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 =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6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Kyoungnam Yoo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public for 5・18 Uprising in 1980, and especially, those in which, the various activities emerged from the public. Also, the regional public’s self-knowledge and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resistance will be evident by Jack Barbalet’s concepts, “emotional climate” and “collective emotion”. While protesting, the public, in the emotional atmosphere of “fear” and “anger” caused by the “death”, formed the collective emotion through the collective response. Through their emotional dynamics, they transformed not only the negative emotion into the resistance, but also, from passive into active subject by themselves. In the face of another incidence of death, the last resistance in Jeonnam Provincial Office on May 27 was the watershed of the emotional dynamics ‘after’ May Movement, as other emotional transition, selective emotion.


      Key Words: 5・18 Uprising, Death, Resistance, Emotions, Collective Emotion
      번역하기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Kyoungnam Yoo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public for 5・18 Uprising in 1980, and especially, those in which, the various activities emerged from the publi...

      The Emotion and Resistance of the Public in 5・18 UprisingKyoungnam Yoo

      Abstract: This article focused on the emotional dynamics of the public for 5・18 Uprising in 1980, and especially, those in which, the various activities emerged from the public. Also, the regional public’s self-knowledge and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resistance will be evident by Jack Barbalet’s concepts, “emotional climate” and “collective emotion”. While protesting, the public, in the emotional atmosphere of “fear” and “anger” caused by the “death”, formed the collective emotion through the collective response. Through their emotional dynamics, they transformed not only the negative emotion into the resistance, but also, from passive into active subject by themselves. In the face of another incidence of death, the last resistance in Jeonnam Provincial Office on May 27 was the watershed of the emotional dynamics ‘after’ May Movement, as other emotional transition, selective emotion.


      Key Words: 5・18 Uprising, Death, Resistance, Emotions, Collective Emo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유 경 남**

      요약: 본 논문은 1980년 5・18항쟁 시기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쇄반응 속에서 대중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 동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잭 바바렛(Jack Barbalet)의 “감정적 분위기(emotional climate)”, “집합 감정(collective emotion)” 개념을 통해 항쟁 시기 지역민의 자기인식(self-knowledge)과 실천적 저항의 의미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당시 시민들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야기한 “공포”와 “분노”의 감정적 분위기 속에서, 집단적 대응을 통해 집합 감정을 형성하면서, “공포・분노”의 감정이 저항의 감정으로 수동적 주체가 능동적 주체로 변화하였다. 특히 5월 27일 전남도청 최후 항쟁은 또 다른 죽음의 사건 앞에서 다른 선택, 감정적 전환, 선택적 감정의 분화지점으로써, 항쟁 ‘이후’ 오월 운동의 감정 동학의 분할점이었다.


      핵심어: 5・18항쟁, 죽음, 저항, 감정, 집합 감정

















      □ 접수일: 2022년 1월 22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 광주광역시 ‘5・18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Researcher, Chonnam National Univ., Email: ondalpo@gmail.com)
      번역하기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유 경 남** 요약: 본 논문은 1980년 5・18항쟁 시기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쇄반응 속에서 대중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 동학에 ...

      5・18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과 저항유 경 남**

      요약: 본 논문은 1980년 5・18항쟁 시기 우발적인 사건들의 연쇄반응 속에서 대중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항쟁 시기 대중의 감정 동학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잭 바바렛(Jack Barbalet)의 “감정적 분위기(emotional climate)”, “집합 감정(collective emotion)” 개념을 통해 항쟁 시기 지역민의 자기인식(self-knowledge)과 실천적 저항의 의미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결과 당시 시민들의 ‘죽음’이라는 사건이 야기한 “공포”와 “분노”의 감정적 분위기 속에서, 집단적 대응을 통해 집합 감정을 형성하면서, “공포・분노”의 감정이 저항의 감정으로 수동적 주체가 능동적 주체로 변화하였다. 특히 5월 27일 전남도청 최후 항쟁은 또 다른 죽음의 사건 앞에서 다른 선택, 감정적 전환, 선택적 감정의 분화지점으로써, 항쟁 ‘이후’ 오월 운동의 감정 동학의 분할점이었다.


      핵심어: 5・18항쟁, 죽음, 저항, 감정, 집합 감정

















      □ 접수일: 2022년 1월 22일, 수정일: 2022년 2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년 광주광역시 ‘5・18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임연구원(Researcher, Chonnam National Univ., Email: ondalpo@gmail.co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환, "죽음의 해석학: 사태(Tatsache, matter of fact)로서의 죽음" 중앙철학연구소 16 : 33-58, 2004

      2 장휘숙 ; 최영임, "죽음공포와 죽음수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59-76, 2008

      3 제프 굿윈(JeffGoodwin), "열정적 정치 : 감정과 사회운동" 한울 2012

      4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5 최영태, "극우 반공주의와 518광주항쟁" 호남사학회 (26) : 113-146, 2006

      6 최정기, "광주민중항쟁과 5월운동 연구"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7 유경남,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호남사학회 (35) : 141-176, 2009

      8 국방부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종합보고서, 3" 국방부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2007

      9 잭 바바렛(Jack Barbalet), "감정과 사회학" 이학사 2009

      10 자크 랑시에르(Rancière, Jacques), "감성의 분할" b 2008

      1 최성환, "죽음의 해석학: 사태(Tatsache, matter of fact)로서의 죽음" 중앙철학연구소 16 : 33-58, 2004

      2 장휘숙 ; 최영임, "죽음공포와 죽음수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1 (21): 59-76, 2008

      3 제프 굿윈(JeffGoodwin), "열정적 정치 : 감정과 사회운동" 한울 2012

      4 신진욱, "사회운동의 연대 형성과 프레이밍에서 도덕감정의 역할" 비판사회학회 (73) : 203-245, 2007

      5 최영태, "극우 반공주의와 518광주항쟁" 호남사학회 (26) : 113-146, 2006

      6 최정기, "광주민중항쟁과 5월운동 연구"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7 유경남,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호남사학회 (35) : 141-176, 2009

      8 국방부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종합보고서, 3" 국방부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2007

      9 잭 바바렛(Jack Barbalet), "감정과 사회학" 이학사 2009

      10 자크 랑시에르(Rancière, Jacques), "감성의 분할" b 2008

      11 김상봉, "[5.18연구]응답으로서의 역사-5.18을 생각함-" 5.18연구소 6 (6): 139-156, 2006

      12 노영기, "5·18항쟁기 민간인 희생자들을 위한 진혼곡" 역사문제연구소 (90) : 203-240, 2010

      13 이진경, "5·18민중항쟁에 대한 새로운 성찰적 시선" 한울 2009

      14 이종범, "5·18민중항쟁사"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15 최정운, "5·18민중항쟁과 정치·역사·사회, 3" 5·18기념재단 2007

      16 김병인, "5·18민중항쟁과 정치·역사·사회, 3" 5·18기념재단 2008

      17 이용기, "5·18민중항쟁과 정치·역사·사회" 3,5·18기념재단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