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과 직업정체성의 이중 매개효과 =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hinese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513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학습과 직업 정체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업성취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광저우에 있는 한 대학의 학생 310명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자료 분석은 SPSS PC+ ver. 25.0과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했다. 통계적 추론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 자기주도학습, 직업정체성, 학업성취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주도학습과 직업 정체성은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 성취와 관련하여 그릿, 자기주도학습, 직업정체성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을 촉진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학습과 직업 정체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업성취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

      본 연구는 대학생의 그릿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주도학습과 직업 정체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업성취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광저우에 있는 한 대학의 학생 310명을 표본으로 선정했다. 자료 분석은 SPSS PC+ ver. 25.0과 PROCESS macro ver. 4.2를 활용하였다.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이중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했다. 통계적 추론의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부트스트랩 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릿, 자기주도학습, 직업정체성, 학업성취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주도학습과 직업 정체성은 그릿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이중 매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 성취와 관련하여 그릿, 자기주도학습, 직업정체성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교육자들이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을 촉진하기 위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impact of gri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elected 310 students from a college in Guangzhou as a sampl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SPSS PC+ ver. 25.0 and PROCESS macro ver. 4.2.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statistical inference.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rit, self-directed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played a du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d practical guidance for educators to promote students' academic succes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impact of gri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elected 310 students from a college in Guangzhou as a sample. F...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impact of gri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elected 310 students from a college in Guangzhou as a sample.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utilized SPSS PC+ ver. 25.0 and PROCESS macro ver. 4.2.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o enhance the robustness of statistical inference.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grit, self-directed learning, professional identity and academic achievement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played a du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grit,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academic achievement, and provided practical guidance for educators to promote students' academic succe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