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물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본 한국 동물법의 과제와 전망-동물권 담론과 동물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The Agenda and Vision of Korean Animal Law Presented in Revision of Animal Protection Law - Focusing on Animal Rights Discourse and Legal Status of Anima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동물권 담론을 소개하고, 동물보호론과 동물복지론, 그리고 동물권리론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흐름을 통해 ‘동물해방운동’의 역사적·사상적 맥락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동물권 담론의 관점에서 2017년 3월 통과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내용과 배경, 국회에서의 논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담론이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권의 확장으로서의 동물권 개념을 이해하고, 동물의 권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동물권 담론이 제도화 과정에서 직면하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함께 특히 한국 법 제도 하에서의 몇 가지 쟁점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논의 과정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동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동물 정책의 현실적 한계와 전망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동물에게 권리가 있다는 생각의 출발점은 동물이 인간과 같이 고통을 느끼고 나름의 방식으로 공감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일종의 연대의식이다. 이 점에서 동물권 담론은 적어도 그 출발점에 있어서 동물복지론이나 그 이전의 동물보호론과 같은 배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에게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동물에 대한 공감의 확대라는 역사적 흐름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의 권리가 왜 보장되어야 하는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동물보호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한국 사회 역시 많은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를 증진하고 동물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권 담론의 현실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동물권 담론을 소개하고, 동물보호론과 동물복지론, 그리고 동물권리론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흐름을 통해 ‘동물해방운동’의 역사적·사상...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아직은 생소한 개념인 동물권 담론을 소개하고, 동물보호론과 동물복지론, 그리고 동물권리론으로 이어지는 이론적 흐름을 통해 ‘동물해방운동’의 역사적·사상적 맥락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동물권 담론의 관점에서 2017년 3월 통과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내용과 배경, 국회에서의 논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담론이 한국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와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권의 확장으로서의 동물권 개념을 이해하고, 동물의 권리라는 개념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동물권 담론이 제도화 과정에서 직면하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함께 특히 한국 법 제도 하에서의 몇 가지 쟁점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보호법 개정안의 논의 과정과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사회의 동물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동물 정책의 현실적 한계와 전망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적 관점은 다음과 같다. 동물에게 권리가 있다는 생각의 출발점은 동물이 인간과 같이 고통을 느끼고 나름의 방식으로 공감과 소통을 할 수 있는 존재라는 일종의 연대의식이다. 이 점에서 동물권 담론은 적어도 그 출발점에 있어서 동물복지론이나 그 이전의 동물보호론과 같은 배경을 공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물에게 법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동물에 대한 공감의 확대라는 역사적 흐름에 부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동물의 권리가 왜 보장되어야 하는지, 그것이 인간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설명하고자 하였다. 동물보호법 개정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한국 사회 역시 많은 현실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동물복지를 증진하고 동물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권 담론의 현실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ntroduce Animal Rights Discourse which is yet an unfamiliar concept in Korea and to explain theories starting from Animal Protection Theory through Animal Welfare Theory to help understand historical·ideological context of the Animal Liberation Move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ilities of the Animal Rights Discourse in Korea by analyzing the detail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in March, 2017 with the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tands animal rights as an extension of human rights and focuses on backgrounds and details on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nimal Rights'. Second, the text explains several general issues that Animal Rights Discourse faces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several specific issues of the Korean legal system. Finally,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 on animals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animal policy of Korea by analyzing discussions and contents of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otion of animals having rights was started from a sense of solidarity that animals can feel pain the same as humans and have sympathy and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ir own way. At this point, Animal Rights Discourse shares same ground with animal welfare theory, and even animal protection theory before it. Therefore, although there is not enough social consensus on establishing legal rights of animals and there are still many controversies on it, it fundamentally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expanded empathy on animals.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reasons why animal rights should be ensured, and implications it has for human society. In such discussions, it aims to discover practical and realistic meanings of Animal Rights Discourse as Korea marches toward the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of animal rights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ntroduce Animal Rights Discourse which is yet an unfamiliar concept in Korea and to explain theories starting from Animal Protection Theory through Animal Welfare Theory to help understand historical·i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of all, to introduce Animal Rights Discourse which is yet an unfamiliar concept in Korea and to explain theories starting from Animal Protection Theory through Animal Welfare Theory to help understand historical·ideological context of the Animal Liberation Movement. This study also suggests implications and feasibilities of the Animal Rights Discourse in Korea by analyzing the detail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in March, 2017 with the discussion at the National Assembly of Korea.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understands animal rights as an extension of human rights and focuses on backgrounds and details on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nimal Rights'. Second, the text explains several general issues that Animal Rights Discourse faces in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nd several specific issues of the Korean legal system. Finally, this study explores perception on animals in Korean society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animal policy of Korea by analyzing discussions and contents of Animal Protection Law revision.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otion of animals having rights was started from a sense of solidarity that animals can feel pain the same as humans and have sympathy and ability to communicate in their own way. At this point, Animal Rights Discourse shares same ground with animal welfare theory, and even animal protection theory before it. Therefore, although there is not enough social consensus on establishing legal rights of animals and there are still many controversies on it, it fundamentally corresponds to the historical context of expanded empathy on animals.
      This study purposes to present reasons why animal rights should be ensured, and implications it has for human society. In such discussions, it aims to discover practical and realistic meanings of Animal Rights Discourse as Korea marches toward the improvement of animal welfare and protection of animal rights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