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惠沼(651-714)가 「成唯識論」(護法等造)을 주석한 「成唯識論了義燈抄」(권3․4)를 판본들인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 天理大 圖書館 소장본, 그리고 활자본들인 大正藏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惠沼(651-714)가 「成唯識論」(護法等造)을 주석한 「成唯識論了義燈抄」(권3․4)를 판본들인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 天理大 圖書館 소장본, 그리고 활자본들인 大正藏본...
본 논문에서는 惠沼(651-714)가 「成唯識論」(護法等造)을 주석한 「成唯識論了義燈抄」(권3․4)를 판본들인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 天理大 圖書館 소장본, 그리고 활자본들인 大正藏본, 卍續藏經본들과 서로 대조․연구하였다. 「成唯識論了義燈抄」는 국내에서 유일본으로서 世祖年間(1455-1468)에 판각된 刊經都監本이다. 동 판본은 板式에 의하면 宋本을 飜刻한 것이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2004년 1월 7일에 松廣寺 四天王像 北方天王의 복장에서 발견된 것이며, 현재 보물 제1468호로 지정되어 있다.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앞에서 언급한 판본들 및 활자본들과 대조하면 교감과정, 판각과정, 혹은 전래과정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다량의 오기, 오각, 오류 등이 발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기, 오류 등은 대장경의 판본이 판각되기 이전인, 즉 宋代 이전의 필사본들인 중앙아시아 돈황본들에서 주로 찾을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판본임에도 불구하고 찬술자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다. 특히 「成唯識論了義燈抄」 간경도감본은 지시대명사, 명사, 조사, 접속사, 부정사, 문장 등의 삭제, 첨삭, 오기, 오류 등을, 그리고 大正藏本에서는 교감자의 오류를 각각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예들은 본 논문에서 대조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①단어의 삭제, ②단어․문장의 첨삭, ③단어를 중복하여 판각, ④음이 같은 한자로 판각, ⑤동일한 의미와 음을 갖는 한자로 판각, ⑥의미가 비슷한 한자로 판각, ⑦단어․문장을 바꾸어 판각, ⑧단어의 倒置, ⑨字形이 비슷한 한자로 판각, 그리고 ⑩이체자 등이다.
본 대조․연구에 의하면 현재 유통되고 있는 「成唯識論了義燈抄」는 2가지 유형으로서 송광사 소장 간경도감본과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이 일치하고, 그리고 大正藏본, 卍續藏經본이 서로 일치하다.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과 板式이 동일하여 字形, 行․字數, 삭제․첨삭된 단어, 異體字 등이 모두 일치하다. 이에 간경도감본은 山西省 曲沃縣圖書館 소장본의 번각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成唯識論了義燈抄」의 일부 판본들과 활자본들만을 서로 대조하여 판본 및 활자본들에 있어서 찬술자인 惠沼의 原義와 다르게 전래되고 있음을 전하고, 그리고 이와 함께 본 논문에 이어서 다양한 불교학․서지학적 후속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for Seongyoushikryoeuideungcho (Vol. 3 and Vol. 4) in which Hui zhăo (651-714) annotated on Ch’êng wei shih lun with the wood-printed books from Qū wò xuán Library and Tenri University Library, and...
In this paper, I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for Seongyoushikryoeuideungcho (Vol. 3 and Vol. 4) in which Hui zhăo (651-714) annotated on Ch’êng wei shih lun with the wood-printed books from Qū wò xuán Library and Tenri University Library, and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only script in the nation,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 of the Gan'gyeongdogam, which was in charge of buddhist scriptures, in the period of King Sejo (1455-1468). The same woodblock-printed book was engraved as translating the book from Sòng China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print.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found inside the clothing of the northern heavenly King among four guardian kings in the Songgwang Temple, on the seventh, Jan, 2004, currently designated as the Treasure no. 1468.
If comparing with woodblock-printed books and other printed books I mentioned above, Seongyoushikryoeuideungcho, the scripture of Gan'gyeongdogam, has lots of wrong records, mis-engraved letters, and mistakes which might occur in the proofreading, engraving, or transmitting processes. Such wrong records and mistakes are those which we can find out mainly in the manuscripts of Dūnháng in the Central Asia before the period of Sòng China, when the prints of Tripitaka Koreana were engraved.
