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Wood-wool board로 활용(活用)을 위한 폐목재(廢木材)의 열분해(熱分解) 및 파쇄특성(破碎特性) = Pyrolysis and Breaking Characteristics of Waste Wood for Wood-wool Bo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598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폐목재를 고온고압장치를 사용하여 나무의 결대로 파쇄 후 건축재료로의 활용을 위하여 등급별로 분류하여 열분해 및 파쇄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TG/DTA 그래프에서 $250^{\circ}C$에서 급...

      폐목재를 고온고압장치를 사용하여 나무의 결대로 파쇄 후 건축재료로의 활용을 위하여 등급별로 분류하여 열분해 및 파쇄특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TG/DTA 그래프에서 $250^{\circ}C$에서 급격한 무게감소가 발생하는데, 건축재료로의 활용을 위해서는 $250^{\circ}C$이하의 온도에서 처리가 되어야 한다. 고압파쇄 실험결과 활엽수보다는 침엽수가 나무의 결대로 잘 찢어짐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 편백나무(W-7)가 가장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양한 조건의 실험결과, 온도는 $200^{\circ}C$, 압력은3MPa이 최적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 thermal and breaking type characteristics of waste wood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quipment. In TG/DTA graph weight of waste wood was steeply decreased at $250^{\circ}C$, it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ee thermal and breaking type characteristics of waste wood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equipment. In TG/DTA graph weight of waste wood was steeply decreased at $250^{\circ}C$, it has to be treated below $250^{\circ}C$ for construction materials. In popping test the needle-leaved tree was more broken in texture than the broad-leaved tree, especially, Chamaecyparis obtusa(W-7) was the best. The optimum result was obtained at temp. $200^{\circ}C$, pressure 3MPa among the experimental condi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