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Cholera toxin B submit와 pseudorabis virus를 이용한 중추신경계 내 혀밑샘과 턱밑샘 지배 신경세포체의 위치 비교 = Localization of nerves innervating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 in the CNS using cholera toxin B submit and pseudorabies vir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9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rat brain stem, neurons innervating the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cholera toxin B subunit (CTB) and pseudorabies virus (PRV). Injection of CTB into the sublingual gland and PRV into the submandibular gland...

      In the rat brain stem, neurons innervating the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cholera toxin B subunit (CTB) and pseudorabies virus (PRV).
      Injection of CTB into the sublingual gland and PRV into the submandibular gland, neural tracer labeled neurons
      showed similar positions in central nervous system with PRV into the sublingual gland and CTB into the
      submandibular gland. CTB labeled-neurons were observed in superior salivatory nucleus, PRV labeled-neurons in
      superior salivatory nucleus and reticular nucleus. CTB was more fine tracer than PRV for observation of superior
      salivatory nucleus. The size of CTB labeled-neurons is larger in submandibular gland than in sublingual gland. The
      size of PRV labeled-neurons were nearly the same after injection to submandibular or sublingual gland. No neurons
      were labeled together with CTB and PRV. Neurons innervating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 were localized
      independently in superior salivatory nucleus.
      These results provided a neuroanatomical data of the neurons innervating the sublingual and submandibular gland in
      the superior salivatory nucle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cholera toxin B subunit (CTB)와 pseudorabies virus (PRV)를 이용하여 흰쥐 혀밑샘과 턱밑 샘을 지배하는 신경세포체의 위치를 각각 확인하고자 하였다. 혀밑샘에 CTB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

      본 연구에서는 cholera toxin B subunit (CTB)와 pseudorabies virus (PRV)를 이용하여 흰쥐 혀밑샘과 턱밑
      샘을 지배하는 신경세포체의 위치를 각각 확인하고자 하였다. 혀밑샘에 CTB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PRV를 주입한
      실험군과 혀밑샘에 PRV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CTB를 주입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혀밑샘에 CTB를 주
      입하고 턱밑샘에 PRV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신경세포체가 표지된 양상은 혀밑샘에 PRV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CTB를 주입한 실험군에서 신경세포체가 표지된 양상과 유사하였다. 혀밑샘에 CTB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PRV를
      주입한 실험군과 혀밑샘에 PRV를 주입하고 턱밑샘에 CTB를 주입한 실험군 모두 CTB에 표지된 신경세포체는
      위침분비핵에서 관찰되었고, PRV에 표지된 신경세포체는 위침분비핵과 위침분비핵 주변의 그물핵에서 관찰되었
      다. 위침분비핵을 관찰하는데는 CTB가 더 좋은 신경추적자였다. CTB에 표지된 신경세포체는 CTB를 턱밑샘에 주
      입한 경우가 혀밑샘에 주입한 경우보다 더 컸으며, PRV에 표지된 신경세포체는 혀밑샘에 주입한 경우나 턱밑샘에
      주입한 경우 크기가 비슷하였다.
      CTB와 PRV에 의해 동시에 동일세포에 표지된 신경세포체는 없었다. 위침분비핵에서 혀밑샘과 턱밑샘을 지배하
      는 신경세포체는 독립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흰쥐 췌장을 지배하는 운동 및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28 : 659-673, 1995

      2 "흰쥐 뇌줄기에서Cholera Toxin B Subunit를 이용한 눈물샘 혀밑샘지배 신경의 위치 추적" 425-435, 1999

      3 "를 이용한 흰쥐 위지배 부교감 운동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관찰" 263-275, 1995

      4 "the preoptic area and the insularcortex to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gland of the rattraced with pseudorabies virus" -231, 1998

      5 "The spinal origin of the sympathetic nerve fibersto the vascular and secretory cmponents of the rat submaxillarysalivary gland" 17-21, 1979

      6 "The salivatory centre in the rat" 94 : 59-73, 1960

      7 "The rat nervous system" Academic press 1995

      8 "The facial outflow and the superiorsalivatory nucleus:An histochemical study in the rat" 175-192, 1341968

      9 "Salivary neurons innervate the submandibular andsublingual glands in the rat:horseradish peroxidase study" 145-149, 1371977

      10 "Salivary gland physiology" 10 : 273-85, 1977

      1 "흰쥐 췌장을 지배하는 운동 및 감각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28 : 659-673, 1995

      2 "흰쥐 뇌줄기에서Cholera Toxin B Subunit를 이용한 눈물샘 혀밑샘지배 신경의 위치 추적" 425-435, 1999

      3 "를 이용한 흰쥐 위지배 부교감 운동신경세포체의 표지부위 관찰" 263-275, 1995

      4 "the preoptic area and the insularcortex to submandibular and sublingual gland of the rattraced with pseudorabies virus" -231, 1998

      5 "The spinal origin of the sympathetic nerve fibersto the vascular and secretory cmponents of the rat submaxillarysalivary gland" 17-21, 1979

      6 "The salivatory centre in the rat" 94 : 59-73, 1960

      7 "The rat nervous system" Academic press 1995

      8 "The facial outflow and the superiorsalivatory nucleus:An histochemical study in the rat" 175-192, 1341968

      9 "Salivary neurons innervate the submandibular andsublingual glands in the rat:horseradish peroxidase study" 145-149, 1371977

      10 "Salivary gland physiology" 10 : 273-85, 1977

      11 "Rat hindbrain thiocholine reactionsrelevant to the localisation of the inferior salivary nucleus" 79 : 333-359, 1971

      12 "On the two subdivisions and intrinsic synapticconnexions in the submandibular ganglion of the rat" 346 : 304-320, 1984

      13 "Motor and sensory centers forthe innervation of mandibular and sublingual salivary glands:a horseradish peroxidase study in the dog" 301-313, Res1891980

      14 "Morphological andfunctional evaluation of the superior salivatory nucleus inrabbits" 68 : 147-57, 1980

      15 "Evidence for the site of the superior salivatorynucleus in the guinea pig:a retrograde HRP study" 119-126, 2011981

      16 "Evaporative cooling in the rat:differences between salivary glands as thermoregulatoryeffectors" 573-80, 491971

      17 "Central origins ofcranial nerve parasympathetic neurons in the rat" 190 : 373-394, 1980

      18 "CNS cell groups projecting to the submandibular parasympatheticpreganglionic neurons in the rat" 253-260, 1992

      19 "A direct hypothalamicprojection to the superior salivatory neurons in the rat.Astudy using anterograde autoradiographic and retrogradeHRP methods" 329-333, 266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체질인류학회지 -> 해부·생물인류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 Anatomy & Biological Anthrop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2 0.12 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 0.12 0.3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