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안보체제는 냉전기간 동안 큰 문제없이 잘 기능했다. 미국은 자유롭게 재일 미군기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본은 방위력을 증강하여 미국이 주도하는 서측 방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미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18096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9-43(1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미일 안보체제는 냉전기간 동안 큰 문제없이 잘 기능했다. 미국은 자유롭게 재일 미군기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본은 방위력을 증강하여 미국이 주도하는 서측 방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미국...
미일 안보체제는 냉전기간 동안 큰 문제없이 잘 기능했다. 미국은 자유롭게 재일 미군기지를 사용하였으며 일본은 방위력을 증강하여 미국이 주도하는 서측 방위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미국의 대소 봉쇄정책에 공헌하였다. 그러나 냉전이 종식되고 소련의 위협이 사라지자 대소 방위에 초점을 두었던 미일 안보체제의 기능이 마비되기에 이르렀다. 걸프전에서 일본은 미국에게 재일 미군기지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용하였고, 130억불이라는 막대한 전비를 제공하였지만 해외파병이라는 인적 공헌을 할 수 없었다. 냉전 이후 미일안보체제의 기능부전을 치유하기 위하여 클린턴 행정부 시절 국방차관보 나이는 미일안보체제의 전면적 재검토를 단행하였고 그 결과 나이이니시어티브라는 동아시아 전략보고를 제출하였고 일본은 이에 호응하여 신방위계획대강을 수립하였다. 이들의 총체적 결실로서 미일 공동선언이 미일 정상에 의하여 천명되었다. 미국은 미일 안보공동선언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목표로 이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분쟁에 집단적 자위권에 기반을 둔 미일이 공동대처하고 한반도 문제가 해결된 이후 미국이 이 지역에서 축소 내지는 철수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본의 군사자립화를 막기 위해 일본방위력의 미군 전력에의 유기적 통합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헌법에서 금지하고 있는 집단적 자위권의 문제는 미일동맹이 풀어야 할 첫 번째 과제이다. 집단적 자위권의 문제는 동맹의 의무를 어떻게 공평하게 분담하느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안보조약 제 5조에서 미국은 일본방위의 의무를 지고 있지만 일본은 기지제공의 의무는 존재하나 미국 방위의 의무는 없다. 물론 일본이 분쟁의 후방지역에서 미군을 지원하지만 피를 흘리는 전투지역이 아니라는 점에서 미국은 일본이 공평하게 동맹의 의무를 수행하지 않는다고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집단적 자위권의 문제는 일본이 대등한 동맹의 파트너가 되기 위해서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임에는 틀림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 S.-Japan security system had been working well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U. S. freely made use of Japan's military base while Japan made contribution to the U. S. containment policy against the Soviet Union by the reinforcement of Japan's Def...
U. S.-Japan security system had been working well during the Cold War period. The U. S. freely made use of Japan's military base while Japan made contribution to the U. S. containment policy against the Soviet Union by the reinforcement of Japan's Defense Forces. After the Cold War, however, the U. S.-Japan security pact did not function well as evidently shown in the Gulf War of 1990. Japan was not able to dispatch its military forces to the conflict area due to the constitutional prohibition, despite of aiding the U. S. with 130 million dollars for the carrying out of the war. In order to remedy the dysfunctioning of the security system in the post Cold War period, under the initiative of Joseph Nye, the U. S. assistant secretary of defense of the Clinton administration, East Asian Strategic Review(EASR) was produced. EASR placed emphasis on the emergency of the Asia-Pacific region rather than that of Japan's territory. The U. S.-Japan Security Common Announcement related laws such as Vicinity Emergency Law was enacted. Under the Common Announcement, Japan would provide the U. S. with all the supports to the rear area of the conflicts. while the U. S. is continuously allowed to use freely military bases in Japan. The difficulties to divide between rear area and front line in conflict areas would arose arguments as to whether the support to rear areas in military conflicts would constitute breaking constitutionally prohibited collective self defense rights. The U. S.-Japan Security Common Announcement is purported to establish common defense system based on collective self defense rights, and to prohibit Japan's military autonomy from the U. S. by integrating Japan's self-defense forces into the U. S. military arrangement. The most important task the U. S.-Japan security system should solve is how to fairly share alliance duties. In the security pact, the U. S. is obliged to bear the burden of Japan's defense, while Japan has duty to provide military base but not have responsibility to defend the U. S. Although Japan is to support the U. S. military in rear area of conflict, the U. S. may be still discontent with Japan's military participation in only rear areas. It is Japan's task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 between Japan's constitutional prohibition of collective self defense rights and the U. S. discont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창수 편, "전환기의 일본안보정책" 세종연구소 1999
2 최운도, "일본의 방위정책" 93 (93): 2008
3 岩田修一郞, "美國의 軍事戰略과 日美安保體制"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4 渡邊昭夫, "日美安全保障關係の新展開" 國際問題 1997
5 都留重人, "日美安保解消への道" 岩波書店 1996
6 士山實南, "日美同盟の國際政治理論"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7 西川吉光, "日本の外交政策" 學文社 2004
8 窒山義正, "戰後の日美安保體制"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9 原彬久, "序說日美安保體制-持續と變容"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10 The Department of Defense, "United States Securit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1 진창수 편, "전환기의 일본안보정책" 세종연구소 1999
2 최운도, "일본의 방위정책" 93 (93): 2008
3 岩田修一郞, "美國의 軍事戰略과 日美安保體制"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4 渡邊昭夫, "日美安全保障關係の新展開" 國際問題 1997
5 都留重人, "日美安保解消への道" 岩波書店 1996
6 士山實南, "日美同盟の國際政治理論"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7 西川吉光, "日本の外交政策" 學文社 2004
8 窒山義正, "戰後の日美安保體制"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9 原彬久, "序說日美安保體制-持續と變容" 日本國際政治學會編 (115) : 1997
10 The Department of Defense, "United States Securit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11 Joshson, Charmers, "The Pentagon’s Ossified Strategy" 74 (74): 1995
12 Auer, James E., "The Essential Alliance with Japan" 39 (39): 1995
13 Waltz, Kenneth, "The Emerging Structure of International Politics" 18 (18): 1993
14 Ishibashi, Natsuyo, "The Dispatch of Japan’s Self-Defense Force to Iraq: Public Opinion, Elections, and Foreign Policy" XLVII (XLVII): 2007
15 Cronin, Patrick, "Redefining the U. S.-Japan Alliance: Tokyo's National Defense Program"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1994
16 Manning, Robert, "Futureshock or Renewed Partnership?, The U. S.-Japan Alliancw Facing the Millennium" 18 (18): 93-, 1995
17 The White House, "A National Security of Engagement and Enlargement"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5
18 小島明, "21世紀の日美關係" 日本經濟新聞社 1998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에 대한 이론적 좌표설정 모색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9-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 COMMUNICATION | ![]() |
2005-06-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THE ASSOCIATION OF KOREAN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5 | 1.05 | 1.1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7 | 0.99 | 1.591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