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온 신뢰성 시험에서 발생된 플렉서블 OLED의 휨 변형 = Warpage of Flexible OLED under High Temperature Reliability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723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플렉서블 OLED는 매우 다양한 유기(organic) 및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을 증착하는 과정에 의하여 고온에 의한 휨(warpage)이 발생한다. 휨으로 인하여 발생한 굽힘 변형은 후속 공정...

      플렉서블 OLED는 매우 다양한 유기(organic) 및 무기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층을 증착하는 과정에 의하여 고온에 의한 휨(warpage)이 발생한다. 휨으로 인하여 발생한 굽힘 변형은 후속 공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생산 수율 및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플렉서블 OLED 소자의 고온 환경신뢰성 시험 및 공정 단계에서 발생하는 휨 변형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재료를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휨을 최소화 함으로써 플렉서블 OLED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휨의 측정 및 수치해석 결과, 편광 필름과 베리어 필름이 휨에 많은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으며, OCA가 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플렉서블 OLED의 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소재는 plastic cover이였으며, 휨을 최소화하기 위한 plastic cover 소재의 최적 물성을 실험계획법으로 계산한 결과, 탄성 계수는 4.2 GPa, 열팽창계수는 $20ppm/^{\circ}C$ 일 경우 플렉서블 OLED의 휨은 1 mm 이하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evices consist of multi-stacked thin films or layer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Due to thermal coefficient mismatch of the multi-layer films,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is generated duri...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evices consist of multi-stacked thin films or layers comprising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Due to thermal coefficient mismatch of the multi-layer films,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is generated during high temperature process of each layer. This warpage will create the critical issues for next production process, consequently lowering the production yield and reliability of the flexible OL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warpage behavior of the flexible OLED for each bonding process step of the multi-layer films using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polarizer film and barrier film show significant impact on warpage of flexible OLED, while the impact of the OCA film on warpage is negligible. The material that has the most dominant impact on the warpage is a plastic cover. In order to minimize the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we estimate the optimal material properties of the plastic cover using design of experiment. It is found that the warpage of the flexible OLED is reduced to less than 1 mm using a cover plastic of optimized properties which are the elastic modulus of 4.2 GPa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20ppm/^{\circ}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철규, "잔류응력으로 인한 패키지 기판 굽힘 변형량 예측"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 (20): 21-26, 2013

      2 안종현, "유연 반도체/메모리 소자 기술"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 (20): 1-9, 2013

      3 T. Mizutani, "Warpage analysis of an LCD panel under thermo-mechanical and hygro-mechanical stress" 1-, 2007

      4 G. G. Stoney, "The tension of metallic films deposited by electrolysis" 82 (82): 172-, 1909

      5 A. W. J. Gielen, "The electro-thermal-mechanical performance of an OLED: a multi-physics model study" Euro-SimE 1-, 2009

      6 W. Lin, "PoP/CSP warpage evaluation and viscoelastic modeling" 1576-, 2008

      7 Y. Zhang, "Playing with multiple wearable devices: exploring the influence of display, motion and gender" 50 : 148-, 2015

      8 Y. Wang, "On-line measurement of thermally induced warpage of BGAs with high sensitivity shadow moiré" 21 (21): 191-, 1998

      9 H. Y. Low, "Mechanical properties of organic light-emitting thin films deposited on polymer-based barrier substrate: potential for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s" 53 (53): 227-, 2002

      10 C. J. Chiang, "Mechanical modeling of flexible OLED devices" 10 (10): 1268-, 2009

      1 김철규, "잔류응력으로 인한 패키지 기판 굽힘 변형량 예측"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 (20): 21-26, 2013

      2 안종현, "유연 반도체/메모리 소자 기술"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20 (20): 1-9, 2013

      3 T. Mizutani, "Warpage analysis of an LCD panel under thermo-mechanical and hygro-mechanical stress" 1-, 2007

      4 G. G. Stoney, "The tension of metallic films deposited by electrolysis" 82 (82): 172-, 1909

      5 A. W. J. Gielen, "The electro-thermal-mechanical performance of an OLED: a multi-physics model study" Euro-SimE 1-, 2009

      6 W. Lin, "PoP/CSP warpage evaluation and viscoelastic modeling" 1576-, 2008

      7 Y. Zhang, "Playing with multiple wearable devices: exploring the influence of display, motion and gender" 50 : 148-, 2015

      8 Y. Wang, "On-line measurement of thermally induced warpage of BGAs with high sensitivity shadow moiré" 21 (21): 191-, 1998

      9 H. Y. Low, "Mechanical properties of organic light-emitting thin films deposited on polymer-based barrier substrate: potential for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s" 53 (53): 227-, 2002

      10 C. J. Chiang, "Mechanical modeling of flexible OLED devices" 10 (10): 1268-, 2009

      11 J. H. Kim, "Improving the flexibility of largeare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electrodes on polymer substrates fo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y introducing surface roughness" 14 (14): 3444-, 2013

      12 G. P. Crawford, "Flexible flat panel displays" Wiley 2005

      13 C. C. Lee, "Development of robust flexible OLED encapsulations using simulated estimations and experimental validations" 45 (45): 275102-, 2012

      14 M. K. Yeh, "Bending stress analysis of flexible touch panel" 20 (20): 1641-, 2014

      15 K. Rőll, "Analysis of stress and strain distribution in thin films and substrates" 47 : 3224-, 1974

      16 N. Murata, "Adhesives for optical devices" 1178-,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마이크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 마이크로전자 및 패키징학회지
      외국어명 :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Jo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35 0.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