는 「전기통신사업법」상의 특수한 유형의 부가통신사업자로, 두 번째 부류는 신고 사업자로, 세 번째 부류는 「전기통신사업법」상의 부가통신사업자로 규율하는 방안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OTT service market, competition between overseas OTT operators and domestic OTT operators is fierce. Although OTT operators plan, organize, or produce programs and provide them to the public, new media media such as OTT services are not regulat...

      In the OTT service market, competition between overseas OTT operators and domestic OTT operators is fierce. Although OTT operators plan, organize, or produce programs and provide them to the public, new media media such as OTT services are not regulated by the Broadcasting Act.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to view OTT service as broadcast or communication, or whether to make it a new concept and regulate it.
      The OTT service provided to the public by planning, organizing, or producing a certain program while using the name of broadcasting or service by a media business operator or broadcasting business operator can be regarded as similar to broadcasting. However, since the “Broadcasting Act” stipulates that only ① TV broadcasting, ② radio broadcasting, ③ data broadcasting, and ④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are applicable to broadcasting, the OTT service is not subject to the ‘Broadcasting Act’. From a constitutional aspect, OTT services have ‘extensive effect’, ‘up-to-date’ and ‘potential influence’, and because they secure diversity of public opinion and form public opinion, they can be classified as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Broadcasters are subject to entry regulation, ownership/concurrent regulation, market share regulation, content regulation, organization regulation, and advertisement regulation by law, whereas OTT service providers are not subject to these regulations.
      There is a need for new legislation on the premise of the distinction between public broadcasting and other media services. It is a plan to maintain and strengthen public interest and publicity for public broadcasting, and to guarantee freedom of the press in terms of deregulation for other media services. The concept of ‘audio-visual media service’ is set as the higher concept of broadcasting.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it is ‘video’ or ‘non-video’, and if the content is a video-oriented service, it is classified as ‘audio-visual media service’, and if the content is a non-video-oriented service, it is classified as ‘information society service’. Audio-visual media services are mainly provided with ‘video content’, while information and social services are supplementary serv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형둔, "헌법상 방송개념과 OTT서비스의 방송법적 규제의 정당성"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1-36, 2019

      2 최우정, "헌법상 개념으로서의 방송- 독일에서의 논의를 한국적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269-298, 2004

      3 최우용, "행정법상 ‘등록’의 법적 성격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64) : 115-144, 2014

      4 이부하, "케이블 텔레비전에 대한 규제 및 의무재송신 규정"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213-233, 2008

      5 최우정,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규제의 한계"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63-98, 2011

      6 최우정,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방송콘텐츠 규제의 법적 문제점"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1-32, 2017

      7 양천수, "생존배려 개념의 기원 - 법철학의 시각에서 본 포르스트호프(E. Forsthoff)의 사회보장법체계" (26) : 2008

      8 이부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출・퇴근 중 재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 견해 평가 - 헌재 2016. 9. 29. 2014헌바254를 분석하며 -" 법과정책연구원 23 (23): 121-142, 2017

      9 이부하,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3-27, 2017

      10 김국진, "방송통신융합법 체계와 과제" 에스케이텔레콤 (주) 19 (19): 27-39, 2009

      1 권형둔, "헌법상 방송개념과 OTT서비스의 방송법적 규제의 정당성"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1-36, 2019

      2 최우정, "헌법상 개념으로서의 방송- 독일에서의 논의를 한국적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269-298, 2004

      3 최우용, "행정법상 ‘등록’의 법적 성격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64) : 115-144, 2014

      4 이부하, "케이블 텔레비전에 대한 규제 및 의무재송신 규정" 한국비교공법학회 9 (9): 213-233, 2008

      5 최우정,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지상파방송의 기능과 규제의 한계"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63-98, 2011

      6 최우정,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방송콘텐츠 규제의 법적 문제점"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1-32, 2017

      7 양천수, "생존배려 개념의 기원 - 법철학의 시각에서 본 포르스트호프(E. Forsthoff)의 사회보장법체계" (26) : 2008

      8 이부하,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출・퇴근 중 재해 사건에서 헌법재판소 견해 평가 - 헌재 2016. 9. 29. 2014헌바254를 분석하며 -" 법과정책연구원 23 (23): 121-142, 2017

      9 이부하,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3-27, 2017

      10 김국진, "방송통신융합법 체계와 과제" 에스케이텔레콤 (주) 19 (19): 27-39, 2009

      11 고민수, "방송통신융합과 입법적 과제" 한국공법학회 34 (34): 2006

      12 권형둔, "방송법 개정 논의의 헌법적 문제에 대한 소고 - 공영방송의 민영화 방안과 관련하여 -" 한국공법학회 37 (37): 1-27, 2008

      13 조소영, "방송법 개정 관련 법안들에 대한 법적 검토 — 한국방송공사의 공적 책임 및 지배구조 개선내용을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37-70, 2019

      14 지성우, "멀티미디어 시대에 있어 방송개념의 가변성에 관한 연구- IP-TV 문제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원 17 (17): 115-140, 2005

      15 이부하, "매체 융합시대에 방송의 자유와 온라인 매체에 의한 방송 -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1 (41): 203-222, 2017

      16 이부하, "디지털 시대에 의사표현의 왜곡과 표현의 자유의 한계" 법학연구원 42 (42): 45-71, 2018

      17 선지원, "규제 방법의 진화로서 자율규제의 실질화를 위한 연구"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4) : 99-126, 2021

      18 . Dörr, "Wo bleibt die Rundfunkfreiheit" ZUM Sonderheft 666-, 2000

      19 황성기, "OTT 서비스 규제기준에 관한 연구 - 내용적 규제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4 (34): 1-25, 2017

      20 홍명수, "OTT 규제에 관한 검토" 법학연구소 18 (18): 33-50, 2019

      21 이부하, "ICT 법 체계 개선방안 - 현행 ICT 관련 법제를 고찰하며 -" 과학기술법연구원 21 (21): 273-302,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1 0.839 0.4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