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주변 노동자의 동원화ㆍ조직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416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주된 주변 노동자층인 비정규 노동자들은 대기업의 정규노동자들처럼 노동조함으로 조직화된 사회세력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근래에 조직화된 대표적 ...

      한국의 주된 주변 노동자층인 비정규 노동자들은 대기업의 정규노동자들처럼 노동조함으로 조직화된 사회세력이 될 수 있을 것인가.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근래에 조직화된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세 비정규 노동자집단을 택하여 이들의 동원화ㆍ조직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노동계급행동에 대한 기존 연구가 주로 거시적 분석에 치우친 반면 이 논문은 미시적동원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이를 위해 사회운동 이론들을 적용하였다. 기존 이론들을 토대로 하여, 운동의 발흥, 운동의 확산, 그리고 운동의 안정화 등 세가지 측면을 나누어 살펴보고 각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운동의 발흥에는 운동을 주도할 핵심 인력 등 자원의 동원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지만 사회변동으로 인한 불만의 증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자원은 주로 노동자 집단 내부에서 동원되고 있지만 외부로부터 지원되는 자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운동의 확산과정을 보면 합의동원같은 의미형성과정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반면 운동 이전부터 존재하는 연결망은 중요했다. 그리고 미시적 기회구조가 중요한 요인이었다. 운동의 안정화에는 안정적인 자원동원이 필요했는데, 여기에는 운동주체의 전략과 함께 노동자 집단의 시장 위치도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이런 분석결과를 가지고 서구 사회운동이론이 우리나라의 노동운동, 즉 구사회운동의 설명에 가지는 유용성과 한계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the mobiliz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Korean atypical workers. Three recent cases of mobilization and organization by atypical workers are analyzed and compared.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ources incl...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the mobilization and organization of the Korean atypical workers. Three recent cases of mobilization and organization by atypical workers are analyzed and compared.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ources including activist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rise of these movements. However, the increase of discontents cannot be neglected. Major resources including money are mobilized by workers themselves. Second, networks and ‘micro opportunity structure’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movements, while the process of consensus formation among workers is less important. Third, the market position of work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abilization of these mo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western social movement theories in explaining the Korean labor movement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연구문제 및 이론적 자원
      • Ⅲ. 운동의 전개
      • Ⅳ. 종합과 토론
      • Ⅴ. 맺음말: 이론적ㆍ실천적 함의
      • Ⅰ. 머리말
      • Ⅱ. 연구문제 및 이론적 자원
      • Ⅲ. 운동의 전개
      • Ⅳ. 종합과 토론
      • Ⅴ. 맺음말: 이론적ㆍ실천적 함의
      • 참고문헌
      • ENGLISH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