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Withdrawal Behaviors: Focusing on the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s a Mediator and Role Clarity as a Moderat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252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원보존이론을 적 용하여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역할 명료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정규직 직 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2달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최종 242명의 응답들이 자료분석에 사용 되었다. 프로세스 매크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원의 철회행동 (지각, 결근,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명료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역할 명료성이 높을 때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임파워링 리 더십이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역할 명료성에 의해서 조절 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철회행동 간 직접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철회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기반 자아존중감, 그리고 역할 명료성이 중요 한 자원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원보존이론을 적 용하여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역할 명료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자원보존이론을 적 용하여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역할 명료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국내 정규직 직 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2달 간격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최종 242명의 응답들이 자료분석에 사용 되었다. 프로세스 매크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원의 철회행동 (지각, 결근, 이직의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 명료성은 임파워링 리더십과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역할 명료성이 높을 때 임파워링 리더십의 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임파워링 리 더십이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역할 명료성에 의해서 조절 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끝으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철회행동 간 직접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철회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있어서 임파워링 리더십, 조직기반 자아존중감, 그리고 역할 명료성이 중요 한 자원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followers’ three withdrawal behaviors, focusing on (1) the underlying mechanism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2) the boundary condition of role clarity. Data were obtained from 242 full-time Korean employees across three surveys with a two-month interval to examine empowering leadership to predict followers’ lateness,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 Results from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with PROCESS indicated that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medi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s of empowering leadership with lateness,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e three withdrawal behaviors via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was stronger for those who have more clear role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was found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hree withdrawal behaviors. Overall, findings emphasize the roles of empowering leadership,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role clarity as job resources in reducing employees’ withdrawal behaviors.
      번역하기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followers’ three withdrawal behaviors, focusing on (1) the underlying mechanism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2) the boundary condition ...

      Based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present study examines how empowering leadership affects followers’ three withdrawal behaviors, focusing on (1) the underlying mechanism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2) the boundary condition of role clarity. Data were obtained from 242 full-time Korean employees across three surveys with a two-month interval to examine empowering leadership to predict followers’ lateness,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 Results from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with PROCESS indicated that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medi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s of empowering leadership with lateness, absenteeism, and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e three withdrawal behaviors via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was stronger for those who have more clear roles.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was found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three withdrawal behaviors. Overall, findings emphasize the roles of empowering leadership,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role clarity as job resources in reducing employees’ withdrawal behavio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Rationale and Hypotheses
      • 2.1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 2.2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Withdrawal Behaviors
      • Abstract
      • Ⅰ. Introduction
      • Ⅱ. Rationale and Hypotheses
      • 2.1 Empower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 2.2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Withdrawal Behaviors
      • 2.3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s a Mediator
      • 2.4 Role Clarity as a Moderator
      • Ⅲ. Method
      • 3.1 Participants and Procedure
      • 3.2 Measures
      • Ⅳ. Results
      • 4.1 Descriptive Statistics & Correlation
      • 4.2 Hypothesis Testing
      • Ⅴ. Discussion
      • 5.1 Theoretical Implication
      • 5.2 Practical Implication
      • 5.3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국문초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