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60쌍과 그 자녀를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를 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94485
서울 :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학위논문(석사) --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아동심리학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서울
104 ; 26 cm
지도교수: 남은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60쌍과 그 자녀를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를 알...
본 연구는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60쌍과 그 자녀를 지도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부부관계 유대감, 부모의 정서표현성 및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조절하는지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을 평정하기 위해 Krokoff와 Gottman(1984)이 개발한 Oral History Interview를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Buehlman과 Gottman(1996)이 개발한 Oral History Interview 코딩시스템(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을 남은영(2012)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해 인터뷰를 코딩했다. 둘째, 부모의 정서표현성을 평정하기 위하여 Halberstadt, Cassidy, Stifter, Parke 와 Fox(1995)가 개발한 가정 내 정서표현척도(SEFQ: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박소은과 남은영(2010)이 수정한 것을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행동문제는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하고 김영아 외(2011)가 한국어로 번안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유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Caregiver-Teacher Report Form for Ages 2-5: C-TRF)으로 평가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 유대감과 부모의 정서표현성, 그리고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부부관계 유대감과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 간에 정적인 관련성이 나타났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남편과 아내의 확장 대 철회가 높을수록 어머니가 가족 내에서 긍정적인 정서를 많이 표현한 반면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가족 내 긍정적 정서표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부관계 유대감은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과 유아 정서행동문제 간의 관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유아의 내재화 문제는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남편과 아내의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낸 반면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아내 확장 대 철회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유아 외현화 문제는 남편과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남편과 아내의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고, 아내 호감/애정, 남편과 아내의 우리됨 대 분리, 남편과 아내의 확장 대 철회와는 부적인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정서표현성과 유아 정서행동문제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아 내재화 문제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적 관련성을 나타낸 반면 어머니 부정적 정서표현과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외현화 문제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높으면 자녀의 정서행동문제가 줄어들지만 부부관계 유대감이 낮을 경우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가 증가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에서는 남편과 아내의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 관계의 혼돈, 아내 결혼생활에 대한 실망/환멸이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아 내재화 문제는 어머니 부정적 정서표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 외현화 문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표현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정서표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부부관계 유대감이 아동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부부관계 유대감 하위요인 중 아내 배우자를 향한 부정성과 관계의 혼돈이 유아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 제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부부사이의 정서적 거리감, 부부갈등의 심각도, 부부의 갈등해결 전략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부부관계 유대감을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연결시킴으로써 유아 정서행동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혼생활의 특정차원을 정확하게 파악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부부관계 유대감이 유아의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긍정적 정서표현의 조절효과를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셋째,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선행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주요 변인을 측정하는데 있어 인터뷰법과 교사평정을 사용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정을 위해 노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lso, this study examined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three variable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a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as investigated.
60 mother-father dyads of children aged three to five-years-old and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Three measurements are used in this study. First, to measure marital bond, ‘Oral History Interview(OHI)’developed by Krokoff and Gottman(198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Oral History Interview Coding System’developed by Buehlman and Gottman(199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young Nahm(2012) was used, too. Second, to measure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 developed by Halberstadt et al(1995) and modified by Soeun Park and Eunyoung Nahm(2010) was used. Third, to measur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Caregiver-Teacher Report Form for Ages 2-5(C-TRF) developed by Achenbach and Rescorla(2000) and adapted into Korean by Youngah Kim et al(2011) was us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s among marital bond,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First of all, marital bond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pecifically,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and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addition, marital bo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s to the relations between marital bond’s sub-scales and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preschool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wif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Also,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coupl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ife’s fondness/affection, couple’s we-ness versus separateness, couple’s expansiveness versus withdraw. Lastly, the correlation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was significant.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but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this study was examined the influences of marital bond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As a result,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influenced by marital bond. As the level of marital bond was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lower. Specifically, couple’s negativity toward spouse,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and wife’s Marital Disappointment/ Disillusionment predicte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on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predicted preschooler’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Besides, parental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t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s’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bond and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significant. Moreover,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moderated the influences of wife’s negativity toward spouse and couple’s chaotic relationships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ith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several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cause of preschooler’s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through examining marital bond and parental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this study overcame the weakness of the survey method by using the interview method and teacher reports. Lastly, this study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influence of marital bond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