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국의 실질 국고채 금리가 우리나라의 실질 콜 금리·주가·환율·실질 산업생산.CPI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3년 2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월별 시계열 자료를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19905
2013
-
300
학술저널
323-34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국의 실질 국고채 금리가 우리나라의 실질 콜 금리·주가·환율·실질 산업생산.CPI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3년 2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월별 시계열 자료를 사...
본 연구는 미국의 실질 국고채 금리가 우리나라의 실질 콜 금리·주가·환율·실질 산업생산.CPI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2003년 2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월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벡터 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기간동안 미국 실질 국고채 금리는 콜 금리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지만 주가, 환율, 실질 산업생산, CPI에는 양(+)의 영향을 미쳤다. 미국 실질 국고채 금리가 하락하면 주가, 환율, 실질 산업생산, CPI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기 이 전에는 미국 실질 국고채 금리가 하락할 때 환율만 상승했다. 금융위기 이후에는 실질 콜금리, 실질 산 업생산에 부분적으로 음(-)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전체기간과 금융위기 이후에는 장기일치적 균형관계인 공적분이 존재하고 금융위기 이전에는 부분적으로 존재하였다. 셋째, 그랜져 인과관계 분석결과, 전체기간동안 주가·환율·실질 산업생산은 실질 콜 금리에 주가는 실질 산업생산에 일방적 인과관계가 있으며 실질 산업생산과 환율은 쌍방 인과관계가 있었다. 금융위기 이전에는 인과관계가 없으며 금융위기 이후에는 실질 산업생산은 콜 금리와 환율에 주 가는 환율과 실질 산업생산에 일방적 인과관계가 있었다.
KOSPI지수 및 KOSDAQ지수와 환율과의 상호연관성에 관한 연구
KOSDAQ 시장의 투자자집단 매매행태와 주가의 관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