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고려부터 조선시대까지 안변 가학루를 대상으로 창작된 한시의 원운과 화운시의 계열을 분석하였다. 고려시대 동북 지역의 안변은 여진(女眞)과 접해있으면서 동쪽으로 왜구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려부터 조선시대까지 안변 가학루를 대상으로 창작된 한시의 원운과 화운시의 계열을 분석하였다. 고려시대 동북 지역의 안변은 여진(女眞)과 접해있으면서 동쪽으로 왜구가 ...
이 논문은 고려부터 조선시대까지 안변 가학루를 대상으로 창작된 한시의 원운과 화운시의 계열을 분석하였다. 고려시대 동북 지역의 안변은 여진(女眞)과 접해있으면서 동쪽으로 왜구가 출몰하던 지역이었으나 조선 초 북방의 영토가 확장되며 안정되었다. 안변 가학루를 배경으로 많은 작품이 창작되었다. 국내외 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의경도 변모하여 여말선초에는 관방의 인식이 중시되다가 조선시대에는 유상(遊賞)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가학루 시의 원운은 작가 미상의 ‘동(東)’목 칠언율시, 고려 말 이자송의 ‘우(尤)’목 칠언율시, 조선시대 이정귀의 ‘우(尤)’목 칠언율시가 있었다.
작가 미상의 ‘동(東)’목 계열에는 여말선초 안축(安軸)이나 이곡(李穀)이나 조선시대 이수광(李睟光) 등이 화운하였다. 이자송의 ‘우(尤)’목 계열에는 정몽주(鄭夢周)나 정도전(鄭道傳) 등이 화운하였다. 이 계열은 원운보다 정몽주의 화운시를 다시 화운하는 현상을 보이는데, 그가 가진 성리학적 상징성 때문이다. 이정귀의 ‘우(尤)’목 계열에는 조선의 많은 문인이 화운하였는데, 이것은 그의 문학적 영향력에 기인한 것이다. 특히 후손인 이은상(李殷相)이나 이만수(李晩秀)가 화운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series of Chinese poetry's Wonwoon(原韻) and Hwawunsi(和韻詩) created for Gahakru in Anbyun from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Anbyun in the northeastern region was bordered by Yeojin(女眞) and...
This paper analyzed the series of Chinese poetry's Wonwoon(原韻) and Hwawunsi(和韻詩) created for Gahakru in Anbyun from Goryeo to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Goryeo Dynasty, Anbyun in the northeastern region was bordered by Yeojin(女眞) and was an area where Japanese pirates appeared to the east, but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territory of the north was expanded and stabilized. Many works were created against the backdrop of Anbyun Gahakru. Uigyeong(意境) was also changed in line with change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situation, and in the beginning of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 perception of Border Defense(關防) was emphasized, but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recognized as a space of Yusang(遊賞).
There were poems in Gahakru's poem with "Dong(東)" series by the unknown author, poems with "Woo(尤)" series by Lee Ja-song, and poems with "Woo(尤)" series by Lee Jung-gui. Ahn Chuk(安軸), Lee Gok(李穀), and Lee Soo-kwang(李睟光) of the Joseon Dynasty were in the line of the artist's "Dong" series. Jeong Mong-ju(鄭夢周) and Jeong Do-jeon(鄭道傳) were in the line of Lee Ja-song's "Woo" series. This series rekindles Jeong Mong-ju's rhyme rather than Wonwoon, because of his Neo-Confucian symbolism. In the line of Lee Jung-gui's "우(尤)", many Joseon writers spoke, which is due to his literary influence. In particular, descendants Lee Eun-sang(李殷殷) and Lee Man-soo(李晩秀) talked about it.
성호사설(星湖僿說)에 나타난 성호(星湖)의 삶과 사상
유학과 이단의 경계 ― 정도전의 이단 비판과 유⋅불 조화론의 대립을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