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찰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복장 직물과 왕비 유씨 저고리 고찰 = A Study on the Cloths and Queen Yu’s Jeogori from Wooden Statue of Buddha in Temple of Suncha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BokJang BalWon Memo(腹藏發願文) and Queen Yu’s (Gwanghaegun’ wife, 1576-1623) from the Wooden Statue of Buddha in Sunchal-sa Temple, Andong city, Gyeong Sang Buk-province, Korea, the BalWon Memo shows that the stat...

      As a result of the study on BokJang BalWon Memo(腹藏發願文) and Queen Yu’s (Gwanghaegun’ wife, 1576-1623) from the Wooden Statue of Buddha in Sunchal-sa Temple, Andong city, Gyeong Sang Buk-province, Korea, the BalWon Memo shows that the statue was installed on May 26, 1622 and the owner of the Jeogori is Queen Yu revealed from the 9 letter memo, ‘Byung-Ja-Sang Wang-bi Yu-ssi Myung-yui(丙子生王妃柳氏命衣)’, found inside the inner sup of the Jeogori.
      The study also reveals that the cloths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4 groups : light blue Ju(紬) for Balwon Memo, blue twill damask with no-pattern(無紋綾) for bodice of jeogori, purple To-Ju((吐紬) for sleeve’s end, gussets, collar, sup, fastening strings, greenish blue Ju(紬), and blue satin damask with phenix and floral pattern on the end of sleeve. Note that the purple To-Ju(吐紬) can be considered as a valuable historical material because it is very rare to identify the colors of To-Ju found so far.
      The Queen Yu’s jeogori is inferred as a newly made clothes or one of her clothes for the statue enshrinement. We propose the name of jeogori as Dan-jeogori(短赤古里) for its length or HoeJang-Jeogori(回粧赤古里) for its special combination of colors. The jeogori has the following specifications on various lengths: 49cm in back length, 50cm in front length, 72 cm in Hwa-jang, and 51cm in back width. The way how the jeogori was constructed follows the typical jeogori construction method of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lso reports on 4 outer garments for women related with the jeogori of Temple of Sunchal-sa. While the Queen Yu’s jeogori uses higher quality textiles with various colors when compared with others, the 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uses the same purple color and has the same shape. Even though these are from the same period, the two Jang-jeogori are with Dangko-mokpan collar while the Dan-jeogori of the Queen and court ladies are with mokpan collar. We may make a conjecture that the outer wear, Jang-jeogori, accepts the new trend in collar while the inner ware, Dan-jeogori, does not at that t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상북도 안동시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은 높이 42㎝의 結跏趺坐한 소형 불상이었는데 발원문과 저고리 외에,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수습되었다. 복장 발원문과 왕비 유씨(광...

