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강점 활용, 학업탄력성, 정신적 웰빙의 관계 규명 =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Strengths Use, Academic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64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강점 활용, 학업탄력성,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S시의 B대학교와 J대학교 여대생 279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강점 활용, 학업탄력성, 정신적 웰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S시의 B대학교와 J대학교 여대생 279명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형 적합도가 x²=154.242, df=49, TLI= .90, CFI= .92, RMSEA= .08로 좋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여대생의 대인관계 유능성이 학업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대생의 강점 활용은 학업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대생의 학업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대생의 강점 활용이 정신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대생의 대인관계 유능성 및 강점 활용이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업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여대생의 정신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실천적 특성으로서 대인관계 유능성, 강점 활용, 학업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strengths use, academic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 survey was conducted on a community samp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B and J college(N=279/S City). First, the dat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competence, strengths use, academic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A survey was conducted on a community sampl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B and J college(N=279/S City). First, the data analysis for structure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by AMOS 20.0 and the model fit had a good level(x²=154.242, df=49, TLI= .90, CFI= .92, RMSEA= .08) by analysis of the suitability. Second,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related to mental health. Third, strengths use was not related to academic resilience. Fourth, academic resilience was related to mental health. Fifth, strengths use of was not related to mental health. Sixth,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trengths use was related to mental health indirectly mediating by academic resilience. This allows to promote discussion about interpersonal competence, strengths use and academic resilience as a practic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s mental heal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경호,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21-338, 2004

      2 배성만, "한국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51-65, 2015

      3 김혜진, "학업탄력성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40 : 167-214, 2016

      4 김윤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29-252, 2015

      5 윤현경,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35-343, 2014

      6 정미나, "청소년의 진로개발과 웰빙에 관한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85-109, 2015

      7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8 고은현, "성인의 평생학습을 통한 행복과 행복요인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851-870, 2014

      9 박진영, "성인대학생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215-239, 2009

      10 유지원,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욕구 요인, 동기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9 (49): 55-85, 2011

      1 차경호, "한국과 미국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1 (11): 321-338, 2004

      2 배성만, "한국 성인의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6 (16): 51-65, 2015

      3 김혜진, "학업탄력성을 매개로 한 대학생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생명문화연구소 40 : 167-214, 2016

      4 김윤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방법학회 27 (27): 229-252, 2015

      5 윤현경, "치위생과 학생의 자아탄력성이 학업만족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335-343, 2014

      6 정미나, "청소년의 진로개발과 웰빙에 관한 구조적 관계 검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85-109, 2015

      7 임영진, "정신적 웰빙 척도(MHC-SF)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369-386, 2012

      8 고은현, "성인의 평생학습을 통한 행복과 행복요인의 관계 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6 (26): 851-870, 2014

      9 박진영, "성인대학생용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안암교육학회 15 (15): 215-239, 2009

      10 유지원, "대학생의 학습참여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요인, 심리적 욕구 요인, 동기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학회 49 (49): 55-85, 2011

      11 정숙희, "대학생의 적응적 완벽주의, 학업탄력성 및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83-103, 2015

      12 정은이, "개별성-관계성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안암교육학회 17 (17): 97-120, 2011

      13 조남근,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27, 2016

      14 박부금, "강점 활용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599-616, 2012

      15 신소홍,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14-24, 2016

      16 Zubin J.,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86 : 103-124, 1977

      17 Moon, S. B., "Understanding and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8 Oh, K. H.,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Physical/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Sahmyook University 2009

      19 Veenhoven, R., "The Four Qualities of Life" 1 (1): 1-39, 2000

      20 Kim, C. Y., "The Effect of Stress Coping Training on Stress Reduction and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0

      21 Kim, M. H., "The Effect of Adolescents' Academic Stress on Mental Health : The Moderating Role of Academic Resilience" Kyungnam University 2014

      22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sues, Concepts, and Applications" Sage 56-75, 1995

      23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24 Govindji, R., "Strengths Use, self cocordance and well-being: Implication for strengths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ists" 2 : 143-153, 2007

      25 Clifton, D. O., "Strengths Quest: Discover and develop your strengths in academics, career, and beyond" The Gallup Organization 2002

      26 Ku, J. H., "Spiritul Well-Being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Sahmyook University 2005

      27 Hong, H. J., "Self-Actualization Tendency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Stress Level" Konyang University 2005

      28 Block, J. H., "Risk and prptective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psycholpatho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9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1998

      30 Hair, J.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2006

      31 Bae, B. R., "LISREL Structural Equation Model : Understanding and Use" Chungram press 2006

      32 Hong, J. Y., "How the University Students’ Stress Affects Their Depression" Yeungnam University 2005

      33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4 Walking Into the light, "Functional happiness"

      35 Chon, K. K.,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5 (5): 316-335, 2000

      36 Hong, S. H.,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19 (19): 161-177, 2000

      37 Baek, J. S.,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Free Improvisation and Projective Listening on University Students' Stress" Myongji University 2007

      38 McTigue, E., "Academic Resilience and Reading: Building Successful Readers" 62 : 422-432, 2009

      39 Kim, G. S., "AMO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SPSS Academy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