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고대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6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이론의 연구사를 간단히 살펴 보고 한국 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공동체라는 용어는 19세기 사회학자...

      이 글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이론의 연구사를 간단히 살펴 보고 한국 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공동체라는 용어는 19세기 사회학자나 경제사학자들이 사용한 Gemeinschaft(공동사회) 또는 Gemeinde (공동체)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개념이 다양하고 적용 범위도 크게 확대되어 공동체(Community)의 범주 안에 가족, 친족, 농촌 마을을 넘어 거대 도시의 지역사회, 민족 혹은 국가와 같이 다양한 대상을 포괄한다. 현재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이 공동체의 핵심 요소로 꼽는 것은 지리적 공간, 공동의 유대, 사회적 상호 작용 등이다.
      195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개념은 두 갈래이다. 하나는 칼 막스 계열의 경제사학이고 다른 하나는 서구 사회학의 공동체 개념이다. 이들 연구의 중요 논쟁점은 원시공동체 해체 시기와 그 이후의 사회의 편제단위로 등장하는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것으로 세대공동체, 친족공동체, 농촌공동체, 지역공동체, 정신공동체 등 연구자에 따라 용어와 기준이 다양하다.
      토지소유관계의 변화라는 기준만으로는 한국고대사의 각 시기별 정치사회적 발전단계와 공동체의 변화를 검토하는 데는 한계가 많다. 혈연이나 물리적 힘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념적 요소 내지는 동일한 정치체의 구성원이라는 유대 의식 등 정신적인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학자들은 농촌공동체의 중요 요소로 사회적 상호 작용, 지리적 영역, 자족성, 공동의 삶, 동류 의식, 목표, 규범, 수단의 공동 소유 등 다양한 측면을 주목한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법론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지역별, 시기별로 다양한 성격의 공동체의 존재가 부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라고 하는 개념 틀은 한국고대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theory of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by surveying the history of community theor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term “community...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theory of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by surveying the history of community theor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term “community” originated from “Gemeinschaft” and “Gemeinde”, which were terminology used by 19th century sociologists and economic historians. However,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expanded greatly in terms of its usage, and now it not only incorporates families, relatives, and agrarian communities, but also covers areas such as communities within mega cities and even entire nations as a whole. In present times, most sociologists consider geographical area, communal bonding, social interactions as the core in defining communities.
      Since the 1950s, the concept of communit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branches. One of the two branches was drawn from the study of Karl Marx’s economic history, the other was drawn from the concept of community from Western sociological studies. The main discussion points in these studies are the historical timeline of when primitive communities broke up, and how these communities shaped into the formation of units of society.
      Thus, the term and standard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varies by scholars. These standards include concepts such as generation communities, kinship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spiritual communities, and so on. There is great variation depending on who conducted the study.
      The standard we use, the change in land ownership, has numerous limitations in studying the changes in communities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by specific time periods. Therefore, we also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deological factors and sense of community as a common polity, rather than focusing simply on physical factors and kinship.
      Sociologists pay much attention and focus on diverse aspects such as social interactions,
      geographical boundaries, self-sufficiency, communal life, sense of community, and cooperative ownership of goals, regulations, and instruments as a crucial aspect of agrarian communities. If we were to put more emphasis on taking various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in studying communities, we will be able to uncover a more diverse range of commun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It is then that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concept of community a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in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공동체의 개념
      • II. 한국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의 활용
      • III. 한국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I. 공동체의 개념
      • II. 한국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의 활용
      • III. 한국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석, "한국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노태돈교수 정년기념논총 1" 2014

      2 황기덕, "조선에서의 농업공동체의 형성과 계급사회로의 발전(1)(2)" 1978

      3 윤선태, "목간이 들려 주는 백제 이야기" 2007

      4 홍승우, "목간 자료로 본 백제의 籍帳 문서와 수취제도" 한국고대사학회 (80) : 117-158, 2015

      5 이희준, "대구지역 고대정치체의 형성과 변천" 26 : 2000

      6 김경일, "공동체 이론" 1985

      7 김경일, "공동체 이론" 1985

      8 김삼수, "韓國社會經濟史硏究" 1964

      9 이기백, "韓國史新論" 1967

      10 김철준, "韓國古代社會硏究" 1975

      1 김창석, "한국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노태돈교수 정년기념논총 1" 2014

      2 황기덕, "조선에서의 농업공동체의 형성과 계급사회로의 발전(1)(2)" 1978

      3 윤선태, "목간이 들려 주는 백제 이야기" 2007

      4 홍승우, "목간 자료로 본 백제의 籍帳 문서와 수취제도" 한국고대사학회 (80) : 117-158, 2015

      5 이희준, "대구지역 고대정치체의 형성과 변천" 26 : 2000

      6 김경일, "공동체 이론" 1985

      7 김경일, "공동체 이론" 1985

      8 김삼수, "韓國社會經濟史硏究" 1964

      9 이기백, "韓國史新論" 1967

      10 김철준, "韓國古代社會硏究" 1975

      11 백남운, "朝鮮社會經濟史" 1933

      12 이병도, "國史와 指導理念" 1955

      13 大塚久雄, "共同體の基礎理論" 1955

      14 문창로, "三韓時代의 邑落과 社會"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