However, unfortunately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woodblock-printed books, though it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writer's original intention. Especially, we are able to find out deletions, corrections, wrong records, mistakes of sentences of demonstrative pronouns, nouns, propositions, conjunctions, infinitives in the Seongyoushikryoeuideungcho of the Gan'gyeongdogam and the errors by editors in the printed books of Taishôzô. These are as below. ① deletion of words, ② correction of words and sentences, ③ repeatedly graved words, ④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sounds, ⑤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ame meanings and sounds, ⑥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meanings, ⑦ graving changed words and sentences, ⑧ changing words' positions, ⑨ graving Chinese words which have similar letter types, and ⑩ different letter types and so forth.
According to my comparativ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Seongyoushikryoeuideungcho currently used.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Songgwang Temple and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 are in the same type and also the prints of Taishôzô and Manzokukyô are in the same type.
The woodblock-printed books have the same styles of the books of Qū wò xuán Library-letter types, numbers of lines and letters, deleted and added words, and different style of letters etc.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Gan'gyeongdogam was the translated and engraved prints of Qū wò xuán Library.
As a result, I wanted to say that Seongyoushikryoeuideungcho has been transmitted against the intention of the writer, Hui zhăo, as compared some woodblock-printed books and manuscripts with other sources. I look forward to having various buddhist and bibliography studies following this research.
참고문헌 (Reference)
1 의천, "한국불교전서 권4" 동국대학교출판부 1982
2 최종남, "중국․티베트 佛典 目錄들에 있어서 部와 『新編諸宗敎藏總錄』에 있어서 部의 分類體系에 대한 대조 연구" 한국서지학회 (67) : 119-146, 2016
3 최종남, "역경학 개론" 운주사 2011
4 남무희, "신라 원측의 유식사상 연구" 민족사 2009
5 강순애,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자료의 종합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6
6 남권희, "새로 發見된 高麗 續藏經의 覆刻本 3種에 관한 考察"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6) : 1989
7 최종남, "광교원본 「성유식론술기」 권6의 판본 대조 연구"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
8 김성수, "고려 諸宗敎藏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불교학연구회 30 : 7-63, 2011
9 高麗敎藏結集 및 DB構築事業 연구팀, "高麗 諸宗敎藏 章疏目錄 및 現況"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
10 한국불교문화연구원, "韓國의 寺刹" 일지사 1977
1 의천, "한국불교전서 권4" 동국대학교출판부 1982
2 최종남, "중국․티베트 佛典 目錄들에 있어서 部와 『新編諸宗敎藏總錄』에 있어서 部의 分類體系에 대한 대조 연구" 한국서지학회 (67) : 119-146, 2016
3 최종남, "역경학 개론" 운주사 2011
4 남무희, "신라 원측의 유식사상 연구" 민족사 2009
5 강순애,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자료의 종합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6
6 남권희, "새로 發見된 高麗 續藏經의 覆刻本 3種에 관한 考察"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6) : 1989
7 최종남, "광교원본 「성유식론술기」 권6의 판본 대조 연구"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
8 김성수, "고려 諸宗敎藏의 가치와 의의에 관한 연구" 불교학연구회 30 : 7-63, 2011
9 高麗敎藏結集 및 DB構築事業 연구팀, "高麗 諸宗敎藏 章疏目錄 및 現況" 고려대장경연구소 2013
10 한국불교문화연구원, "韓國의 寺刹" 일지사 1977
11 桑上, "玄奘" 大藏出版 1981
12 이지관, "校勘譯註 歷代高僧碑文" 伽山佛敎文化硏究院 1996
13 남권희, "日本所在 佛敎 敎藏文獻의 書誌調査" 한국서지학회 (67) : 5-44, 2016
14 최종남, "大覺國師 義天과 唯識章疏에 관한 一考" 한국서지학회 (62) : 137-165, 2015
15 黃晟起, "圓測의 唯識學說硏究 : 韓國佛敎 再建論外 1篇" 동국대학교 대학원 1976
16 西尾, "國譯一切經和漢撰述部" 大東出版社 1982
17 結城, "唯識學典籍志" 大藏出版 1962
18 황성기, "唐窺基와 新羅 圓測의 相違說 硏究(1)" 한국불교학회 4 : 1979
19 정영근, "「成唯識論了義燈」의 圓測說 비판" 불교학연구회 (3) : 2001
月沙 李廷龜의 冠服奏請 陳奏正使와 관련된 送別 기록 연구
刻手의 所用諸具 硏究 - 1850년 전후의 의궤기록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3-20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 |
2019-03-1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3-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서지학회 -> 한국서지학회영문명 :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 The Institute of Korea Bibliography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2 | 1.107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