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촌 고령세대의 주거 특성 및 ‘지역에서 나이 들기’(AIP) 관점의 농촌 주거복지 정책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An Analysis of Hous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and the Direction of Rural Housing Welfare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Aging in Pl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5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들은 거동이 불편하여도 병원이나 요양시설이 아니라 자신이 생활하던 지역에서 여생을 보내기를 희망한다.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해외 국가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

      노인들은 거동이 불편하여도 병원이나 요양시설이 아니라 자신이 생활하던 지역에서 여생을 보내기를 희망한다. 인구 고령화가 심각한 해외 국가를 중심으로 ‘지역에서 나이 들기(Aging In Place)’는 중요한 사회 이슈로 등장하였다.
      농촌은 도시에 비해 노인의 주거 실태가 열악하여 주거복지 실현에 대한 수요가 크다. 농촌의 고령화 추세는 도시에 비해 심각하지만, 농촌 노인의 주거환경은 더욱 열악하다. 농촌 노인이 거주하는 주택은 전통 민가형 노후주택이 많아 주택 내 단차가 심하고 안전시설이 미흡하여 생활하기 불편하다. 농촌 노인이 거주하는 마을과 지역사회 또한 보행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 및 편의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 농촌 노인들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어 하지만 불편한 주택과 주변 환경은 이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서 나이 들기’라는 관점에서 농촌 노인의 주거 실태를 다각도로 파악하여, 농촌 노인의 주거복지 정책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촌 노인 주거 실태와 관련된 관련 통계 분석과 사례조사를 실시하여 농촌 노인이 원하는 주거복지 수요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순희 ; 윤현숙 ; 김영범 ; 임연옥,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시와 농촌 지역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11-132, 2018

      2 김수영 ; 문경주 ; 오찬옥, "고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색" 한국지역사회학회 23 (23): 137-164, 2015

      3 Seong, J. I., "The Current Status of Change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Direction for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tatistics Korea 2020

      5 Shim, J. H., "Rural Prospects and Planning Strategies on Rural Development (2 of 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8

      6 Kim, S. H,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Housing Security for the Elderly in Korea" 515-544, 2019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ousing Survey" Statistics Korea 2020

      8 Lee, K. Y., "Case Studies o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y" 2006

      9 Pastalan, L. A., "An Introduction to Internatinoal Perspectives on Shelter and Service Issues for Ageing Populations" 12 (12): 1-8, 1997

      10 Oh, C. O., "Alternatives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 Korea"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20

      1 최순희 ; 윤현숙 ; 김영범 ; 임연옥, "노인의 주거환경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도시와 농촌 지역 비교"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111-132, 2018

      2 김수영 ; 문경주 ; 오찬옥, "고령화 지역의 Aging in Place에 영향을 주는 조건분석을 통한 정책방향 탐색" 한국지역사회학회 23 (23): 137-164, 2015

      3 Seong, J. I., "The Current Status of Changes in Korean Rural Villages and Direction for Mid- and Long-term Developmen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Statistics Korea 2020

      5 Shim, J. H., "Rural Prospects and Planning Strategies on Rural Development (2 of 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8

      6 Kim, S. H, "Policy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Housing Security for the Elderly in Korea" 515-544, 2019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Housing Survey" Statistics Korea 2020

      8 Lee, K. Y., "Case Studies on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reas for the Development of Welfare Policy" 2006

      9 Pastalan, L. A., "An Introduction to Internatinoal Perspectives on Shelter and Service Issues for Ageing Populations" 12 (12): 1-8, 1997

      10 Oh, C. O., "Alternatives and Services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 Korea"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20

      11 이승훈, "AIP(Aging in Place)에 대한 주관적 기대와 의미" 한국공공사회학회 7 (7): 135-163, 2017

      12 Kim, Y. T., "A theoretical overview of housing welfare and future policy tasks,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 (17): 127-134, 2006

      13 Kang, E. N., "A plan to reorganize the senior housing policy in response to super-aged socie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