      경상북도 안동시 仙刹寺 木造釋迦如來坐像은 높이 42㎝의 結跏趺坐한 소형 불상이었는데 발원문과 저고리 외에, 후령통, 다라니 등의 복장유물이 수습되었다.
      복장 발원문과 왕비 유씨(광해군 부인 유씨, 1576- 1623)의 저고리를 실견ㆍ조사한 결과, 1622년 5월 26일에 봉안되었다는 사실과 복장 저고리의 안깃 안감 쪽에 기록된 ‘丙子生王妃柳氏命衣’라는 묵서 9자를 통해 왕비 유씨의 장수를 기원한 불사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들이 조사한 복장물에서는 네 종류의 직물이 확인되었다. 발원문은 남색 紬였으며 저고리는 길에 청색 無紋綾을 사용하였고, 소매ㆍ무ㆍ깃ㆍ섶ㆍ겉고름에는 紫色 吐紬를, 안고름에는 청록색 주, 그리고 끝동에 청색 鳳花紋段을 사용하였다. 현재까지 조사ㆍ보고된 직물 유물 가운데 색상을 확인할 수 있는 토주가 수 점에 불과하므로 저고리의 소매와 무에 사용된 자색 토주는 사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선찰사의 왕비 유씨 저고리는 佛事를 위해 새로 제작하여 복장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뒷길이는 49cm이고, 앞길이 50cm, 화장 72cm, 뒷품 51cm이다. 저고리는 길이에 근거하여 ‘短赤古里’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색상의 조합에 의하면 ‘回粧赤古里’로도 명명할 수 있다.
      이 저고리는 전형적인 조선시대의 저고리 구성 방식으로 완성되었다. 즉 겉감과 안감을 각각 저고리로 완성한 후 거죽이 맞닿도록 겹쳐 놓은 상태에서 좌우 수구를 박고 겉깃 가장자리부터 겉섶, 도련, 안섶, 안깃 가장자리를 박아 고대 부분에 남겨둔 창구멍으로 뒤집어 완성하였다. 깃에는 풀솜을 얇게 두었으며 고운 홈질로 0.5cm 너비의 가장자리 장식선을 만들었다. 저고리 가장자리에는 5∼7cm 들어온 지점에 세 땀 상침을 하여 안팎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켰다. 특히 도련 부분의 시접은 2cm 내외의 너비로 균일하게 잘라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선찰사 저고리와 관련 있는 4점의 여자 상의류를 살펴보았는데 선찰사 왕비 유씨의 저고리가 더 좋은 소재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색상도 더 다채로웠다. 그러나 왕비와 상궁 저고리의 형태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해에 복장된 상의임에도 불구하고 당의형 저고리 두 점은 모두 당코목판깃임에 반하여 왕비와 상궁의 단저고리는 모두 목판깃이었다. 따라서 안에 입는 단저고리보다 겉에 입는 당의형 저고리가 새로운 유행을 더 빨리 수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주, "李應台(1556~1586) 묘 출토 상의류의 분류와 구성법" 한복문화학회 5 (5): 1-20, 2002

      2 성보문화재연구원,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연구" 1999

      3 심연옥,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춢판부 2006

      4 경기도박물관,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006

      5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2006

      6 박가영,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16) : 7-161, 2004

      7 박현일, "색채학 사전" 국제 2006

      8 "불교방송 BBS NEWS"

      9 "문화재청"

      10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2006

      1 이은주, "李應台(1556~1586) 묘 출토 상의류의 분류와 구성법" 한복문화학회 5 (5): 1-20, 2002

      2 성보문화재연구원,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연구" 1999

      3 심연옥, "한국직물문양 이천년" 고대직물연구소춢판부 2006

      4 경기도박물관, "진주류씨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006

      5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2006

      6 박가영,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16) : 7-161, 2004

      7 박현일, "색채학 사전" 국제 2006

      8 "불교방송 BBS NEWS"

      9 "문화재청"

      10 문화재청,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2006

      11 국립고궁박물관,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 2008

      12 경기도박물관, "김확 합장묘 출토복식" 경기도박물관 2007

      13 "국제뉴스"

      14 울산박물관, "鶴城李氏 일가 묘 출토 유물" 2013

      15 "顯宗明聖王后嘉禮都監儀軌"

      16 이은주, "順天 松廣寺 木造觀音菩薩坐像 腹藏 服飾에 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37) : 157-184, 2012

      17 石宙善, "韓國服飾史" 寶晉齋 1980

      18 "莊烈王后尊崇都監儀軌"

      19 "肅宗仁敬王后嘉禮都監儀軌"

      20 "純宗純貞皇后皇太子嘉禮都監儀軌"

      21 "林園經濟志"

      22 "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23 안동대학교 박물관, "安東地域傳統服飾" 1996

      24 "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上"

      25 朴聖實, "回粧赤古里와 肩亇只 再考" 國立中央博物館 (54) : 1994

      2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下" 2005

      27 "世宗實錄"

      28 박윤미, "17~20세기의 어책 장황직물에 관한 연구" (9) : 79-110, 2016

      29 이은주, "16세기 중엽의 上衣類에 대한 조형적 고찰: 경북 안동시 정상동 一善 文氏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1 (1): 119-140,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rnal of Seokdang Academy -> Jou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rnal of Seokdang Academ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석당전통문화연구원 -> 석당학술원
      영문명 : Seokdang Academic Research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Dong-A University -> Seokdang Academ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6 1.395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