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on Anxiety, Depression,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01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 & 본 연구는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암 전문 요양병원의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두 집단은 사전-사후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2014년 8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를 이용하여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숲활동 중재를 받은 실험군이 숲활동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과 우울이 개선되었다. 기분상태의 경우 활기 요인을 제외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의 5개 하위요소는 개선되었으며, 종합감정장애(TMD)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험후 평균값 비교 결과 숲활동 중재를 받은 실험군의 희망 평균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암환자에게 적용한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 & 본 연구는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암 전문 요양병원의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수...

      & & 본 연구는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암 전문 요양병원의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수행 되었으며, 연구 대상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고, 두 집단은 사전-사후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2014년 8월부터 11월까지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를 이용하여 t-검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숲활동 중재를 받은 실험군이 숲활동 중재를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과 우울이 개선되었다. 기분상태의 경우 활기 요인을 제외하고 긴장, 우울, 분노, 피로, 혼돈의 5개 하위요소는 개선되었으며, 종합감정장애(TMD)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실험후 평균값 비교 결과 숲활동 중재를 받은 실험군의 희망 평균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암환자에게 적용한 숲활동 중재가 암환자의 불안과 우울, 기분상태 및 희망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 & This study is a research into what effect the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can affect anxiety·depression,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53 cancer patients of the care hospital that treats cancer 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r an experimenting group and a comparing group, and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ing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independent t-test.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 anxiety and depression was improved the level(p<.05) which experimenting group who participate in the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and that POMS was improved the level of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total mood disturbance(TMD) except vigor facto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pe, bu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was higher mean level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not received.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applying to cancer patients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anxiety, depression, 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번역하기

      & & This study is a research into what effect the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can affect anxiety·depression,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53 cancer patients of the care hospital that treats c...

      & & This study is a research into what effect the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can affect anxiety·depression, profile of mood states(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53 cancer patients of the care hospital that treats cancer 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bjec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r an experimenting group and a comparing group, and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ing proc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independent t-test. After analyzing the research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 anxiety and depression was improved the level(p<.05) which experimenting group who participate in the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who didn’t, and that POMS was improved the level of tension, depression, anger, fatigue, confusion and total mood disturbance(TMD) except vigor factor.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pe, bu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received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was higher mean level of hope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not received. Therefore, it was revealed that forest activity intervention applying to cancer patients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anxiety, depression, POMS and hope of cancer pati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및 고찰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아미, "희망중재가 재가 암환자의 희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94-1002, 2007

      2 오경옥, "원예요법프로그램이 여성 암생존자의 상태불안과 피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125-131, 2012

      3 최연희,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109-118, 2014

      4 김원, "산림활동 심리프로그램이 우울증 환자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적 연구" 한국임학회 98 (98): 26-32, 2009

      5 홍민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학제간 융합가능성에 대한 전망" 한국한의학연구원 16 (16): 95-105, 2010

      6 이으뜸,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활동 내용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101-109, 2011

      7 Yeun, E. J.,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 Cross-cultural analysis" 62 (62): 1173-1180, 2006

      8 Snyder, C. R., "The will and the way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59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60 : 570-585, 1991

      9 Chi, G. H., "The role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34 : 415-424, 2007

      10 Yeoun, P. S., "The relationships among forest experience, anxiety and self-respect" 1 (1): 31-36, 2007

      1 신아미, "희망중재가 재가 암환자의 희망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 (37): 994-1002, 2007

      2 오경옥, "원예요법프로그램이 여성 암생존자의 상태불안과 피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종양간호학회 12 (12): 125-131, 2012

      3 최연희, "숲 체험 통합 중재가 재가 암 환자의 우울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109-118, 2014

      4 김원, "산림활동 심리프로그램이 우울증 환자들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예비적 연구" 한국임학회 98 (98): 26-32, 2009

      5 홍민아,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학제간 융합가능성에 대한 전망" 한국한의학연구원 16 (16): 95-105, 2010

      6 이으뜸, "국내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구성활동 내용 분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5 (15): 101-109, 2011

      7 Yeun, E. J., "Verifica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brief : Cross-cultural analysis" 62 (62): 1173-1180, 2006

      8 Snyder, C. R., "The will and the ways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59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s of hope" 60 : 570-585, 1991

      9 Chi, G. H., "The role of hope in patients with cancer" 34 : 415-424, 2007

      10 Yeoun, P. S., "The relationships among forest experience, anxiety and self-respect" 1 (1): 31-36, 2007

      11 Shin, W. S., "The relationships among forest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11 (11): 27-32, 2007

      12 Anderson, J. L., "The nurse’s role in cancer rehabilitation,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Cancer Care" 12 (12): 85-94, 1989

      13 Zigmond, A. 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67 (67): 361-370, 1983

      14 Kang, H. S.,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26 (26): 451-459, 2000

      15 "Statistics Korea"

      16 최유희,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16, 2008

      17 Kim, M. Y., "Research trends of cancerrelated depression : Analysis using MeSH in PubMed" 19 : 143-146, 2012

      18 Snyder, C. R., "Preferences of high-and low-hope people for self-referential input" 12 (12): 807-823, 1998

      19 Rustoen, T.,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hope and quality of life in newly diagnosed cancer patients,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Cancer Care" 21 (21): 235-245, 1998

      20 McNair, D. M., "Manual for the Profile of Mood States" Educational and Industrial Testing Service 1992

      21 Paice, J. A., "Managing psychological condition in palliative care" 102 (102): 36-42, 2002

      22 "Korea Cancer Information Center"

      23 Lee, Y. D., "KBS Special Project Documentary Mind" Yedam 2006

      24 Shin, H. M., "Horticultural therapy for enhancing hope and reducing anxiety and depression for cancer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onkuk University 2014

      25 Tae, Y. S., "Hope phenomen of Korean cancer patients" Ewha Women University 1995

      26 Herth, K. A., "Enhancing hope in people with a first recurrence of cancer" 32 (32): 1431-1441, 2000

      27 Miller, J. F., "Coping with Chronic Illness : Overcoming Powerlessness" F. A. Davis 2000

      28 Koh, K. B., "Coping strategy of cancer patients" 27 (27): 140-150, 1988

      29 Spielberger, C. D.,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Anxiety: Current Trends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1972

      30 Hinz, A., "Anxiet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19 : 522-529, 2010

      31 Tollett, J., "A theory-based nursing intervention to instill hope in homeless veterans" 18 : 76-90, 1995

      32 Zung, W. W. K.,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 12 (12): 371-379, 1971

      33 Oh, S. M.,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ed scale for Koreans" 38 (38): 289-296,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